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破傷風病因][파상풍병인]

 

破傷風者 多由亡血 筋無所管 故邪得以襲之

所以傷寒 汗下過多 與夫病瘡人 及産後致斯病者 槩可見矣(三因).

파상풍은 흔히 피를 흘려서 힘줄을 영양하지 못할 때에 사기가 침습하면 생긴다.

그러므로 상한(傷寒) 때에는 지나치게 땀을 내거나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상처가 있는 사람과 몸 푼 뒤에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삼인].

 

破傷風者 初因擊破皮肉 視爲尋常殊不知 風邪乘虛 而襲變爲惡候

或諸瘡 久不合口 風邪內襲 或用湯淋洗 或着艾焚灸 其火毒之氣

逆與破傷風 邪無異也

其證 寒熱間作 甚則口噤目斜 身體强直 如角弓反張之狀 死在朝夕(正傳).

파상풍(破傷風)은 처음 피부가 살이 상했을 때 심상하게 여긴 탓으로

풍사(風邪)가 허한 틈을 타서 침습하여 나쁜 증으로 변하였거나

모든 상처가 오래도록 아물지 않아서 풍사(風邪)가 속으로 들어가면 생기게 된다.

더운물에 씻거나 뜸뜰 때 생기는 화독(火毒)의 기운도 역시 파상풍의 사기(邪氣)와 다름이 없다.

그 증상은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심하면 이를 악물고 눈이 비뚤어지며

몸이 뻣뻣해지면서 뒤로 잦혀지는 것인데 하루도 못 가서 죽는다[정전].

 

痓病 皆是難治也 多是血氣內虛 風痰盛而成痓病.

凡傷寒雜病 汗吐後 入風亦成痓 發瘡家汗亦成痓

産後去血多 亦成痓 有跌磕打傷 瘡口未合 貫風者亦 成痓

此名破傷風也(回春).

치병( )은 치료하기 어렵다.

흔히 속에 혈기(血氣)가 허()하고 풍담(風痰)이 성()하면 치병이 된다.

대체로 상한이나 잡병 때 땀을 내거나 토하게 한 다음에 풍사가 들어가도

치병이 생기고 습()이 많은 환자가 땀을 내어도 치병이 생기며

상처가 있는 환자가 땀을 내어도 또한 치병이 생기고

몸 푼 뒤에 지나치게 피를 흘려도 또한 치병이 생기며

타박을 당한 뒤 상처가 아물지 못하였는데 풍사를 받아도 역시 치병이 생긴다.

이것들을 파상풍이라고 한다[회춘].

[痓痙][치경]

 

痓與痙 亦驚風之類.

치경도 경풍(驚風)의 부류에 속한다.

眙者 手足氷冷 痙者 擧身强直

眙痙 本一病 當以 陽剛 陰柔 別之

剛者 有汗 柔者 無汗

其證 肢體强直 腰身反張 甚於風癎 大抵不治[直小]

치는 손발이 얼음처럼 차고 경()은 온몸이 뻣뻣해지는 것이다.

치와 경이 본래 한 가지 병인데 양강(陽剛)과 음유(陰柔)로 구별한다.

양강은 땀이 있고 음유는 땀이 없다.

그 증상은 팔다리와 몸이 뻣뻣하고 허리와 몸이 뒤로 젖혀지는 것이

풍간(風癎)보다 더 심한데 대체로 치료되지 않는다.[직소]

身軟時醒者 爲癎

身反張 强直如弓 不時醒者 爲眙 十無一生[湯氏].

몸이 뻣뻣하지 않고 금방 깨어나는 것은 간질이다.

몸이 뒤로 활처럼 젖혀지고 뻣뻣하며 금방 깨어나지 않는 것은

치병인데 10에 하나도 사는 것이 없다[탕씨].

證候治法 詳具風門

증상과 치료법은 풍문에 자세히 씌어 있다.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破傷風 有四因][파상풍 유사인]  (0) 2022.12.31
[破傷風病因][파상풍병인]  (8) 2022.12.30
[天吊驚風][천조경풍]  (0) 2022.12.27
[慢脾風不治證][만비풍불치증]  (3) 2022.12.26
[慢脾風][만비풍]  (0) 2022.12.19

[天吊驚風][천조경풍]

孫眞人曰 乘馬遠行 當沐浴 更衣然後 方可近於嬰兒 否則多爲天吊急驚之疾.

錢仲陽曰 步履糞穢之氣 無使近於嬰兒 令兒急驚風搐也(類聚).

