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辨便色][변변색]
腸中寒, 則腸鳴飱泄.

腸中熱, 則出黃如糜[靈樞].

장(腸) 속이 차면 장에서 소리가 나고 삭지 않은 설사를 하며,

장 속에 열이 있으면 누런 죽과 같은 변이 나온다(영추).

瀉白爲寒, 靑黃紅赤黑皆爲熱也.

或以痢色靑爲寒者, 誤也.

傷寒少陰病, 下痢純靑水者, 熱在裏也.

小兒急驚, 利色多靑, 爲熱明矣.

痢色黃者, 脾熱也.

痢色紅者, 爲熱, 心火之色.

或赤者, 熱之甚也.

色黑者, 由火熱亢極, 則反兼水化, 故色黑也[原病].

허연 것을 설사하면 속이 차기 때문이며,

푸르거나 누렇거나 붉거나 검은 것은 모두 열 때문이다.

설사가 푸른 것은 속이 차기 때문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틀린 것이다.

상한 소음병에 퍼런 물 설사를 하는 것은 속에 열이 있기 때문이며,

어린아이가 갑자기 경풍(驚風)이 생겨 설사를 하면 대개 푸른빛인데,

이는 열 때문에 생긴 것이 분명하다.

설사가 누런색이면 비(脾)에 열이 있는 것이고, 설사가 붉은색[紅]이면 열 때문인데,

이는 심화(心火)의 색이다.

때로 짙은 뻘건색[赤]이 나는 것은 열이 심하기 때문이다.

검은색은 화열(火熱)이 극심하여 도리어 수(水)로 변하였기 때문에 검은빛을 띠는 것이다(원병).

血寒則凝, 痢色必紫黑成塊, 或雜膿血. 盖膿爲陳積也, 血爲新積也[入門].

혈(血)이 차면 뭉치므로 설사의 색은 반드시 검고 자주색이면서 덩어리가 지며

때로는 피고름이 섞여나온다.

이때 고름은 오랫동안 쌓여 있던 것이고, 혈은 쌓인 지 얼마 안 된 것이다(입문).

濕多成五泄如水傾下[入門].

습이 많으면 다섯 가지 설사[五泄]를 하는데 마치 물이 쏟아지듯 한다(입문).

熱痢紫黑色, 寒痢白如鴨溏, 濕痢下如黑豆汁,

風痢純下靑水, 氣痢狀如蟹浡, 積痢色黃或如魚腦,

虛痢色白如鼻涕凍膠, 蠱疰痢黑如雞肝[入門].

열리(熱痢)는 검고 자주색이며,

한리(寒痢)는 흰 것이 오리 똥 같으며,

습리(濕痢)는 검은콩의 즙같이 나오고,

풍리(風痢)는 퍼런 물 설사를 하며,

기리(氣痢)는 게거품 같고,

적리(積痢)는 누렇거나 물고기의 골과 같으며,

허리(虛痢)는 색이 하얀데 콧물이나 엉긴 풀 같고,

고주리(蠱疰痢)는 검은데 닭의 간 색과 같다(입문).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泄證有五][설증유오]  (0) 2019.12.24
[脉法][맥법]   (0) 2019.12.24
[大便病因][대변병인]   (0) 2019.12.24
[大便原委][대변원위]   (0) 2017.05.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