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屑][금설][금가루]


性平 (一云寒) 味辛 有毒(生者有. 熟者無).
성질은 평하며(차다) 맛은 맵고 독이 있다.
(생것은 독이 있고 법제한 것은 독이 없다).
百鍊者堪入藥 生者有毒 殺人.
여러번 법제한 것을 약이되나 생것은 독이 있어 사람을 죽인다.
鎭精神 安魄定魂 鎭心 益五藏 添精補髓 治五藏風癎 失志 療小兒驚.
정신을 진정시키고 혼백을 안정케 하며

마음을 안정하고 5장을 보하며 정을 보태 주고 골수를 보한다.
또 5장의 풍간으로 정신을 잃은 것과 어린이의 놀라는 증을 낫게 한다.
醫家所用 皆鍊熟金箔 及以水煎 金器 取汁用之 固無毒矣.
의사들이 쓰는 것은 제련한 금박이나 금그릇을 물에 달여 그 물을 쓰므로 독이 없다.
本經不 曰金而更加屑字者 盖須烹鍊鍛屑爲箔 方可入藥(本草).
신농본초경에 “금이라고만 하지 않고 ‘설(屑)’자를 더 붙인 것은
제련한 부스러기로 꺼풀처럼 만들어서야 약에 넣어 쓸 수 있다”고 씌어 있다[본초].
世間 萬物 不能壞者 惟黃金一物耳 金者五行之極 五行相生 至金而極
세상만물에 변하여 없어지지 않는 것은 오직 황금 한 가지뿐이다.
금(金)은 5행의 극이다.
5행이 서로 생하는 것은 금에 이르러 끝난다.
天一生水 水生木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最後生備五行之氣 造化之功用 全矣
하늘에 첫번째로 물을 내고 물이 나무를 생기게 하며 나무가 불을 내고
불이 흙을 생기게 하며 흙이 금을 내어 맨 나중에 생겨서

5행의 기운을 조화시키는 기능이 온전해진다.
金之爲寶 熔之得水擊之 得火其柔象木 其色象土 水 火 土 木 四性 具備歷
萬年而不朽 經百鍊而愈 堅實剛健 純陽之寶也(正理).

금이 보배라는 것은 녹이면 물이 되고 치면[擊] 불을 내며 그 부드러운 것은 나무를 본땄고
그 빛은 흙을 본따서 물, 불, 흙, 나무의 4가지를 다 갖추었으므로 만년을 지나도 썩지 않고
백번 제련하여도 더욱 굳어지고 세어져서 순전한 양기를 가진 더할 나위 없는 보배이다[정리].
金畏[水銀] 黃金得水銀而變白 得火則 回其本色(參同).
금은 수은을 두려워한다.
금은 수은을 만나면 흰 색으로 변하나 불을 가하면 다시 본래의 빛으로 된다[참동]. 




'[湯液篇] > [金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靈砂][영사]   (0) 2019.09.15
[銀狢][은주]   (0) 2019.09.15
[輕粉][경분]   (0) 2019.09.15
[水銀][수은]   (0) 2019.09.15
[銀屑][은설]   (0) 2019.09.15

[朱砂][주사]


性微寒(一云凉). 味甘 無毒(一云微毒).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서늘하다고도 한다)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약간 독이 있다고도 한다).
一名 [丹砂] 生符陵山谷 又生辰州 故亦名辰砂.
일명 단사(丹砂)라고도 하는데 부릉산(符陵山)에서 나며
또 진주에서도 나기 때문에 진사(辰砂)라고도 한다.
採無時 以光明瑩澈 碎之嶄巖作墻壁 又似雲母 片可析者佳.
凡砂之絶好者爲[光明砂].
아무 때나 캔다.
주사는 광택이 있고 투명하며 깨뜨리면 격지 벽처럼 되어 있다.
또한 운모조각 같고 잘 꺾어지는 것이 좋다.
대개 주사 중에서 좋은 것을 광명사(光明砂)라고 한다.
但宜生使煉服少有不作疾.
一人服[伏火丹砂] 數粒 發大熱 數夕而斃.
生朱砂 初生小兒 便可服之.
因火力所變 便至殺人可 不謹歟(本草).
생으로 쓰는 것이 좋으며 다시 구워서 먹을 때는 조금 먹어야 병이 나지 않는다.
옛날에 어떤 사람이 불에 구운 단사를 몇 알 먹고 며칠밤 심한 열이 나다가 죽었다고 한다.
생주사는 갓난아이에게도 먹일 수 있다.
그러나 불에 의하여 주사의 성질이 변해서
독이 생기면 사람이 죽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본초].
細硏 水飛灰 椀內鋪厚紙滲 乾用(入門).
보드랍게 가루내어 수비한 뒤에 재를 넣은 사발에 두터운 종이를 깔고
그 종이 위에 수비한 주사를 놓아 습기를 빨아낸 다음 말려서 쓴다[입문].
積混元氣 一千年 初胎 名[玄水] 以千年 名[玄珠] 三千年 方成[水銀]
帶靑色屬木 四千年方成 [朱砂] 色赤屬火 至六千年七千年 方成顆塊(五行相類).

