[開結舒經湯][개결서경탕]
治婦人七情六鬱, 氣滯經絡, 手足麻痺.
紫蘇葉, 陳皮, 香附子, 烏藥, 川芎, 蒼朮, 羌活, 南星, 半夏, 當歸 各八分,
桂枝, 甘草 各四分.
右剉作一貼, 薑三片, 煎入竹瀝薑汁調服[醫鑑].
부인이 칠정과 육울 때문에 기가 경락을 막아 팔다리가 마비되는 것을 치료한다.
자소엽, 진피, 향부자, 오약, 천궁, 창출, 강활, 남성, 반하, 당귀 각 여덟 푼,
계지, 감초 각 너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달인 후

죽력과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開氣消痰湯][개기소담탕]  (0) 2019.01.13
[開噤湯][개금탕]  (0) 2019.01.13
[羌活退瞖湯][강활퇴예탕]  (0) 2019.01.13
[羗活冲和湯][강활충화탕]   (0) 2019.01.13
[羗活蒼朮湯][강활창출탕]   (0) 2019.01.13

[羌活退瞖湯][강활퇴예탕]
治太陽寒水, 瞖膜遮睛, 不見物.
羌活 一錢半,
防風 一錢,
荊芥, 薄荷, 藁本 各七分,
酒知母 五分,
酒黃柏 四分,
川芎, 當歸身 各三分,
麻黃, 酒生地黃 各二分,
川椒, 細辛 各一分.
右剉作一貼, 水煎服, 食後[東垣].
태양경의 한수로 예막이 눈동자를 가려 사물을 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강활 한 돈 반,
방풍 한 돈,
형개, 박하, 고본 각 일곱 푼,
지모(술로 법제한 것) 닷 푼,
황백(술로 법제한 것) 너 푼,
천궁, 당귀신 각 서 푼,
마황, 생지황(술로 법제한 것) 각 두 푼,
천초, 세신 각 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開噤湯][개금탕]  (0) 2019.01.13
[開結舒經湯][개결서경탕]  (0) 2019.01.13
[羗活冲和湯][강활충화탕]   (0) 2019.01.13
[羗活蒼朮湯][강활창출탕]   (0) 2019.01.13
[羌活愈風湯][강활유풍탕]   (3) 2019.01.13

[羗活冲和湯][강활충화탕]
治春夏秋感冒風寒 發熱惡寒 頭痛項强 或無汗
或有寒 以代桂枝 麻黃 靑龍各半湯 治太陽經 表熱之神藥也(丹心).
봄과 여름, 가을에 풍한감모(風寒感冒)로 열이 나고 오한이 있으며
머리가 아프고 목덜미가 뻣뻣하며 혹 땀이 나지 않거나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계지마황청룡각반탕을 대신하며
태양경 표열(表熱)을 치료하는 좋은 약이다[단심].
此藥 非獨治四時風寒 春可治溫 夏可治熱 秋可治濕
治雜病亦有神也方見上 傷寒六經用藥.
一名 [九味羗活湯] 已下 傷寒六經用藥 轉載
이 약은 다만 4계절의 풍한증을 치료할 뿐 아니라 봄에는 온병,
여름에는 열병(熱病), 가을에는 습병(濕病)을 치료한다.
또한 잡병(雜病)을 치료하는 데도 좋은 약이다(처방은 위에 있다).
일명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이라고도 한다.

[羗活蒼朮湯][강활창출탕]
治感冒嵐瘴成寒熱瘧
羗活6g
蒼朮 柴胡 黃芩 枳實 橘紅 半夏 川芎 甘草 各4g
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節齊).
산람장기[嵐 ]에 감촉되어 생긴 학질로 오한이 났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6g,
삽주(창출), 시호, 속썩은풀(황금), 지실, 귤홍,
끼무릇(반하), 궁궁이(천궁),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절재].

