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羌活愈風湯][강활유풍탕]
治風中府中藏先以本藥治之後用此藥調理[回春]
凡中風內邪已除外邪已盡當服此藥以行導諸經
久則大風悉去淸濁自分榮衛自和矣
蒼朮 石膏 生地黃 各六分
羌活 防風 當歸 蔓荊子 川芎 細辛 黃妉 枳殼 人參 麻黃
白芷 甘菊 薄荷 枸杞子 柴胡 知母 地骨皮 獨活 杜盓
秦埵 黃芩 白芍藥 甘草 各四分 肉桂二分
右犫作一貼入薑三片水煎朝夕服
或以此湯空心嚥下 [二參丹] 臨臥嚥下[四白丹][丹心]
一名 [愈風湯][丹心]
6부에 풍이 침범하였거나 5장에 풍이 침범한 것을 치료하는데
먼저 기본치료약제를 쓴 다음에 이 약으로 조리해야 한다[회춘].
여러 가지 중풍 때 속과 겉의 사기가 다 없어졌으면
이 약으로 모든 경락을 잘 통하게 해야 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심한 풍증도 다 없어지고 맑은 것과
흐린 것이 저절로 갈라지며 영위가 스스로 조화된다.
삽주(창출), 석고, 생지황 각각 2.4g,
강호리(강활), 방풍, 당귀, 순비기열매(만형자),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단너삼(황기), 지각, 인삼, 마황, 구릿대(백지),
단국화(감국), 박하, 구기자, 시호, 지모, 지골피, 따두릅(독활),
두충, 진교, 속썩은풀(황금),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감초 각각 1.6g,
육계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아침저녁으로 먹는다.
혹은 이 약물로 이삼단(二蔘丹)을 빈속에 먹기도 하고
잠잘 무렵에 사백단을 먹기도 한다[단심].
일명 유풍탕(愈風湯)이라고도 한다[단심].
療肝腎虛筋骨弱語言難精神昏墘 或瘦而偏枯 或肥而不遂
或恐而健忘或喜而多思思忘之道皆精不足也
能安心養神調陰陽使無偏勝[易老]
간장과 신장이 허하고 힘살과 뼈가 약하며 말을 잘하지 못하고
정신이 혼미하며 여위면서 몸 한쪽을 잘 쓰지 못하거나 살이 찌면서
몸 한쪽을 쓰지 못하며 또는 무서워하면서 잘 잊어버리거나
기뻐하면서 생각을 많이 하는 것을 치료한다.
지나치게 생각하는 것과 잘 잊어버리는 것은 다 정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마음을 안정시키고 정신을 보양하며
음양을 고르게 하여 어느 하나도 편승하지 않게 해야 한다[역로].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羗活冲和湯][강활충화탕] (0) | 2019.01.13 |
---|---|
[羗活蒼朮湯][강활창출탕] (0) | 2019.01.13 |
[羌活連翹續命][강활연교속명탕] (0) | 2019.01.13 |
[羌活勝濕湯][강활승습탕] (0) | 2019.01.13 |
[羌活續斷湯][강활속단탕] (0) | 2019.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