천지의 기운이 쌓여서 1천 년에 처음 어울린 것이 현수(玄水)이고
2천 년이 된 것은 현주(玄珠)이며 3천 년에야 수은(水銀)이 된다.
수은은 푸른 빛을 띠었기 때문에 목(木)에 속하고
4천 년이 되면 주사가 되는데 빛이 붉기 때문에 화(火)에 속한다.
또 6천 년 내지 7천 년이 되면 덩어리가 된다[오행상류].
主百病 養精神 安魂魄 益精神 明目 悅澤人面 通血脈 鎭心安神 殺精魅邪
惡鬼 中惡 心腹痛 除疥瘻 諸瘡 去息肉 潤心肺 久服通神明 不老 輕身神仙(本草).

모든 병을 낫게 하며 정신을 좋게 하고 안정시키며 눈을 밝게 하고 얼굴에 윤기가 돌게 한다.
또한 혈맥을 잘 돌게 하며 마음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흐리게 하는 사기와 가위 눌리는 것,

악귀를 몰아낸다.
중악, 명치 아래가 아픈 것, 옴, 여러 가지 헌데를 낫게 하고 군살을 없애며 심과 폐를 눅여 준다.
오래 먹으면 정신을 좋게 하며 늙지 않게 하고 몸이 가벼워진다.



'[湯液篇] > [石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礬][흑반]   (0) 2019.09.08
[綠礬][녹반]   (0) 2019.09.08
[礬石][반석]   (0) 2019.09.08
[石鍾乳][석종유]   (0) 2019.09.07
[雲母][운모]   (0) 2019.09.07

[玉屑][옥설]


味甘平 無毒.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除胃中熱 喘息 煩滿 止消渴 屑如麻豆服之.
위(胃) 속의 열을 없애고 천식과 속이 답답하고
그득한 것을 낫게 하며 갈증을 멈춘다.
삼씨만하게 만들어 먹는다.
玉可以[烏米酒] 及[地楡酒] 化之爲水
또한 파의 즙으로 녹여서 먹을 수도 있다.
삼씨만하게 깨뜨려 먹으면 속에 있는 더러운 찌꺼기가 다 나온다.
域以葱漿水 消之 可餌 屑如麻豆 服則滓穢 當完出也.
구슬을 깨뜨려 오미술(烏米酒)이나 오이풀술(地楡酒)에 넣으면 물이 된다.
玉屑一升 地楡炒一升 稻米一升 取白露三升 

同置銅器中煮米熟 絞取汁 玉屑化爲水
名曰[玉液]. 所爲 [神仙玉漿]也(本草).

옥설 1되, 오이풀 1되, 멥쌀 1되, 흰 이슬(白露) 3되를 

구리그릇에 넣고 쌀이 익을 때까지 삶아 물을 짜면 옥설이 녹아 물이 된다.
이것이 옥액(玉液)이며 또한 신선옥장(神仙玉漿)이라고도 한다[본초].