[羌活愈風湯][강활유풍탕]
治風中府中藏先以本藥治之後用此藥調理[回春]
凡中風內邪已除外邪已盡當服此藥以行導諸經
久則大風悉去淸濁自分榮衛自和矣
蒼朮 石膏 生地黃 各六分
羌活 防風 當歸 蔓荊子 川芎 細辛 黃妉 枳殼 人參 麻黃
白芷 甘菊 薄荷 枸杞子 柴胡 知母 地骨皮 獨活 杜盓
秦埵 黃芩 白芍藥 甘草 各四分 肉桂二分
右犫作一貼入薑三片水煎朝夕服

或以此湯空心嚥下 [二參丹] 臨臥嚥下[四白丹][丹心]
一名 [愈風湯][丹心]
6부에 풍이 침범하였거나 5장에 풍이 침범한 것을 치료하는데
먼저 기본치료약제를 쓴 다음에 이 약으로 조리해야 한다[회춘].
여러 가지 중풍 때 속과 겉의 사기가 다 없어졌으면
이 약으로 모든 경락을 잘 통하게 해야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심한 풍증도 다 없어지고 맑은 것과
흐린 것이 저절로 갈라지며 영위가 스스로 조화된다.
삽주(창출), 석고, 생지황 각각 2.4g,
강호리(강활), 방풍, 당귀, 순비기열매(만형자),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단너삼(황기), 지각, 인삼, 마황, 구릿대(백지),
단국화(감국), 박하, 구기자, 시호, 지모, 지골피, 따두릅(독활),
두충, 진교, 속썩은풀(황금),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감초 각각 1.6g,
육계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아침저녁으로 먹는다.
혹은 이 약물로 이삼단(二蔘丹)을 빈속에 먹기도 하고
잠잘 무렵에 사백단을 먹기도 한다[단심].
일명 유풍탕(愈風湯)이라고도 한다[단심].
療肝腎虛筋骨弱語言難精神昏墘 或瘦而偏枯 或肥而不遂
或恐而健忘或喜而多思思忘之道皆精不足也
能安心養神調陰陽使無偏勝[易老]
간장과 신장이 허하고 힘살과 뼈가 약하며 말을 잘하지 못하고
정신이 혼미하며 여위면서 몸 한쪽을 잘 쓰지 못하거나 살이 찌면서
몸 한쪽을 쓰지 못하며 또는 무서워하면서 잘 잊어버리거나
기뻐하면서 생각을 많이 하는 것을 치료한다.
지나치게 생각하는 것과 잘 잊어버리는 것은 다 정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마음을 안정시키고 정신을 보양하며
음양을 고르게 하여 어느 하나도 편승하지 않게 해야 한다[역로].

[加減續命湯][가감속명탕]
治風中府今人不分表裏虛實故張易老授東垣以六經加減之法
풍(風)이 6부에 침범한 것을 치료한다.
지금 의사들이 표리(表裏)와 허실(虛實)을 잘 가리지 못하기 때문에
장역로(張易老)가 동원(東垣)에게 6경의 가감법[六經加減法]을 알려주었다.
太陽中風無汗惡寒[麻黃續命]主之本方倍麻黃防風杏仁
有汗惡風[桂枝續命]主之本方 倍 桂枝 芍藥 杏仁
태양중풍증(太陽中風證) 때 오한이 나면서 땀이 나지 않는 데는
마황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마황, 방풍, 살구씨(행인)를 곱으로 넣어 쓴다.
땀이 나면서 바람을 싫어하는 데는 계지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집함박꽃뿌리(작약), 살구씨(행인)를 곱으로 넣어 쓴다.
陽明中風無汗身熱不惡寒[白虎續命]主之
本方倍桂枝黃芩加葛根一錢四分
양명중풍증(陽明中風證) 때 몸에 열이 나고 땀이 나지 않으며
오한이 없으면 백호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속썩은풀(황금)을 곱으로 하고 칡뿌리(갈근) 5.6g을 넣어 쓴다.
太陰中風無汗身崣 [附子續命] 主之附子加一倍
甘草加二錢一分乾薑加七分
태음중풍증(太陰中風證)때 땀이 나지 않고 몸이 서늘하면
부자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부자는 곱으로 하고
감초는 8.4g, 건강은 2.8g을 넣는다.
少陰中風有汗無熱 [桂枝續命] 主之本方 倍 桂枝 附子 甘草
소음중풍증(少陰中風證) 때 땀이 나고 열이 없으면
계지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방에 계지, 부자, 감초를 곱으로 넣는다.
六經混淆繫之於少陽厥陰或肢節攣痛或麻木不仁
宜 [羌活連翹續命] 主之本方一兩 加 羌活一錢  連翹一錢半[正傳]
6경이 혼란되어 소양병(少陽病)과 궐음병(厥陰病)이 얽혀서
혹 팔다리 뼈마디가 켕기면서[攣] 아프거나 감각이 둔해지면서 잘 쓰지 못하면
강활연교속명탕을 주로 쓰는데
본 처방 약재 40g에 강호리(강활) 8g, 연교 6g을 넣어 쓴다[정전].