손진인(孫眞人)말을 타고 멀리 갔다 와서는 반드시 목욕하고 옷을 갈아 입은 다음 애기의 곁에 가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흔히 천조급경풍(天弔急驚風)이 된다고 하였다.

전중양(錢仲陽)대변이나 더러운 것을 밟고 다니다가 애기의 곁에 가서

애기가 급경풍으로 경련이 일게 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유취].

 

天吊 亦驚風之證 但天吊發時 頭目仰視 驚風則無也(綱目).

천조도 또한 경풍의 일종이다.

천조는 발작할 때에 머리가 젖혀지고 눈은 위로 보는데 경풍은 그렇지 않다[강목].

 

小兒 瘈瘲不定 翻眼戴睛 狀若神祟 頭目仰視 手足抽掣 如魚之上釣

故曰天釣 甚者 爪甲亦靑 宜服蘇合香元方見氣門 方見上 小兒初生救急.

어린이의 손발이 계속 오그라들거나 늘어지며 눈이 뒤집혀져서 치뜨는 증상이

헛것에 들린 탈 같고 머리가 젖혀지며 눈은 위로 쳐다보고 손발에 경련이 일어나는

것이 물고기가 낚시에 걸려 올라오는 것과 같으므로 천조라고 했다.

병이 심하면 손톱도 푸르러진다.

이런 때에는 소합향원(蘇合香元, 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쓴다.

 

此由乳母 過食熱毒 心肺生熱 加以外感 風邪所致

宜用九龍控涎散 釣藤散 熱勝則保命丹方見上 急慢驚通治.

痰盛則抱龍丸方見上 急慢驚通治.

이것은 유모가 젖먹이에게 열독이 있는 음식을 지나치게 먹인 탓으로

심폐에 열이 생긴 데다가 밖으로 풍사를 받아서 생기는 것이다.

이때에는 구룡공연산(九龍控涎散)과 조등산(釣藤散)을 쓰는 것이 좋다.

열이 심하면 보명단(保命丹)을 쓰고 담이 성하면 포룡환을 쓴다.

 

又有 驚風內釣之證 腹痛多啼 面靑唇黑 傴僂反張

外腎腫 屎如米泔 眼有紅筋血點 乃寒氣壅結 宜釣藤膏(入門).

또는 경풍내조증(驚風內釣證)으로 배가 아파서 몹시 울며 얼굴이 푸르고

입술이 검으며 등이 앞으로 꼬부리기도 하고 뒤로 젖혀지기도 하며

고환이 붓고 오줌빛이 쌀 씻은 물 같으며 눈에 붉은 줄이나 점이 있는 것은

찬 기운이 몰리고 막힌 것이므로 조등고(釣藤膏)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破傷風病因][파상풍병인]  (8) 2022.12.30
[痓痙][치경]  (0) 2022.12.29
[慢脾風不治證][만비풍불치증]  (3) 2022.12.26
[慢脾風][만비풍]  (0) 2022.12.19
[急慢驚風通治][급만경풍통치]  (0) 2022.12.14

[慢脾風不治證][만비풍불치증]

身冷粘汗 直臥如尸 喘嗽 頭軟背直 口噤頭搖

大小便不禁 唇縮氣粗 痰如牽鋸之聲者 不治(直小).

몸이 차고 끈적끈적한 땀이 나오며 죽은 사람처럼 뻣뻣하여 누워 있고 숨이 차며

기침하고 머리에 힘이 없으며 등이 뻣뻣하고 이를 악물며 머리를 흔들고

대소변이 나오는 것을 참지 못하며 입술이 졸아들고 숨결이 거칠며

가래가 톱질하는 소리처럼 끓는 것은 치료할 수 없다[직소].

 

慢脾風 若也一藏絶卽 不可用藥

如眼無光 指甲黑 四肢垂軃 五體俱冷 並不須下藥(直小).

만비풍에 만일 한 장기의 기가 끊어지면 약을 쓸 필요가 없다.

만일 눈에 광채가 없고 손톱이 검으며 팔다리가 늘어지고

온몸이 다 싸늘한 것은 모두 약을 주지 말아야 한다[직소].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痓痙][치경]  (0) 2022.12.29
[天吊驚風][천조경풍]  (0) 2022.12.27
[慢脾風][만비풍]  (0) 2022.12.19
[急慢驚風通治][급만경풍통치]  (0) 2022.12.14
[慢驚風不治證][만경풍불치증]  (0) 2022.12.14

[慢脾風][만비풍]

 

慢脾風 由慢驚後吐瀉 損脾病傳已極 總歸虛處 惟脾所受 故曰脾風.