'[湯液篇] > [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眞珠][진주]   (0) 2019.09.07
[珊瑚][산호]   (0) 2019.09.07
[硶崿][파려]   (0) 2019.09.07

[桂皮][계피]


性大熱 味甘辛 有小毒
성질은 몹시 열하며 맛을 달고 매우며 조금 독이 있다.
主溫中 通血脈 利肝肺氣
治霍亂 轉筋 宣導百藥無所畏 能墮胎.
속을 따뜻하게 하며 혈맥을 잘 통하게 하고
간, 폐의 기를 고르게 하며 곽란으로 쥐가 이는 것을 낫게 한다.
온갖 약 기운을 고루 잘 퍼지게 하면서도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유산시킬 수 있다.
桂得葱而軟 葱液 可熬桂作水(本草).
계피는 파를 만나면 부드러워진다.
파 달인 물로 계피를 달이면 물이 되게 할 수 있다.
生南方三月四月生花全類茱萸九月結實
二月八月十月採皮陰乾凡使刮去㵋皮[本草]
남방에서 나며 음력 3월, 4월에 수유(茱萸)와 꼭 같은 꽃이 피고 음력 9월에 열매가 익는다.
음력 2월, 8월, 10월에 껍질을 벗겨 그늘에서 말린다. 쓸 때에 겉껍질을 긁어 버린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松脂][송지]   (0) 2019.08.14
[柳桂][유계]  (0) 2019.08.14
[桂枝][계지]   (0) 2019.08.14
[肉桂][육계]  (0) 2019.08.14
[桂心][계심]   (0) 2019.08.14

[黃精][황정 / 낚시둥굴레]  


性平味甘無毒主補中益氣安五藏補五勞七傷助筋骨益脾胃潤心肺

성질은 평()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

중초를 보하고 기를 도우며 5장을 편안하게 하고 57(五勞七傷)도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비위를 보하며 심폐를 눅여 준다[].

一名[仙人飯]三月生苗高一二尺葉如竹葉而短兩兩相對

莖梗柔脆頗似桃枝本黃末赤

四月開細靑白花子白如黍亦有無子

者根如嫩生薑黃色二月八月採根暴乾根葉花實皆可餌服

일명 선인반(仙人飯)이라고도 한다.

음력 3월에 돋아나며 키는 1-2자이다.

잎은 참대잎 같으나 짧고 줄기에 맞붙어 나온다.

줄기는 부드럽고 연한데 복숭아나무가지와 거의 비슷하다.

밑은 누르고[] 끝은 붉다.

음력 4월에 푸르고 흰빛의 잔 꽃이 피며 씨는 흰 기장(白黍)과 같다.

씨가 없는 것도 있다.

뿌리는 풋생강 비슷한데 빛은 누르다.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린다.

뿌리와 잎, , 씨 등을 다 먹을 수 있다.

其葉相對爲黃精不對爲偏精功用劣

잎은 한 마디에 맞붙어 난 것을 낚시둥굴레라 하고

맞붙어 나지 않은 것을 편정(偏精)이라 하는데 약효가 못하다.

其根雖燥拄柔軟有脂潤[本草]

낚시둥굴레의 뿌리는 말려도 누긋누긋하며[柔軟] 기름기와 윤기가 있다[본초].

黃精得太陽之精也入藥生用

若久久服餌則採得先用毙水綽過去苦味乃九蒸九暴[入門]

낚시둥굴레는 태양의 정기를 받은 것이다.

약으로는 생것대로 쓴다.

만일 오랫동안 두고 먹으려면 캐어 먼저 물에 우려서 쓴 맛을 빼버리고

아홉번 찌고 아홉번 말려 쓴다[입문].

我國惟平安道有之平時上貢焉[俗方]

우리나라에서는 다만 평안도에만 있다.

평상시에 나라에 바쳤다[속방].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參][인삼]   (0) 2019.05.14
[苦意][고의]   (0) 2019.05.12
[白菊花][백국화]  (0) 2019.05.12
[甘菊花][감국화]   (0) 2019.05.12
[菖蒲][창포]  (0) 2018.02.12

[生薑][생강] 

性微溫 味辛 無毒.
歸五藏 去痰下氣 止嘔吐 除風寒濕氣 療咳逆上氣喘嗽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이 매우며 독이 없다.
5장으로 가고 담을 삭히며 기를 내리고 토하는 것을 멎게 한다.
또한 풍한사와 습기를 없애고 딸꾹질하며 기운이 치미는 것과

