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昏沈多睡][혼침다수]
靈樞曰, 足太陽有通項入于腦者, 正屬目本, 名曰眼系.

在項中兩筋間, 入腦乃別陰蹻陽蹻, 陰陽相交, 陽入陰, 陰出陽,

交于目銳眥 當作目內眥, 陽氣盛則瞋目, 陰氣盛則瞑目.

영추에서는 "족태양경은 목덜미를 통하여서 뇌로 들어가 바로 눈에 속하는데

이를 안계(眼系)라고 한다.

목덜미의 가운데 양 힘줄 사이를 지나서 뇌에 들어가 음교맥과 양교맥으로 나뉜다.

이 두 경맥의 음양이 서로 사귀어서 양은 음으로 들어가고 음은 양으로 나오는데,

목예자(目銳眦, 마땅히 목내자(目內眦)라고 하여야 한다)에서 사귄다.

양기가 성하면 눈을 부릅뜨고 음기가 성하면 눈을 감는다"고 하였다.

衛氣不得入於陰, 常留於陽, 留於陽則陽氣滿, 陽氣滿則陽蹻盛, 不得入於陰, 故目不暝.

又曰, 衛氣留於陰, 不得行於陽, 留於陰則陰氣盛, 陰氣盛則陰蹻滿, 不得入於陽, 故目閉[入門].

위기(衛氣)가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면 늘 양에 머무르게 되는데

양에 머무르면 양기가 가득 찬다.

양기가 가득 차게 되면 양교맥이 성하며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눈을 감지 못한다.

또한 위기가 음에 머무르게 되면 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위기가 음에 머무르면 음기가 성하게 된다.

음기가 성하면 음교맥이 가득 차서 양으로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눈이 감긴다(입문).
傷寒之邪, 傳入陰則多眠. 昏昏閉目者, 陰主闔也, 默默不欲言者, 陰主靜也.

太陽證已解而多眠者, 不必藥也.

陽明證, 熱伏於裏而多眠者, 宜小柴胡湯 方見寒門. 少陰之證, 脈微細但欲寐.

盖寤則行陽, 寐則行陰, 必從足少陰始.

故少陰病但欲寐, 宜茯苓四逆湯 方見寒門, 以益陰回陽.

或熱病得汗後, 脈沈細, 身冷喜臥, 昏沈不省, 亦急與四逆湯, 令四肢溫, 不爾, 有熟睡而死者.

惟汗下後酣眠者, 爲正氣已復, 不必藥也[入門].

상한(傷寒)의 사기가 음으로 전하여 들어가면 잠이 많아진다.

정신이 흐려지며 눈을 감는 것은 음이 닫는 것을 주관하기 때문이다.

가만히 있으면서 말하려 하지 않는 것은 음이 조용한 것을 주관하기 때문이다.

태양증(太陽證)이 이미 풀려서 잠을 많이 잘 때는 약을 쓸 필요가 없다.

양명증(陽明證)에 열이 속에 숨어서 잠을 많이 잘 때는 소시호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

소음증(少陰證)은 맥이 미세(微細)하고 오직 잠만 자려고 한다.

대개 깨어 있으면 위기가 양의 부위에서 돌고 잠들면 음의 부위에서 도는데,

반드시 족소음(足少陰)에서 시작한다.

그러므로 소음병에는 단지 자려고만 하는데,

이때는 복령사역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써서 음을 더하여주고 양기를 회복시킨다.

혹 열병에 땀을 낸 다음 맥이 침세(沈細)하고 몸이 차고 눕기를 좋아하고

정신이 혼미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할 때도

빨리 사역탕을 써서 팔다리를 따뜻하게 하여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깊이 잠들었다가 죽을 수도 있다.

땀을 낸 후에 푹 자는 것은 정기(正氣)가 이미 회복된 것이니 약을 쓸 필요가 없다(입문).

風溫多眠, 狐惑多眠 並見本門.

풍온(風溫)으로 잠을 많이 자거나

호혹(狐惑)으로 잠을 많이 자는 경우가 있다(모두 본문에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