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虛煩不睡][허번불수]
靈樞曰, 黃帝問曰, 人之目不瞑不臥者, 何氣使然.
伯高對曰, 衛氣晝日行於陽, 夜行於陰, 常從足少陰之分間, 行於五藏六府.
今厥氣客於藏府, 則衛氣獨衛其外, 不得入於陰.
行於陽則陽氣盛, 陽氣盛則陽蹻陷.
不得入於陰, 陰氣虛, 故目不瞑.
飮以半夏湯一劑, 陰陽已通, 其臥立至.
其方, 以流水千里外者八升, 揚之萬遍, 取其淸五升煮之, 炊以葦薪火沸, 置秫米一升,
治半夏五合. 徐炊令竭爲一升半, 去其渣, 飮汁一小盃, 日三, 稍益以知爲度.
其病新發者, 覆盃則臥, 汗出則已矣. 久者, 三飮而已也.
영추에서는 황제가 눈을 감지 못하고 자지 못하게 하는 것은
무슨 기운이 그러하게 하는가 라고 물었다.
백고가 대답하였다.
위기는 낮에는 양의 부위에서 돌고 밤에는 음의 부위에서 도는데
족소음경맥을 따라서 오장육부로 들어간다.
그런데 궐기(厥氣)가 장부에 침입하면 위기가 홀로 몸의 겉을 지켜야 하기 때문에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양에서만 돌게 된다.
그러면 몸 겉의 양기가 성해지는데 양기가 성해지면 양교맥의 기가 가득 차게 된다[陷].
위기가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면 음기가 허해지기 때문에 잠을 자지 못하게 된다"고 하였다.
반하탕 한 제를 먹으면 음양이 잘 통하게 되어 곧 잠이 온다.
그 처방은 다음과 같다.
천리 밖에서부터 흘러온 물 여덟 되를 만 번 휘저어 그 가운데 맑은 웃물 다섯 되를
갈대 짚을 땔감으로 하여 끓이는데, 차조 한 되, 법제한 반하 다섯 홉을 넣는다.
서서히 불을 지펴서 한 되 반이 되도록 졸인 후 그 찌꺼기는 버리고
작은 잔으로 한 잔씩 하루에 3번 먹는다. 조금씩 양을 늘여서 효과가 날 때까지 먹는다.
병이 갓 생긴 것은 약을 먹으면 곧 잠이 오고 땀이 나면서 낫는다.
오래된 병도 3번 먹으면 낫는다.
身不覺熱, 頭目昏疼, 口乾咽燥而不渴, 淸淸7)不寐, 皆虛煩也[三因].
몸에 열은 없으면서 머리와 눈이 흐리며 아프고,
입이 마르고 목 안이 마르나 갈증은 없고,
정신이 맑아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모두 허번(虛煩)이다(삼인).
大病後, 虛煩不睡, 溫膽湯主之.
甚者, 益元散 方見暑門 加朱砂牛黃服之[入門].
큰 병을 앓은 후에 허번으로 잠을 자지 못할 때는 온담탕으로 치료하는데,
심하면 익원산(처방은 서문에 있다)에 주사와 우황을 넣어 복용한다(입문).
但獨熱者, 虛煩也.
起臥不安, 睡不穩, 謂之煩.
宜竹葉石膏湯 方見寒門, 酸棗仁湯[入門].
자신만 열감(熱感)을 느끼는 것이 허번이다.
기거가 불안하고 잠이 편하지 못한 것을 '번(煩)'이라고 한다.
죽엽석고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이나 산조인탕을 쓴다(입문).
不寐有二種, 大病後虛弱, 及年高人陽衰不寐者, 六君子湯 方見痰門, 加炒酸棗仁黃芪.
如痰在膽經, 神不歸舍而不寐者, 溫膽湯加南星酸棗仁炒[醫鑑].
잠을 자지 못하는 데는 두 가지가 있다.
큰 병을 앓고 난 뒤 허약해져서 잠을 자지 못하거나 나이가 많은 사람이 양기가 쇠하여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육군자탕(처방은 담문에 있다)에 산조인(볶은 것)과 황기를 넣어 쓴다.
담경(膽經)에 담(痰)이 있어 신(神)이 제자리로 돌아가지 못하여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온담탕에 남성과 산조인(볶은 것)을 넣어서 쓴다(의감).
虛煩者, 心胸煩擾而不寧也.
內經曰, 陰虛則內熱.
今之虛煩, 多是陰虛生內熱所致.
是故傷寒吐下後, 及霍亂吐瀉後, 津液枯竭, 多有虛煩之證[醫鑑].
허번(虛煩)이란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러워서 편안하지 않은 것이다.
내경에서는 "음이 허하면 속에 열이 생긴다"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허번은 음이 허하여 속에서 열이 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상한(傷寒)으로 토하고 설사한 뒤나 곽란(霍亂)으로 토하고
설사한 다음에는 진액이 바짝 말라 허번증이 많이 생긴다(의감).
虛煩不睡, 宜寧志膏, 酸棗仁湯, 高枕無憂散, 眞珠母元, 獨活湯.
허번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데는 영지고, 산조인탕, 고침무우산, 진주모원, 독활탕을 쓴다.
勞心膽冷, 夜臥不睡, 定志元 方見神門, 加酸棗仁炒柏子仁炒, 朱砂乳香爲衣.
棗湯下五十丸. 加味溫膽湯亦主之[醫鑑].
마음을 수고롭게 하여 담(膽)이 차가워져 밤에 누워도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정지원(처방은 신문에 있다)에 산조인(볶은 것), 백자인(볶은 것)을 넣어 알약을 만들고,
주사와 유향으로 옷을 입혀 쉰 알을 대추 달인 물로 먹는다.
가미온담탕도 이런 병을 치료한다(의감).
癲狂不睡, 傷寒不睡 並見各門.
전광(癲狂)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과
상한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도 있다(모두 해당하는 문에 있다).
'[內景篇] > [夢]' 카테고리의 다른 글
[思結不睡][사결불수] (0) | 2019.10.30 |
---|---|
[魂離不睡][혼이불수] (0) | 2019.10.30 |
[昏沈多睡][혼침다수] (0) | 2019.10.30 |
[陽氣之出入爲寤寐][양기지출입위오매] (0) | 2019.10.30 |
[五藏虛實爲夢][오장허실위몽] (0) | 2019.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