숨이 차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性微溫 味辛 無毒.
歸五藏 去痰下氣 止嘔吐 除風寒濕氣 療咳逆上氣喘嗽
性溫而皮寒 須熱卽去皮要冷 卽留皮也(本草).
이 약의 성질은 따뜻하나[溫] 껍질의 성질은 차다[寒].
그러므로 반드시 뜨겁게 하려면 껍질을 버려야 하고 차게 하려면 껍질째로 써야 한다[본초].
能制半夏 南星 厚朴之毒. 止嘔吐 反胃之聖藥也(湯液).
끼무릇(반하), 천남성, 후박의 독을 잘 없애고 토하는 것과

반위(反胃)를 멎게 하는 데 좋은 약이다[탕액].
古云“不徹薑食言可常啖但勿過多爾 夜間勿食”
又云“八九月多食薑 至春患眼 損壽 減筋力”(本草)
옛날에 생강을 먹는 것을 그만두지 말라고 한 것은 늘 먹으라는 말이다.
그러나 많이 먹지 말아야 하며 밤에 먹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음력 8-9월에 생강을 많이 먹으면

봄에 가서 눈병이 생기고 오래 살지 못하게 되며 힘이 없어진다[본초].
我國 惟全州多産焉(俗方).
우리나라 전주에서 많이 난다[속방].
凡嘔吐 皆因氣逆 故用生薑之辛 以散之.
反胃 嘔吐 生薑汁 煮 粟米粥 食之(入門).
乾嘔 服薑汁1升 卽差(本草).
대체로 토하는 것은 기가 거슬러오르기 때문인데

이 때에는 맛이 매운 생강으로 헤쳐 주어야 한다.
반위로 토하는 데는 생강즙에 좁쌀을 넣고 죽을 쑤어 먹는다.
헛구역은 생강즙 2홉 반을 먹으면 곧 낫는다[본초].
主咳嗽上氣
주로 기침이 나고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生與乾 並治嗽(本草).
생것이나 마른 것도 다 기침을 치료한다[본초].
治嗽多 用生薑 以其辛能 發散也(正傳).
기침할 때 생강을 많이 쓰는 것은 이 약의 매운 맛이 발산을 잘 시키기 때문이다[정전].
咳嗽 喘急生薑3L 砂糖200g 同煎減半 常服之(千金)
기침이 나고 숨이 찬 데는

생강 2홉 반과 사탕 200g을 함께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서 늘 먹는다[천금].
久患咳逆 生薑汁半合 蜜一匙 煎令宿溫 分三服(本草)
오래된 딸꾹질에는

생강즙 반홉에 꿀 1숟가락을 타서 잘 달인 다음 뜨거울 때 세번에 나누어 먹는다[본초].
去痰下氣 又去冷淡 調胃氣(本草).
담을 삭이고 기를 내리며 냉담(冷痰)을 없애고 위기(胃氣)를 조화시킨다[본초].
治痰癖 生薑四錢 附子生二錢 右剉水煎服(本草).
담벽(痰癖)을 치료하는 데는 생강 16g과 부자(생것) 8g을 쓰는데

이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담벽(痰癖) : 담으로 생긴 적인데 주로 옆구리에 생기며 이따금씩 아프다.
開藏府. 常食不可闕也(本草).
장부(藏府)를 통하게 한다. 늘 먹지 않으면 안 된다.
和半夏煎服 主心下急痛.
生薑汁和 杏仁作煎 服下 氣結心胸痞 神效
끼무릇(반하)과 같이 달여 먹으면 명치 아래가 갑자기 아픈 것을 치료한다.
또 생강즙과 살구씨(행인)를 같이 달여 먹으면

기가 몰려서 가슴이 아프고 더부룩하던 것이 잘 멎는다.
治狐臭 取汁 常塗腋下 可絶根(本草).
겨드랑이에서 노린내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즙을 내어 겨드랑이에 늘 바르면 완전히 낫는다[본초].
治指爪破面 取汁調輕粉傅之 更無瘢痕(得效).
손톱으로 얼굴을 허빈 것[破]을 치료하는데

이 즙에 경분을 타서 바르면 흠집이 생기지 않는다[득효].
治霍亂 欲死 生薑200g切取
牛屎一升 同煎 取汁 服 卽效(本草).
곽란( 亂)으로 죽을 것 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생강(썬 것) 200g을 물 1되에 넣고 달여 즙을 내서 먹으면 곧 낫는다[본초].
開胃. 煎湯服之(本草).
위기를 통하게 하는 데 달여서 먹는다[본초].

