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言語譫妄][언어섬망] 
自言曰 言, 答人曰 語(得效).
자기가 하는 말을 언(言)이라고 하고
다른 사람의 물음에 대답하는 말을 어(語)라고 한다[득효].
[內經註]曰 譫 亂語也 譫者 妄也.
내경주해에 “헛소리는 말을 허투로 하는 것이다”고 하였다.
或自言平生常事, 或開目言 人所未見事 或獨語, 或睡中呢喃
或呻吟不已 甚則 狂言罵詈 俱謂之譫語 皆因胃熱乘心故也.
헛소리란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을 말한다.
혹은 자기 혼자 평상시 하던 일을 말하거나 눈을 뜨고 다른 사람이 보지 못한
사실을 말하거나 혼자 말을 하거나 잠꼬대를 하거나 신음소리를 계속 내거나
심하게는 미친소리를 하고 욕설을 퍼붓는 것은 다 헛소리라고 한다.
이런 증산은 다 위(胃)의 열(熱)이 심(心)을 억눌러서 생긴 것이다.
[問]曰 邪入陽明 爲譫言妄語 此果陽明乎 罵詈
[答]曰 傷寒始自皮毛入 是從肺中來 肺主聲 入于心則爲言也.
[又]曰 合日自言 言所日用 常見常行之事 則譫語也.
大開目與人語 語所未嘗見之事 卽爲狂言也(東垣).
사기(邪氣)가 양명(陽明)에 들어가면 헛소리나 허튼 말을 하게 된다고 하는데
이것은 과연 양명 때문인가고 하는 물음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상한병(傷寒病) 초기에는 피모(皮毛)에 사기가 들어왔다가 폐로 들어간다.
폐는 소리를 주관하는데 그 소리를 심이 받아서 말이 되게 한다고 하였다.
또한 눈을 감고 자기 혼자소리로 늘 보고 듣고 하던 일을 말하는 것이 바로
헛소리이고 눈을 크게 뜨고 사람과 말하듯 아직 보지 못한 일을 말하는 것은
미친소리라고 하였다[동원].
譫語者 口出無倫 邪氣勝也(回春).
헛소리라는 것은 순서없는 말을 하는 것인데
이것은 사기(邪氣)가 성[勝]하기 때문이다[회춘].
衣被不歛 言語善惡 不避親疎者 此神明之亂也 乃狂疾也.
(內經 脈要精微論篇 第十七).
옷을 거두지 못하며 친하거나 낯선 사람을 갈라보지 못하고 쓸소리, 못쓸소리를
막 하는 것은 정신이 착란되었기 때문인데 이것이 바로 미친 병이다[내경].
悲泣呻吟 言語譫妄 此乃邪祟也(綱目).
슬프게 울기도 하고 신음소리도 내며 말을 허투루 하는 것이
바로 헛것에 들린 것이다[강목].

'[內景篇] > [言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鄭聲][정성]   (0) 2019.11.04
[脈法][맥법]   (0) 2019.11.04
[痰塞亡血亦爲瘖][담새망혈위음]   (0) 2019.11.04
[瘖不得語][음불득어]  (0) 2019.11.04
[肺主聲爲言][폐주성위언]   (0) 2017.05.14

