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留飮][유음]
胸中有留飮, 其人短氣而渴, 四肢歷節痛, 脈沈細[仲景].

가슴속에 유음(留飮)이 있으면

환자는 숨이 차고 갈증이 나며 팔다리 마디마디가 아프며 맥은 침세(沈細)하다(중경).

留飮者, 水停心下, 背冷如手掌大,

或短氣而渴, 四肢歷節疼痛, 脇痛引缺盆, 咳嗽轉甚[入門].

유음은 물[水]이 오목가슴[心下]에 정체되어 등에 손바닥 크기만큼 찬 부분이 있으며,

또 숨이 차고 갈증이 나며 팔다리 마디마디가 아프고 옆구리의 통증이 결분(缺盆)까지

이어지고 기침이 점차 심해진다(입문).

留飮之證, 四肢歷節痛, 氣短脈沈, 久則令人骨節蹉跌, 恐爲癲癎,

宜導痰湯加減, 通用芎夏湯 二方見下[入門].

유음의 증상은 팔다리 마디마디가 아프고 숨이 차고 맥이 침(沈)하며 오래되면

환자의 뼈마디가 삐뚤어지고 전간이 될 우려가 있다.

도담탕에 가감한 것이나 궁하탕(이 두 처방은 뒤에 있다)을 두루 쓴다(입문).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飮][담음]   (0) 2019.11.14
[癖飮][벽음]   (0) 2019.11.14
[飮病有八][음병팔유]   (0) 2019.11.14
[王隱君痰論][왕은군담론]   (0) 2019.11.14
[痰飮分淸濁][담음분청탁]   (0) 2018.03.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