若逐風則無風可療 若療驚則無驚可療 但脾間 痰涎凝滯 虛熱往來

其眼合者 乃脾困氣乏 神迷也.

世所謂 慢風難療者 是也(直小).

만비풍은 만경풍을 앓은 후에 토하고 설사를 하여 비()를 상해서 생긴다.

병이 옮겨 가는 것이 극단에 이르면 모두 허하게 되고 이 허하게 된 것을

비가 받게 되므로 비풍(脾風)이라고 했다.

만일 풍을 몰아내려고 해도 몰아낼 풍이 없고

경련을 치료하려고 해도 치료할 경련이 없고

다만 비에 담연(痰涎)이 응체되고 허열이 있었다 없었다 하며

눈을 감고 있는 것은 비가 약해지고 기운이 부족하며 정신이 혼미한 것이다.

민간에서 말하기를 만비풍은 치료하기 어렵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을 말한 것이다[직소].

 

若見眼合 卽是脾風.

만일 눈을 감고 있으면 이것은 비풍(脾風)이다.

 

慢驚 察視爲要

眼睛昏定爲重 竄視爲重

四肢厥冷爲重 睛定不耳乏爲重

耳乏不左右顧亦重 汗出如流水重

口面忽作黲黯色至重 眼在半合半開之間

乃知陰氣所盛 傳入藏間 陽氣已虧 脾經屬陰 次第入脾 故言慢脾風候.

만경풍의 증상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눈알에 정기가 없으면 중()하고 눈알이 위나 아래로 돌아가는 것도 중하다.

그리고 팔다리가 싸늘한 것도 중하고 눈을 똑바로 뜨고 깜박이지 않는 것도 중하다.

눈을 깜박거려도 좌우로 돌아가지 않는 것도 또한 중하다.

땀이 줄줄 흐르는 것도 중하고 입과 얼굴이 갑자기 검푸르게 되는 것은 매우 중하다.

눈을 반쯤 감고 반쯤 뜨는 것은 음기가 성하여 5장에 들어가고 양기는 허해진 것이다.

비경(脾經)은 음에 속하는데 이것은 점차 비()에 들어가므로 만비풍이라는 증상이 나타난다.

 

慢驚 其眼半開半合 則當預作慢脾風 調理之.

만경풍으로 눈을 반쯤 뜨고 반쯤 감으면 미리 만비풍으로 조리해야 한다.

 

慢脾風之候 面靑額汗 舌短頭低 眼合不開

睡中搖頭吐舌 頻嘔腥臭 噤口咬牙 手足微搐而不收

或身冷或身溫 而四肢冷 其脈沈微 陰氣極盛

胃氣極虛 十救一二 盖由慢脾風而傳變

宜用 黑附湯 救之 又生附四君子湯 蝎附散 皆可(直小).

만비풍의 증상은 얼굴이 푸르고 이마에 땀이 나며 혀가 오그라들고

머리가 처지며 눈을 감고 뜨지 못한다.

또한 잘 때에 머리를 흔들고 혀가 나오며 자주 구역질하면서 비린내가 나고

이를 악물며 이를 갈고 손발에 약간 경련이 일면서 거두지 못한다.

혹 몸이 싸늘하기도 하며 혹 몸이 달기도 하면서 팔다리가 싸늘하고

맥이 침미(沈微)한 것은 음기가 극도로 성하였을 뿐 아니라

위기가 극도로 허한 것이므로 10명에 1-2명이나 살 수 있다.

대체 만경풍에서 전변된 것은 흑부탕(黑附湯)으로 치료해야 한다.

또 생부사군자탕(生附四君子湯)이나 갈부산(蝎附散)을 써도 된다[직소].

 

慢脾風 用藥 乃不得已也.

其危如燈無油 漸見昏滅

錢氏 用 金液丹靑州白元子各半硏勻飯 飮薄荷湯下6g 此截風回陽也(直小).

만비풍에 약을 쓰는 것은 마지못해서이다.

그 위태로운 것이 마치 등불에 기름이 없어서 점점 어두워지다가 꺼지는 것과 같다.

전씨(錢氏)는 금액단(金液丹)과 청주백원자(靑州白元子)를 각각 절반씩 함께 갈아서

미음이나 박하 달인 물에 6g씩 타 먹이는데 이것은 풍을 없애고 양기를 회복시키는 것이다[직소].