[聽聲音辨病證][목소리를 듣고 병증을 갈라내는 것]
[內經](陰陽應象大論篇 第五)曰 視喘息 聽音聲而知所苦.
내경에 “천식증(喘息證) 때 목소리를 듣고 고통스러워 하는 곳을 알 수 있다.
[又](脈要精微論篇 第十七)曰
中盛藏滿 氣勝傷恐者 聲如從室中言 是中氣之濕也.
또한 중초(中焦)가 성(盛)하고 5장이 실해서 기운이 왕성하나
무서워한 탓으로 상하면 목소리가 방 안에서 나는 소리같이 된다.
이것은 중기(中氣)에 습이 생겼기 때문이다”고 씌어 있다.
[靈樞]曰 病人語聲寂寂然 善驚呼者 骨節間病,
語聲喑喑然 不徹者 心膈間病. 語聲啾啾然 細而長者 頭中病.
영추에 “목소리가 조용하고 잘 놀라면서 소리치는 것은 뼈마디에 병이 있는 것이다.
말을 똑똑하게 하지 못하고 얼버무리는 것은 심격간(心膈間)에 병이 생겼기 때문이다.
말소리가 나직하고 가늘면서 길게 나오는 것은 머리 속에 병이 있는 것이다.
[又](五音五味 第六十五)曰 聞而知之 謂之聖.
목소리를 듣고 병을 아는 사람이 유능한 의사이다”고 씌어 있다.
[難經]曰 聞而知之者 聞其五音 以別其病.
假如 肝病則聲悲 肺病則聲促 心病則聲雄 脾病則聲慢 腎病則聲沈.
大腸病則聲長 小腸病則聲短 胃病則聲速 膽病則聲淸 膀胱病則聲微(回春).
난경에 “들어보고 병을 안다는 것은 5가지 소리를 듣고 병을 갈라낸다는 것이다.
가령 간(肝)의 병이면 목소리가 슬프게 나오고 폐(肺)의 병이면 목소리가 가쁘게
나오며 심(心)의 병이면 목소리가 궁글게[雄] 나오며 비(脾)의 병이면 목소리가
느리게 나오고 신(腎)의 병이면 목소리가 가라앉고 대장(大腸)의 병이면 목소리가
길게 나오며 소장(小腸)의 병이면 목소리가 짧게 나오고 위(胃)의 병이면 목소리가
빠르며 담(膽)의 병이면 목소리가 맑으며 방광(膀胱)의 병이면 목소리가 희미하다”고
씌어 있다[회춘].
[內經](脈要精微論篇 第十七)曰 聲合五音,
내경에 “목소리는 5가지 소리가 합쳐져 나오는 것이다”고 씌어 있다.
[入門]曰 金聲響 土聲濁 木聲長 水聲淸 火聲燥.
입문에 “쇳소리는 쟁쟁하고 흙소리는 흐리며 나무소리는 길고 

물소리는 맑으며 불소리는 조(燥)하다”고 씌어 있다.
土音 如居深瓮中言 濕勝則音聲 如從瓮中出 濕若中水也(東垣).
흙소리는 깊은 독 속에서 말하는 소리와 같다.
또한 습이 성하면 목소리가 독 속에서 울리는 소리 같으면서
물에 잦아드는 것같다[동원].

'[內景篇] > [聲音]' 카테고리의 다른 글

[瘖瘂有二][음아유이]  (0) 2019.11.02
[厥氣爲瘖][궐기위음]   (0) 2019.11.02
[因雜病失音][인잡병실음]   (0) 2019.11.02
[卒然無音][졸연무음]   (0) 2019.11.01
[聲音出於腎][성음출어신]  (0) 2017.05.14

