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飮分淸濁][담과 음은 맑고 흐린 것으로 갈라본다]
痰者 津液因熱而成 熱則津液薰蒸 而稠濁故 名爲痰也(丹心).
담(痰)이라는 것은 진액이 열을 받아서 생긴 것이다.
열이 훈증을 받아 진액이 걸쭉해지고 흐려진 것이 담이다[단심].
水之與飮 同出而異名也.
人有脾土有虧故 所飮水漿 不能傳化 或停於心下
或聚於脇間 或注於經絡 或溢於膀胱 往往因此而致病矣(直指).
수(水)와 음(飮)은 같은 곳에서 생기는데 이름이 다르다.
비위가 약하면 반드시 마신 물이 소화되지 않고 명치 밑에 머무르거나
옆구리에 몰리거나 경락으로 들어가거나 방광으로 지나치게 들어가는
일이 종종 있게 되는데 이것이 원인이 되어 병이 생기기도 한다[직지].
飮者 因飮水不散而爲病 痰者 因火熱薰灼而成痰故 痰形稠濁 飮色淸痰
음(飮)이란 마신 물이 잘 퍼지지 못해서 생긴 것이고
담(痰)은 화(火)가 훈증하여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담의 형태는 걸쭉하고 흐리며 음의 빛은 맑다.
[古方]謂之飮 今人謂之痰 其實一也.
고방에는 담을 음이라고 했지만
이것도 지금 사람들이 담이라고 하는 것과 실지는 같은 것이다.
'[內景篇] > [痰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癖飮][벽음] (0) | 2019.11.14 |
---|---|
[留飮][유음] (0) | 2019.11.14 |
[飮病有八][음병팔유] (0) | 2019.11.14 |
[王隱君痰論][왕은군담론] (0) | 2019.11.14 |
[痰涎飮三者不同][담연음삼자부동] (0) | 2017.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