散氣(丹溪).
생강은 기를 보한다. (단계)
能行陽而散氣 煎服良(湯液).
양기를 잘 돌게 하고 기를 헤치는데 달여 먹는 것이 좋다. (탕액)
皆發表 開腠理出汗 水煎服(本草)
땀을 나게 하여 표(表)를 푸는데 주리( 理)를 열어서 땀을 나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湯液篇] > [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芋子][우자]   (0) 2019.04.10
[乾生薑][건생강]   (0) 2019.04.10
[生薑汁][생강즙]   (0) 2019.04.10
[白薑][백강]   (0) 2019.04.10
[乾薑][건강]   (0) 2019.04.10

[蓮實][연실 / 연밥] 

性平寒味甘無毒

養氣力除百疾補五藏止渴止痢益神安心多食令人喜[本草]

성질은 평()하고 차며[] 맛이 달고[] 독이 없다.

기력을 도와 온갖 병을 낫게 하며 5장을 보하고 갈증과 이질을 멈춘다.

또한 정신을 좋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많이 먹으면 몸이 좋아진다[본초].

補十二經氣血[入門]

12경맥의 기혈을 보한다[입문].

一名[芝丹] 一名[瑞蓮]亦謂之[藕實]

其皮黑而沈水者謂之[石蓮]

入水必沈惟煎檩鹵能浮之處處有之生池澤中

八月九月取堅黑者用生則脹人腹中蒸食之良[本草]

일명 수지단(水芝丹) 또는 서련(瑞蓮) 또는 우실(藕實)이라고도 한다.

그 껍질은 검고 물에 가라앉는데 이것을 석련(石蓮)이라고 한다.

물에 넣으면 반드시 가라앉지만 소금을 넣고 달이면 뜬다.

연밥은 어느 곳에나 있으며 못에서 자란다.

음력 8-9월에 검고 딴딴한 것을 따서 쓴다.

생것으로 쓰면 배가 불러 오르기 때문에 쪄서 먹는 것이 좋다[본초].

其葉爲[]

其莖爲[]

其本爲[]

其花未發爲[稑嬓]

已發爲[芙蓉]

其實爲[]

其根爲[]

其中爲[]的中有靑長二分

爲[]味苦者是也

[芙呱]其總名也[本草]

그 잎은 ()’라고 하고

줄기는 ()’라 하며

밑그루는 이라 하고

피지 않은 꽃봉오리는 함담이라 하며

꽃이 핀 것은 부용(芙蓉)’이라고 하고

열매는 ()’이라고 하며

뿌리는 ()’라 한다.

연밥 가운데를 이라 하는데 이 적 가운데는 길이가 2푼쯤 되는 푸른 심이 있다.

이것을 ()’라고 하는데 맛이 쓰다.

부거()라고 하는 것은 통틀어서 이르는 말이다[본초].

凡用白蓮爲佳[日用]

대체로 흰 연밥을 쓰는 것이 좋다[일용].







'[湯液篇] > [果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橘皮][귤피]   (0) 2019.03.28
[蓮薏][연의]   (0) 2019.03.28
[蓮花][연화]   (0) 2019.03.27
[荷葉][하엽]   (0) 2019.03.27
[藕汁][우즙]   (0) 2019.03.27

[白蜜][백밀 / 꿀] 

性平一云微溫味甘無毒

主安五藏益氣補中止痛解毒

除衆病和百藥養脾氣止腸抌療口瘡明耳目

성질이 평()하고(약간 따뜻하다[微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 독이 없다.

5장을 편안하게 하고 기를 도우며 비위를 보하고 아픈 것을 멎게 하며 독을 푼다[].

여러 가지 병을 낫게 하고 온갖 약을 조화시키며 비기(脾氣)를 보한다.

또한 이질을 멎게 하고 입이 헌것을 치료하며 귀와 눈을 밝게 한다.

生諸山石中色白如膏者良

一名[石蜜]卽崖蜜也

산 속의 바위 틈에 있는 것으로서 빛이 희고 기름 같은 것이 좋다.