[淫邪發夢][음사는 꿈을 꾸게 한다] 
黃帝問曰 淫邪泮行奈何?
岐伯對曰 正邪從外襲 內而未有定舍 反淫于藏不得定處 與榮衛俱行
與魂魄飛揚 使人臥不安而喜夢 是以陰氣盛則夢涉大水而恐懼
陽氣盛則夢大火而燔灼 陰陽俱盛則夢相殺 上盛則夢飛 下盛則夢墮
飢則夢取甚 飽則夢與 肝氣盛則夢怒 肺氣盛則夢哭泣 心氣盛則夢善笑恐畏
脾氣盛則夢歌樂 身體重不擧 腎氣盛則夢脊兩解不屬(內經 淫邪發夢 第四十三).
황제가“음사(淫邪)가 만연된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정사(正邪)는 밖에서부터 몸 안으로 침습해 들어가는데
일정하게 머무르는 곳이 없다.
이것은 5장에 퍼져 정한 곳이 없이 영위(榮衛)를 따라 돌아다니기 때문에
혼백이 떠돌게 되어 잠자리가 불안하고 꿈을 잘 꾼다.
음기(陰氣)가 성하면 큰 물을 건너가는 꿈을 꾸고 무서우며 양기(陽氣)가 성하면
큰 불이 붙는 꿈을 꾸며 음양이 다 성하면 서로 사람을 죽이는 꿈을 꾼다.
상초가 성하면 날아다니는 꿈을 꾸고 하초(下焦)가 성하면 떨어지는 꿈을 꾼다.
배고프면 무엇을 가지는 꿈을 꾸고 배부르면 남에게 무엇을 주는 꿈을 꾼다.
간기(肝氣)가 성하면 성내는 꿈을 꾸고 폐기(肺氣)가 성하면 우는 꿈을 꾼다.
심기(心氣)가 성하면 웃기를 좋아하는 꿈이나 무서운 꿈을 꾸고
비기(脾氣)가 성하면 노래를 부르는 꿈이나 몸이 무거워 움직이지 못하는 꿈을 꾼다.
또한 신기(腎氣)가 성하면 허리뼈가 둘로 떨어져서 맞붙지 못하는 꿈을 꾼다.
又曰 厥氣
客于心 則夢見丘山烟火
客于肺 則夢飛揚 見金鐵之奇物
客于肝 則夢山林樹木
客于脾 則夢見丘陵大澤 壞屋風雨
客于腎 則夢臨淵 沒去水中
客于膀胱則 夢遊行
客于胃 則夢飮食
客于大腸 則夢田野
客于小腸 則夢聚邑街衢
客于膽 則夢鬪訟自刳
客于陰器 則夢接內
客于項則夢斬首
客于脛 則夢行走 而不能前 及居深地窌苑中
客于股肱 則夢禮節拜起
客于胞䐈則夢溲便(靈樞 淫邪發夢 第四十三)
또한 궐기(厥氣)가
심(心)에 머무르면 산이나 언덕, 연기나 불이 꿈에 보이고
폐(肺)에 머무르면 날아다니거나 쇠붙이로 만든 이상한 물건이 보인다.
궐기가 간(肝)에 머무르면 꿈에 산이나 나무가 보이고
비(脾)에 머무르면 꿈에 언덕이 있는 능이나 큰 못이나 집이 무너지는 것이나
비바람이 부는 것이 보인다.
신(腎)에 머무르면 연못가에 살면서 물에 빠지는 꿈을 꾸며
방광(膀胱)에 머무르면 놀러다니는 꿈을 꾼다.
위(胃)에 머무르면 음식을 먹는 꿈을 꾸고
대장(大腸)에 머무르면 논밭이 꿈에 보이며
소장(小腸)에 머무르면 복잡한 도시의 거리가 보이고
담(膽)에 머무르면 싸움하고 재판하며 자살하는 꿈을 꾸며
음기에 머무르면 성생활하는 꿈을 꾸고
목에 머무르면 머리를 베는 꿈을 꾸며 종아리에 머무르면 뛰려고 하나
앞으로 나가지 못하는 꿈이나 깊은 땅굴 속에 있는 꿈을 꾼다.
다리와 팔뚝에 머무르면 예절을 지키면서 절하는 꿈을 꾸고
자궁에 머무르면 대소변을 누는 꿈을 꾼다”고 하였다[영추].
一婦人 常夢與鬼神交 驚怕異常 及見神堂陰司 