 

小兒頭雖熱 眼珠靑白而足冷

頭雖熱 或腹脹而足冷

頭雖熱 或泄瀉而足冷

頭雖熱 或嘔吐而足冷

頭雖熱 或渴而足冷 已上五證 作搐者 名曰 慢脾風

速與補脾益眞湯加全蝎一枚 或全蝎觀音散方見上 慢驚風(直小).

어린이가 비록 머리는 더워도 눈알이 푸르고 희며 발이 싸늘한 것,

머리는 더워도 혹 배가 창만하고 발이 싸늘한 것,

머리가 더워도 혹 설사하고 발이 싸늘한 것,

머리가 더워도 혹 토하고 발이 싸늘한 것,

머리가 비록 덥더라도 혹 목이 마르고 발이 싸늘한 것 등

5가지 증상이 있으면서 경련이 이는 것을 만비풍이라고 한다.

이때 빨리 보비익진탕에 전갈 1개를 더 넣어 쓰거나 전갈관음산을 쓴다[직소].

[急慢驚風通治][급만경풍통치]

備急丸 牛黃抱龍丸 保命丹 至聖保命丹 千金散 星香散 朱粉散 奪命散 探生散.

비급환, 우황포룡환, 보명단, 지성보명단, 천금산, 성향산, 주분산, 탈명산, 탐생산 등을 쓴다.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慢脾風不治證][만비풍불치증]  (3) 2022.12.26
[慢脾風][만비풍]  (0) 2022.12.19
[慢驚風不治證][만경풍불치증]  (0) 2022.12.14
[驚風治驗][경풍치험]  (2) 2022.12.12
[慢驚風][만경풍]  (3) 2022.12.01

[慢驚風不治證][만경풍불치증]

 

慢驚 四肢厥冷 吐瀉咳嗽 面黯神慘 胃痛鴉聲

兩脇動氣 口生白瘡 髮直搖頭 眼睛不轉 涎鳴喘噎

頭軟 大小便不禁 手足一邊牽引者 皆不治(醫鑒).

만성 경풍에 팔다리가 싸늘하며 구토설사하고 기침하며 얼굴빛이 검고

애처로워 보이며 위부가 아파서 우는 것이 까마귀 소리 같고

양쪽 옆구리에 동기(動氣)가 있으며 입 안이 허옇게 헐고 머리털이 곧추 서며

머리를 흔들고 눈알이 돌아가지 않으며 가래가 끓고 숨이 차며 목이 메고

머리에 힘이 없으며 대소변이 절로 줄줄 나가고 손발이 한쪽으로 땡기는 것은

모두 치료하기 어렵다[의감].

 

似搐而不甚搐 似睡而精神慢 四肢與口中氣皆冷 睡中露睛

或胃痛而啼哭如鴉聲 此證 已危 盖脾胃虛損故也(寶鑒).

경련이 이는 것 같으면서도 그리 심하게 일지 않으며

잠을 자는 것같이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팔다리와 입김이 싸늘하며

잘 때에 눈을 채 감지 못하고 자거나 위 부위가 아파서 우는 것이

까마귀 소리 같은 것은 벌써 위험해진 것인데,

이것은 비위가 허손되었기 때문이다[보감].

 

慢驚欲絶之時 虛痰上攻 咽喉引氣 呼吸粗大 脈來浮數 是謂陰盛强陽

錯認以爲陽氣已復 直與峻藥下痰 痰隨藥下氣 隨痰絶人 以醫殺咎之

此不識覆燈 將絶之候 雖不下藥 亦無生意矣(直小).

만경풍으로 숨이 끊어지려 할 때에 허한 담()이 위로 목구멍을 치밀어서 기를

끌어올려 호흡이 거칠고 맥이 부삭(浮數)한 것은 음이 성하여 양도 강해진 것이다.

이것을 양기가 이미 회복된 것으로 잘못 알고 성질이 센 약으로 담을 내리면

담은 약을 따라 내려가고 기도 담을 따라 끊어진다.

이런 것을 의사가 사람을 죽였다고 비방하나

이것은 엎어진 등불이 곧 꺼지려고 하는 증상인 것을 알지 못한 것이다.

