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汗][자한]
自汗者, 無時而濈濈然出, 動則爲甚, 屬陽虛, 胃氣之所司也.

治法宜補陽調胃[正傳].

자한이란 때없이 땀이 축축하게 나고 움직이면 더 심해지는데,

양허에 속하고 이는 위기(胃氣)로 인한 것이다.

치료법은 양을 보하고 위(胃)를 고르게 하여야 한다(정전).

靈樞曰, 衛氣者, 所以肥腠理, 司開闔者.

衛氣虛則腠理疎, 開闔無司而汗多矣.

영추에서는 "위기는 주리(腠理)를 충실하게 하고,

땀구멍을 열고 닫게 하는 일을 맡고 있다"고 하였다.

위기가 허하면 주리가 성기게 되고, 땀구멍을 열고 닫지 못하여 땀이 나게 된다.

內經曰, 汗出偏沮, 使人偏枯.

내경에서는 "땀이 몸의 반쪽에서만 나면 반쪽을 쓰지 못하고 야위게 된다"고 하였다.

多汗身軟者, 濕也.

心主熱, 脾主濕, 濕熱相薄, 如地之蒸氣爲雲雨霧露, 宜調衛湯, 玉屛風散.

胃熱者, 二甘湯[入門].

땀을 많이 흘리고 몸이 늘어지는 것은 습증(濕證)이다.

심은 열(熱)을 주관하고, 비는 습(濕)을 주관하는데,

습과 열이 서로 부딪쳐 땀을 흘리는 것이

마치 땅의 증기가 구름, 비, 안개, 이슬이 되는 것과 같다.

조위탕과 옥병풍산을 쓴다.

위(胃)에 열이 있으면 이감탕을 쓴다(입문).

自汗屬氣虛屬濕與痰.

氣虛用人蔘黃芪少加桂枝.

眞陽虛則少用附子, 童便煮 [丹溪].

자한은 기허(氣虛), 습(濕), 담(痰)에 속한다.

기허에는 인삼, 황기에 계지를 조금 더하여 쓰고,

진양(眞陽)이 허하면 부자를 조금 넣어 동변(童便)에 달인다(단심).
凡內傷及一切虛損之證, 自汗不止者, 總用補中益氣湯 方見內傷

少加附子麻黃根浮小麥, 其效如神. 但升柴俱用蜜水製炒, 以殺其升發勇悍之性,

又欲引其參芪等藥至肌表也[東垣].

무릇 내상증(內傷證)이나 모든 허손증(虛損證)으로 자한이 그치지 않는 경우에는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부자, 마황근, 부소맥을 조금 더하여서 쓰면

효과가 매우 좋다.

그런데 승마와 시호를 모두 꿀물에 축여 볶아 쓰는 것은 지나치게 끌어올려

발산시키는 성질을 누그러뜨리고,

또 인삼·황기 등의 약 기운을 끌어올려 기표(肌表)까지 이르게 하기 위해서이다(동원).

仲景桂枝湯, 治外感風邪, 自汗之聖藥也.

黃芪建中湯, 治外感氣虛, 自汗之神劑也.

補中益氣湯, 治內傷氣虛, 自汗之妙方也[東垣].

중경의 계지탕은 풍사(風邪)에 감촉되어 발생하는 자한에 좋은 약이다.

황기건중탕은 외감으로 기허하여 발생하는 자한에 좋은 약이다.

보중익기탕은 내상으로 기허하여 발생하는 자한에 좋은 약이다(동원).

傷寒自汗有九證 詳見寒門.

상한으로 자한이 나는 데는 아홉 가지 증이 있다(자세한 것은 한문에 있다).

自汗, 通用黃芪湯, 黃芪六一湯 方見癰疽, 參歸腰子, 牡蠣散,

小建中湯 方見虛門, 參芪湯, 雙和湯 方見虛門,

桂附湯, 朮苓湯, 鎭液丹, 參附湯, 芪附湯.

자한에는 황기탕, 황기육일탕(처방은 소갈문에 있다), 삼귀요자, 모려산,

소건중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삼기탕, 쌍화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

계부탕, 출령탕, 진액단, 삼부탕, 기부탕을 두루 쓴다.  

'[內景篇] > [津液]'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童子盜汗][동자도한]   (0) 2019.11.06
[盜汗][도한]   (0) 2019.11.06
[汗因濕熱][한인습열]   (0) 2019.11.05
[脈法][맥법]   (0) 2019.11.05
[腎主液][신주액]  (0) 2018.0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