舟楫橋梁 如此拾五年 竟無姙娠 諸治無效
戴人曰 陽火盛于上 陰水盛于下 見鬼神者 

陰之靈 神堂者 陰之所 舟楫橋梁 水之用也
診之兩手寸脈皆沈而伏 知其胸中有痰實也 

凡三涌 三泄 三汗 不旬日而無夢 一月而有娠(子和)
어떤 부인이 늘 꿈에 헛것과 성교를 하고 이상할 정도로 놀라며
무서워하였고 성황당, 무덤, 배와 다리가 꿈에 보였다.
이와 같이 15년 동안 지내면서 임신하지 못하여
여러 가지로 치료하였으나 효과가 없었다.
그런데 대인이 보고 나서 “상초에는 양화(陽火)가 성하고
하초에는 음수(陰水)가 성하다.
헛것이 보이는 것은 음기의 작용이고 성황당은 음이 있는 곳이며
배와 다리는 물의 반영이다.
그리고 양손의 촌맥을 보니 맥이 다 침(沈)하고 복(伏)한데
이것을 보아 가슴속에 담실증(痰實證)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하면서
세번 토하게 하고 세번 설사하게 하고 세번 땀을 내게 하였는데
10일이 못되어 꿈이 없어지고 1달이 못되어 임신하게 되었다[자화].  

[血爲榮][혈(血)은 영(榮)이 된다]
內經(五藏生成篇 第十)曰 血爲榮 榮於內
目得血而能視 足得血而能步 掌得血而能握 指得血而能攝.
내경에 “혈(血)은 영(榮)이 되어 속에서 영양한다.
눈은 혈을 받아야 볼 수 있고 발은 혈을 받아야 걸을 수 있다.
손바닥도 혈을 받아야 쥘 수 있고 손가락도 혈을 받아야 쥘 수 있다”고 씌어 있다.
劉宗厚曰 榮者 水穀之精也.
生化於脾 總統於心 藏受於肝 宣布於肺 施泄於腎 灌漑一身 目得之而能視
耳得之而能聽 手得之而能攝 掌得之而能握 足得之而能步 藏得之而能液
毖之而能傳.注之於脈少則澁 充則實.
常以飮食日滋 故能陽生陰藏 取汁變化而赤爲血也
是故血盛則形盛 血弱則形衰矣.
유종후(劉宗厚)는 “영(榮)이란 음식물의 정기인데 비(脾)에서 생겨 심(心)의
통솔을 받으며 간(肝)에 저장되고 폐(肺)에서 퍼지며 신(腎)에서 빠져 나간다.
영은 온몸을 축여 준다.
눈도 이것을 받아야 볼 수 있고 귀도 이것을 받아야 들을 수 있으며 손도
이것을 받아야 쥘 수 있으며 발도 이것을 받아야 걸을 수 있고 5장도
이것을 받아야 진액을 생겨나게 할 수 있으며 6부도 이것을 받아야
음식을 소화시켜 혈맥으로 보낼 수 있다.
영이 맥에 부족하게 들어가면 맥이 삽(澁)하고 많이 들어가면 맥이 실(實)하다.
날마다 음식을 먹기 때문에 양기가 생기고 음기가 불어난다.
영양물을 붉게 변화시킨 것이 혈이다.
그러므로 혈이 많아지면 몸이 튼튼해지고 혈이 부족하면 몸이 쇠약해진다”고 하였다.

'[內景篇] > [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情動血][칠정동혈]   (0) 2019.10.22
[熱能傷血][열능상혈]   (0) 2019.10.22
[脈法][맥법]   (0) 2019.10.22
[血爲氣配][혈위기배]   (0) 2019.10.22
[陰血生於水穀][음혈생어수곡]  (0) 2017.05.14

[五味生神][다섯 가지 맛에서 신이 생긴다]
[內經]曰 天食人以五氣 地食以五味
五氣入鼻 藏於心肺 上使五色修明 音聲盛能彰,
五味入口 藏於腸胃 味有所藏 以養五氣 氣和而生津液相成
神乃自生(內經 六節臟象論篇 第九)
내경에는 “사람은 하늘의 5기(五氣)를 먹고 땅의 5미(五味)를 먹는다.
5기는 코로 들어가서 심폐(心肺)에 간직되는데
위로 5색(五色)이 선명하고 음성이 명랑하다.
5미는 입으로 들어가서 장위(腸胃)에 저장되며 5미에 포함된 것으로 하여 5기를
영양해 주면 기가 조화되고 진액이 생겨나며 신(神)도 생겨나게 된다”고 씌어 있다.  