비록 내릴 약을 쓰지 않았더라도 살 수는 없는 것이다[직소].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慢脾風][만비풍]  (0) 2022.12.19
[急慢驚風通治][급만경풍통치]  (0) 2022.12.14
[驚風治驗][경풍치험]  (2) 2022.12.12
[慢驚風][만경풍]  (3) 2022.12.01
[急驚風 不治證][급경풍 불치증]  (0) 2022.11.30

[驚風治驗][경풍치험] [경풍을 치료한 경험]  

 

一小兒 吐瀉 諸醫 以藥下之 至虛變成慢驚

其候 昏睡露睛 手足瘈 瘲而面身冷.

錢氏 與瓜蔞湯 其兒卽開目而身溫

其兒不大小便 諸醫 以藥利之

錢氏曰 不當大小便利之 必身冷一二月 果身冷

錢氏曰 不能食而胃虛 若利大小便 則脾胃俱虛

當身冷而閉目卽死 今幸胎氣實而難衰也

益黃散方見五藏 使君子丸方見本書 四服後 果能飮食.

後又不語 諸醫作失音治之

錢曰 此因凉藥利小便 致脾腎俱虛 今脾已實 腎尙虛

六味地黃元 一月而痊 聲音如故(錢乙)

어떤 어린이가 구토설사해서 여러 의사들이 약을 썼으나 낫지 않고 허해져서 만경풍이 되었다.

그 증상은 혼곤해서 눈을 채 감지 않고 자며 손발이 오그라들거나 힘없이 늘어지며 몸이 싸늘하였다.

전씨(錢氏)는 과루탕(瓜蔞湯, 처방은 본서에 있다)을 써주었다.

그랬더니 아이는 곧 눈을 뜨고 몸이 따뜻해졌다.

그 아이가 또 대소변을 보지 못해서 여러 의사들은 약으로 잘 나가게 하였다.

전씨는 오줌을 누게 하는 약을 쓰는 것은 적당치 못하다.

오줌을 누게 하면 반드시 몸이 싸늘해질 것이다고 하였다.

과연 1-2일 후에 그 어린이의 몸이 싸늘해졌다.

전씨는 음식을 먹지 못하여 위가 허해졌는데 또 대소변을 잘 누게 하면 비위가 다 허해져서 반드시 몸이 싸늘해지고 눈을 감으면서 죽는 법인데 지금 이 아이는 다행히 태기가 실하기 때문에 쉽게 쇠약해지지 않았다고 하였다.

그래서 익황산(益黃散, 처방은 5장문에 있다), 사군자환(四君子丸, 처방은 본서에 있다)을 네번 먹였더니 후에 과연 음식을 먹게 되었다.

그후 또 말을 못해서 여러 의사들이 실음(失音)으로 치료하였다.

그런데 전씨는 이것은 성질이 찬약으로 오줌을 누게 하여 비()와 신()이 더 허해졌기 때문이다.

지금 비는 실해졌으나 신이 아직 허하므로 육미지황원을 1달 동안 쓰라고 하여 썼더니 나아서 목소리가 전과 같아졌다고 하였다[전을].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急慢驚風通治][급만경풍통치]  (0) 2022.12.14
[慢驚風不治證][만경풍불치증]  (0) 2022.12.14
[慢驚風][만경풍]  (3) 2022.12.01
[急驚風 不治證][급경풍 불치증]  (0) 2022.11.30
[急驚風][급경풍]  (6) 2022.11.20

[慢驚風][만경풍]

 

慢驚者 得於大病之餘 吐瀉之後 及過服寒凉藥

其證 眼慢騰騰 或露睛 手足瘈瘲 面色靑白 渾身四肢冷 黙黙不聲 其脈 沈遲

白朮散 益黃散 防風 冬瓜仁煎服(得效).

만경풍은 중한 병을 앓은 뒤나 토하고 설사한 뒤나 성질이 차고 서늘한 약을 지나치게 먹은 데서 생긴다.

그 증상은 눈에 정기가 없거나 눈이 다 감기지 않으며 손발이 오그라들거나 늘어지고 얼굴빛이 퍼렇고 희며 온몸과 팔다리가 싸늘해지고 멍해 있으면서 소리를 내지 못하며 맥은 침지(沈遲)하다.

이때에는 백출산(白朮散)이나 익황산(益黃散)에 방풍과 동아씨를 더 넣어 달여 먹인다[득효].

 

慢驚者 因吐瀉日久 中氣太虛而得

其身冷口鼻中氣寒 大小便淸白 昏睡露睛 目上視 手足瘈瘲

盖脾虛則生風 風盛則筋急

宜用黃芪湯 溫白丸(正傳).

만경풍은 오랫동안 토하고 설사하여 중기(中氣)가 몹시 허해서 생긴다.

