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泄證有五][설증유오]
有胃泄脾泄大腸泄小腸泄大瘕泄.
설사에는 위설(胃泄), 비설(脾泄), 대장설(大腸泄), 소장설(小腸泄), 대가설(大瘕泄)이 있다.
胃泄者, 飮食不化, 色黃, 宜胃風湯.

위설은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고 설사의 색이 누런 것인데, 위풍탕을 쓴다.
脾泄者, 腹脹滿泄注, 食則吐逆, 宜胃苓湯.

비설은 배가 불러 그득하고 설사를 하며 먹으면 토하는 것인데, 위령탕을 쓴다.
大腸泄者, 食已窘迫, 大便色白, 腸鳴切痛, 宜五苓散 方見寒門.

대장설은 음식을 먹고 나면 바로 대변을 누고 싶으며 대변의 빛이 허옇고

배에서 소리가 나면서 몹시 아픈데, 오령산(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
小腸泄者, 溲澁而便膿血, 小腹痛, 宜芍藥湯.

소장설은 오줌이 껄끄럽게 나오고 대변에 피고름이 섞여나오면서 아랫배가 아픈 것인데,

작약탕을 쓴다.
大瘕泄者, 裏急後重, 數至圊而不能便, 莖中痛, 宜大黃湯[醫林].

대가설은 뱃속이 당기듯이 아프면서 뒤가 무직하여 화장실에 자주 가도

대변이 나오지 않으며 음경 속이 아픈데, 대황탕을 쓴다(의림).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濕泄][습설]  (0) 2019.12.24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脉法][맥법]   (0) 2019.12.24
[辨便色][변변색]   (0) 2019.12.24
[大便病因][대변병인]   (0) 2019.1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