[氣生於穀] [음식물에서 기를 받는다]
[靈樞](營衛生會 第十八)曰 人受氣於穀 穀入於胃 以傳與肺
五臟六腑 皆以受氣 其淸者 爲榮 濁者 爲衛 榮在脈中 衛在脈外
榮周不休五十度而復大會 陰陽相貫 如環無端.
영추에는 “사람은 음식물에서 기를 받는다.
음식물이 위에 들어온 것을 폐에 전해 주면 5장 6부가 모두 기를 받게 된다.
그의 맑은 것은 영(榮)이 되고 그의 흐린 것은 위(衛)가 된다.
영은 맥 속에 있고 위는 맥 밖에 있다.
영이 쉬지 않고 50번을 돈 다음 다시 처음 돌기 시작한 데서 위와 만나게 된다.
이렇게 음양이 서로 관통되어 하나의 고리와 같이 끝이 없다”고 씌어 있다.
[又](決氣 第三十)曰 上焦開發 宣五穀味 熏膚充身澤毛
若霧露之漑 是謂氣.
또한 “상초가 작용하여 5곡의 기를 고루 퍼져 나가게 하며 살갗을 덥게 하고
몸을 충실히 하며 털을 윤기나게 하는 것이 마치 안개와 이슬이 축여 주는 것과 같다.
이것을 기(氣)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正理]曰 日啖飮食之精 熟者益氣 此氣生於穀 故從氣從米
人身之中 全具天地陰陽造化之氣 得謹而用之 人年二十而氣壯
節慾少勞 則氣壯而緩 多慾勞倦 則氣少而端 氣少則身弱
身弱則病生 病生則命危矣.
[정리]에는 “매일 먹는 음식의 영양분은 기를 보한다.
이 기가 곡식에서 생기기 때문에 ‘천기기’자에 ‘쌀미(米)’자가 들어 있다.
사람의 몸에는 천지의 음양을 조화하는 기가 완전히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응당 삼가해서 써야 한다.
사람이 20살이 되면 기운이 왕성하여지는데 성욕을 억제하고 피로를 적게 하면
기운이 왕성하면서도 숨이 고르게 되지만 성생활을 많이 하고 피로가 심해지면
기운이 적어지고 숨이 가쁘게 된다.
기운이 적어지면 몸이 약해지고 몸이 약해지면 병이 나고 병이 나면
생명이 위험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氣之原][생기지원]   (0) 2019.09.28
[榮衛異行][영위이행]   (0) 2019.09.26
[衛氣行度][위기행도]   (0) 2019.09.26
[氣爲衛 衛於外][기위위 위어외]  (0) 2019.09.26
[氣爲精神之根蔕][기위정신지근체]   (0) 2017.03.12

[大便原委][대변이 만들어지는 경위]
[難經]曰 大腸 小腸 會爲闌門.
盖胃中水穀腐熟 自胃下口 傳入於小腸上口 自小腸下口
泌別淸濁 水液入膀胱 爲溲尿, 滓穢入大腸 爲大便.
由闌門 而分別 關闌分隔 故名爲闌門也(綱目)
난경에 “대장과 소장이 이어지는 곳을 난문( 門)이라고 한다.
음식은 위(胃)에서 소화되어 위(胃)의 아랫구멍[下口]으로 나가
소장[小腸上口]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소장의 아랫부분[下口]에서 맑고 흐린 것이 갈라져서 수액(水液)은
방광에 들어가서 오줌이 되고 찌꺼기[滓穢]는 대장으로 들어가서 대변이 된다.
이와 같이 난문에서 갈라지는데 여기가 관(關)문의 난간 처럼 되어 있다고 하여
난문이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강목].
[內經](靈蘭秘典論篇 第八)曰 大腸者 傳導之官 化物出焉.
[註]曰 化物 謂大便也.
내경에 “대장은 전도지관(傳導之官)으로서 소화된 것을 내보낸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소화된 찌꺼기[化物]가 대변이다”고 씌어 있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泄證有五][설증유오]  (0) 2019.12.24
[脉法][맥법]   (0) 2019.12.24
[辨便色][변변색]   (0) 2019.12.24
[大便病因][대변병인]   (0) 2019.12.24