[羌活勝濕湯][강활승습탕]
治太陽經中寒濕, 項强或似拔, 不得回顧.
羌活, 獨活 各二錢,
藁本, 防風, 甘草 各一錢,
川芎, 蔓荊子 各五分.
右剉作一貼, 水煎服[東垣].
태양경에 한습이 침입하여 목이 뻣뻣하고

때로는 목을 잡아빼는 것 같으면서 목을 돌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강활, 독활 각 두 돈,
고본, 방풍, 감초 각 한 돈,
천궁, 만형자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羌活續斷湯][강활속단탕]
治脚氣肝腎虛弱, 筋攣骨痛.
羌活, 防風, 白芷, 細辛, 杜冲, 牛膝, 秦艽, 續斷, 熟地黃,

當歸, 人蔘, 白芍藥, 赤茯苓, 桂心, 川芎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三片水煎服.
간(肝)과 신(腎)이 허약하여 각기가 생겨 근이 떨리고 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강활, 방풍, 백지, 세신, 두충, 우슬, 진교, 속단, 숙지황,

당귀, 인삼, 백작약, 적복령, 계심, 천궁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
獨活寄生湯, 桑寄生無眞者,

世以他寄生代之, 爲害不少, 故今去寄生代續斷.
又以 羌活 代 獨活, 功效殊勝[辨疑].
독활기생탕에 들어가는 상기생의 진품이 없는 경우

민간에서는 다른 나무에 기생하는 것으로 대신하는데 그 해가 적지 않다.
그러므로 이제는 상기생을 빼고 속단을 대신 쓴다.
강활 대신 독활을 쓰기도 하는데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변의).

[羌活附子湯][강활부자탕]
治大寒犯腦, 令人腦痛, 齒亦痛, 名曰腦風.
麻黃, 附子, 防風, 白芷, 白殭蠶 炒 各一錢,
黃柏, 羌活, 蒼朮 各七分,
黃芪, 升麻, 甘草 灸 各五分.
右剉作一貼, 食後, 水煎服[東垣].
아주 찬 기운이 뇌를 침범하여 머리가 아프고 이도 아픈 것을 치료한다.
이것을 뇌풍이라고 한다.
마황, 부자, 방풍, 백지, 백강잠(볶은 것) 각 한 돈,
황백, 강활, 창출 각 일곱 푼,
황기, 승마, 감초(구운 것)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식후에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羌活防風湯][강활방풍탕]
治破傷風 初傳在表
羌活, 防風, 川芎, 白芍藥, 藁本, 當歸, 甘草 各一錢
地楡, 細辛, 各五分
右犫作一貼水煎服(正傳)
파상풍이 처음 생겨서 표(表)에 있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방풍, 궁궁이(천궁), 백작약, 고본, 당귀, 감초 각각 4g,
오이풀뿌리(지유), 족두리풀(세신)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羌活續斷湯][강활속단탕]  (0) 2019.01.13
[羌活附子湯][강활부자탕]  (0) 2019.01.13
[羗活防己湯][강활방기탕]   (0) 2019.01.13
[羌活導滯湯][강활도체탕]  (0) 2019.01.13
[薑朮湯][강출탕]  (0) 2019.01.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