일명 석밀(石蜜)이라고 하는 것도 있는데 그것은 벼랑에 있는 꿀을 말한다.

生諸山石中或木中經二三年者氣味醇厚

人家畜養則一歲再取之取之旣數則氣味不足所以不

及陳白者爲良[本草]

 산 속의 바위 틈이나 나무통 안에서 2-3년 묵은 것이라야 성질과 냄새, 맛이 좋다.

양봉한 꿀은 1년에 두번 뜨는데 자주 뜨면 성질과 맛이 좋지 못하다.

때문에 묵어서 허옇게 된 것이 좋다[본초].

蠟取新蜜取陳也

凡煉蜜必須用

火熬開以紙覆經宿紙上去蠟盡再熬變色

大約一斤得十二兩爲佳不可過度[入門]

황랍은 새것을 쓰고 꿀은 묵은 것을 쓴다.

꿀은 반드시 다음과 같이 졸여야 한다.

불에 녹여서 하룻밤 종이를 덮어 두었다가 황랍이 종이 위에 다 올라붙은 다음

건져 버리고 다시 빛이 변하도록 졸여야 한다.

대체로 600g360g이 되게 졸이면 좋다.

지나치게 졸이면 안 된다[입문].




'[湯液篇] > [蟲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露蜂房][노봉방]   (0) 2019.03.18
[檣毈][장단]   (0) 2019.03.18
[白蠟][백랍]   (0) 2019.03.18
[蜜蠟][밀랍]   (0) 2019.03.18
[蜂子][봉자]   (0) 2019.03.18

[鯉魚膽][이어담 / 잉어쓸개] 

性寒味苦無毒主靑盲明目目熱赤痛療耳聾

성질이 차고[] 맛이 쓰며[] 독은 없다.

청맹과니[靑盲]를 낫게 하고 눈을 밝게 한다.

눈에 열이 있어 피가 지면서[] 아픈 것과 귀머거리를 치료한다.

點眼主赤腫次痛去障次[本草]

눈에 넣으면 피가 지고 부었던 것과 예막[ ]이 생겨서 아프던 것이 낫는다.

장예()도 낫게 한다[본초].   


'[湯液篇] > [魚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鯉骨][이골]   (0) 2019.03.16
[鯉目][이목]   (0) 2019.03.16
[鯉齒][이치]   (0) 2019.03.16
[鯉腦髓][이뇌수]  (0) 2019.03.16
[鯉魚肉][이어육]   (0) 2019.03.16

[龍骨][용골 / 용뼈]

性平一云微寒味甘無毒一云消毒

主養精神定魂魄安五藏逐邪氣安心神止瀉痢療夢泄

治一切失血收汗縮尿[本草] 

성질은 평()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달며[] 독이 없다(약간 독이 있다고도 한다).

정신이 좋아지게 하고 혼백을 안정시키며 5장을 편안하게 하며

사기(邪氣)를 몰아내고 심신(心神)을 진정시키며 설사, 이질, 몽설(夢泄)을 낫게 하고

일체 피흘리는 것[失血]을 멎게 하며 땀이 나지 않게 하고

오줌이 많이 나가는 것을 줄어 들게 한다[본초].  

凡入藥五色具者良黃白色者次黑色者下[本草] 

약으로는 5가지 빛이 나는 것이 좋다.

누렇고 허연 것[黃白色]은 그 다음이고 검은 것은 제일 못한 것이다[본초].  

作白地錦文玃之着舌者良[本草] 

허여면서 비단무늬 같고 혀에 대면 착 달라 붙는 것이 좋다[본초].  

龍骨澁劑也澁可去脫而固氣[湯液] 

용골은 삽제(澁劑)이다. 삽제는 빠져 나가는 것을 없애고 기를 든든하게 한다[固氣][탕액].  

火禭細硏或酒煮焙乾用採無時[本草]   

불에 달구어[] 보드랍게 가루내어[細硏] 쓰거나 술에 달여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쓴다.

아무 때나 채취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麝][수사]   (0) 2019.03.04
[麝肉][사육]   (0) 2019.03.04
[麝香][사향]   (0) 2019.03.04
[紫梢花][자소화]   (0) 2019.03.04
[龍齒][용치]   (0) 2018.0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