[小便原委][오줌이 만들어지는 경위]
[靈樞](營衛生會 第十八)曰 水穀者
常幷居胃中 成糟粕而俱下于大腸而成
下焦滲而俱下濟 泌別汁循下焦而滲入膀胱焉.
영추에는 “음식물은 늘 위(胃)에서 소화되어 대장으로 내려가면서
하초(下焦)의 작용을 받는데 이때에 여과되어 하초에 있는 방광으로
스며들어간 즙이 오줌이다”고 씌어 있다.
[內經]註曰 “水液者 廻腸泌別汁 滲入膀胱之中 胞氣化之 而爲尿而泄出也”
내경의 주해에는 “대장의 수액(水液)이 여과되어 조금씩 방광으로 스며들어가서
포(胞)의 기화(氣化)작용을 받아 오줌이 되어 나간다”고 씌어 있다.
[難經] 註曰 “水穀者 小腸盛受於闌門 以分別也.
其水卽滲灌 入於膀胱上口 而爲溲便”
詳此三說 則小便 卽泌別之水液 滲入膀胱 以出者也.
난경의 주해에는 “음식물이 소화되어 소장으로 내려왔다가 난문(蘭門)에서
수분이 따로 갈라져 방광으로 스며들어가서 오줌이 된다”고 씌어 있다.
[內經](經脈別論 篇二十一) 曰 飮入於胃 遊溢精氣
上輸於脾 脾氣散精 上歸於肺 通調水道 下輸膀胱 則小便.
내경에는 “음식이 위(胃)에서 소화되어 정기(精氣)가 위로 올라가 비(脾)로 간다.
그런데 비기는 그 정기를 펴서 위[上]에 있는 폐에 올려보내고
또한 수분이 돌아가는 길을 잘 통하게 하고 고르롭게[調] 되게 하여
수분을 방광으로 내려가게 한다”고 씌어 있다.
又似水飮 精微之氣 上升脾肺 運化而後成者也.
夫溲尿者 水也.
水之下流 其性則然也.
飮入於胃 其精氣雖上升 其本體固 不能上升 則豈可謂小便.
獨爲氣化所成哉.
오줌은 물과 같은데 음식물의 정미(精微)한 기가 위[上]로 올라가 비(脾)와
폐(肺)로 가서 작용을 한 뒤에 오줌이 된다.
오줌은 물과 같은데 물은 아래로 흐르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음식이 위(胃)에 들어가면 비록 정기는 위[上]로 올라가지만
그 본체는 잘 올라가지 못한다.
그런데 어떻게 오줌이 단지 기의 작용[氣化]에 의해서만 생긴다고 할 수 있겠는가.
[內經](靈蘭秘典論篇 第八)曰 “膀胱者 津液藏焉 氣化則能出矣".
且水者 氣之子 氣者 水之母 氣行 則水行 氣滯 則水滯 或者 謂小便純
由泌別 不由運化 盖不明 此理故也 (東垣).
내경에 “방광은 진액(津液)을 저장하는 곳이며 오줌은 기의 작용에 따라 나간다.
물은 기의 아들격[氣之子]이고 기는 물의 어머니격이므로 기가 가면 물도 가고
기가 막히면 물도 막힌다”고 씌어 있다.
어떤 사람들은 “오줌이란 순수 수액[泌]에서 짜낸 것이지 음식이 소화되어 생긴 것은
아니다”고 하는데 이것은 그 원리를 똑똑이 모르기 때문이다[동원].

