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脈法][맥법]
脈經曰, 脈得諸澁濡弱, 爲亡血.

맥경에서는 "맥을 잡아서 삽(澁)하거나 유(濡)하거나

약(弱)한 맥이 나타나면 망혈증이다"라고 하였다.


脈訣曰, 諸證失血, 皆見芤脈, 脈貴沈細, 浮大難治.

맥결에서는 "여러 출혈 증상에는 모두 규맥(芤脈)이 나타나는데,

맥이 침세(沈細)하면 좋으나 부대(浮大)하면 치료가 어렵다"고 하였다.


正傳曰, 芤爲失血, 澁爲少血.

又曰, 吐血之脈, 必大而芤, 大爲發熱, 芤爲失血.

정전에서는 "규맥이 나타나면 출혈이 있는 것이고,

삽한 맥이 나타나면 피가 적어진 것이다"라고 하였으며,

또한 "토혈에는 반드시 대맥(大脈)과 규맥이 나타나는데,

대맥은 열이 날 때 나오는 맥이고, 규맥은 출혈이 있을 때의 맥이다"라고 하였다.


靈樞曰, 衄而不止, 脈大者逆.

영추에서는 "코피가 그치지 않으면서 맥이 대(大)하면 역증(逆證)이다"라고 하였다.


內經曰, 脈至而搏, 血衄身熱者死.

又曰, 腹脹便血, 脈大時絶者死.

내경에서는 "맥이 뛰는 것이 맥 잡은 손가락을 툭툭 치는 듯하고

코피가 나면서 몸에 열이 나면 죽는다"고 하였다.

또한 "배가 더부룩하고 피똥을 싸면서 맥이 대(大)하고 때때로 끊어지면 죽는다"고 하였다.


難經曰, 病若吐衄血, 脈當沈細, 反浮大而牢者死.

난경에서는 "토혈이나 코피가 나는 병에는 맥이 침세하여야 하는데

오히려 부대하고 뇌(牢)하면 죽는다"고 하였다.


仲景曰, 脫血而脈實者, 難治.

중경에서는 "탈혈(脫血)이 있는데 맥이 실(實)하면 치료가 어렵다"고 하였다.


丹溪曰, 吐衄血脈滑數者, 難治.

단계에서는 "토혈이나 코피가 나면서 맥이 활(滑)하고 삭(數)하면 치료가 어렵다"고 하였다.


吐唾血, 脈小弱者生, 實大者死.

토혈과 타혈에 맥이 소(小)하고 약하면 살고 실(實)하고 대(大)하면 죽는다.


諸失血證, 脈大且數者逆.

모든 출혈의 증상에서 맥이 대(大)하면서 삭한 것은 역증이다.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情動血][칠정동혈]   (0) 2019.10.22
[熱能傷血][열능상혈]   (0) 2019.10.22
[血爲氣配][혈위기배]   (0) 2019.10.22
[血爲榮][혈위영]   (0) 2018.02.16
[陰血生於水穀][음혈생어수곡]  (0) 2017.05.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