'[內景篇] > [小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便不利][소변불리]   (0) 2019.12.17
[小便難外候][소변난외후]   (0) 2019.12.16
[脉法][맥법]   (0) 2019.12.16
[辨尿色][변뇨색]   (0) 2019.12.16
[脬爲尿器][포위뇨기]   (0) 2019.12.16

[三尸蟲][삼시충] 
中黃經曰 一者上蟲 居腦中 二者中蟲 居明堂 三者下蟲 居腹胃
名曰 彭琚 彭質 彭矯也.
惡人進道 喜人退志 上田 乃元神 所居之宮 惟人不能開 此關被 尸蟲居之
故生死 輪廻 無有了期 若能握元神 棲于本宮則尸蟲自滅 眞息自定 所爲一竅開
而萬竅齊開 大關通而百骸盡 通則天眞降靈 不神之神 所以神也(養性書)
중황경에는 “첫째는 상충(上蟲)인데 뇌 속에 있고

둘째는 중충(中蟲)인데명당(明堂)에 있고

셋째는 하충(下蟲)인데 뱃속[腹胃]에 있다.
이것을 팽거(彭 ), 팽질(彭質), 팽교(彭矯)라고도 한다”고 씌어 있다.
충들은 사람이 도(道)를 닦는 것을 싫어하고 마음이 타락하는 것을 좋아한다.
상전(上田)은 원신(元神)이 있는 곳인데 이 관문을 사람은 열지 못한다.
여기에 시충이 살고 있기 때문에 죽고 사는 것이 기한이 없이 흘러가는 것이다.
만일 원신을 잡아서 본궁 위에 살게 한면 시충은 저절로 죽고 생명은 안전하다.
이른바 한 구멍[竅]이 열리면 온갖 구멍이 다 열리고 대관(大關)이 통하면
온갖 뼈마디[百骸]가 다 통하기 때문에 천진(天眞)이 강령(降靈)해서
신령(神靈)하지 않으려 해도 신령해지는 것은 그것이 신령한 까닭이다[양성서].

'[內景篇] > [蟲]'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蟲外候][충외후]   (0) 2019.12.11
[脉法][맥법]   (0) 2019.12.11
[濕熱生蟲][습열생충]   (0) 2019.12.11
[五臟蟲][오장충]   (0) 2019.12.11
[九蟲][구충]  (0) 2019.12.11

[胞形象][포형상] 



胞者 [一名][赤宮],  [一名][丹田],  [一名][命門].
男子藏精 施化, 婦人繫胞 有孕, 俱爲生化之源 非五行也.
非水 亦非火 此天地之異名也. 象坤土之生萬物也(東垣).
포(胞)를 적궁(赤宮), 단전(丹田), 명문(命門)이라고도 하는데
남자는 여기에 정(精)을 저장했다가 내보낸다.
부인은 포가 있기 때문에 임신을 하게 된다.
그러니 포는 생명이 태어나는 근원이지 5행도 아니고 水도 아니며 火도 아니다.
이것은 자연의 작용을 달리 부른 이름이다.
즉 땅이 만물을 생겨나게 하는 것을 상징한 것이다[동원].
內經(五藏別論篇 第十一)曰 藏於陰而象於地 名曰 奇恒之府 .
[註]曰 奇異於恒常之六府也.
내경에 “포는 음(陰)에 위치해 있고 땅을 상징하였기 때문에
기항지부(奇恒之府)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6부(六府)와 특수하게 다르다”고 씌어 있다.
此胞 非膀胱 中盛尿之胞也.
이 포는 방광 속에 있는 오줌을 담는 포가 아니다.

'[內景篇] > [胞]'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月候形色][월후형색]   (0) 2019.12.09
[經行有異][경행유이]   (0) 2019.12.09
[脉法][맥법]  (0) 2019.12.08
[胞爲血室][포위혈실]   (0) 2019.12.08
[胞部位][포부위]   (0) 2019.12.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