이때 몸은 싸늘하고 입과 콧김이 차며 대소변이 푸르고 희며 혼곤하여 잠만 자는데

이때 눈이 다 감기지 않거나 눈을 치뜨기도 하며 손발이 오그라들기도 하고 늘어지기도 한다.

대체로 비()가 허하면 풍()이 생기고 풍이 성하면 힘줄이 당긴다.

이런 때에는 황기탕(黃 湯), 온백환(溫白丸)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陰證慢驚 自急驚 陽證傳來纔經吐瀉 便是慢驚

男子 以瀉得之爲重 女子以吐得之爲重.

음증만경풍(陰證慢驚風)은 양증급경풍(陽證急驚風)으로부터 오는데

토하고 설사한 뒤에 비로소 만경풍이 생긴다.

남자는 설사로 만경풍이 생기면 중하고 여자는 토하기로 만경풍이 생기면 중하다.

 

慢驚者 眼半開半合 似睡不睡 十指或開或合 似搐不搐

口眼手足 有時牽掣 脈或浮或沈 身或凉或熱 或吐或瀉 或不吐瀉 或食乳或不乳

名半陰半陽合病 因吐瀉得者 宜加味朮附湯 醒脾散 養乳方 虛風痰多 宜八仙散.

만경풍은 눈을 절반만 뜨고 절반을 감으며 자는 것 같으면서도 자지 않고

열 손가락을 폈다 혹 쥐었다 하며 경련이 이는 것 같으면서 경련이 일지 않고

입과 눈, 손발이 때때로 켕기며 맥은 부()하기도 하고 침()하기도 하며

몸이 차기도 하고 달기도 하며 토하기도 하고 설사하기도 하며

혹 토하거나 설사를 하지 않기도 한다.

이것은 반음반양(半陰半陽)이 합병한 것이다.

토하고 설사한 탓으로 만경풍이 생긴 데는 가미출부탕(加味朮附湯), 성비산(醒脾散), 양유방(養乳方)을 쓰고 허한 데다 풍담이 많으면 팔선산(八仙散)을 쓴다.

 

慢驚 純陰證 宜烏蝎散 陽證尙在 宜蟬蝎散.

만경풍이 순음증(純陰證)일 때에는 오갈산(烏蝎散)을 쓰고

양증이 아직 남아 있으면 선갈산(蟬蝎散)을 쓰는 것이 좋다.

 

方前慢候 而尙有陽證(入候尙在) 不必回陽

但與截風調胃 用蟬蝎散 醒脾散

若手足氷冷 方可回陽 用硫黃 附子.

如腦麝 銀粉 巴硝輩 一切禁斷(入門).

만경풍으로 넘어가려 하면서도 아직 양증이 있는 것은(8후가 아직도 있다)

반드시 양을 회복시킬 필요는 없고

다만 풍을 없애고 위()를 조화시켜야 하는데 선갈산(蟬蝎散), 성비산(醒脾散)을 쓴다.

만약 손발이 얼음처럼 차면 양을 회복시켜야 하는데 유황, 부자를 쓴다.

용뇌, 사향, 은분, 파초 같은 것들은 일체 금해야 한다[입문].

 

古云 病家怕驚不怕瀉

醫家怕瀉不怕驚

如泄瀉不止且先治瀉

若更治風則驚風愈甚(直小)

옛날에 병이 생긴 집에서 경련이 이는 것은 두려워하나 설사하는 것은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러나 유능한 의사는 설사하는 것을 두려워하나 경련이 이는 것은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만일 설사가 멎지 않으면 먼저 설사를 치료해야 한다.

만일 또 풍만 치료하면 경풍은 더욱 심해진다[직소].

 

瀉滑靑者 宜防慢驚 盖瀉靑色者 乃夾驚木剋土也.

푸른 빛의 대변을 몹시 설사할 때에는 만경풍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대개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은 곧 경풍이 생기는데

이것은 목()이 토()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凡兒瀉出靑色者 由脾土受肝木 剋勝而見本質 由其藏之虛寒 黃芪益黃散主之.

대개 어린이가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은 간목(肝木)이 비토(脾土)를 억눌러서 간 본래의 빛을 나타내는 것이며 비가 허하고 차서 그런 것이므로 황기익황산(黃 益黃散)을 주로 쓴다.

 

小兒慢驚 或吐利不止 變成虛風 搐搦者 非風也

胃氣欲絶 故也. 來復丹方見寒門5粒 硏碎 米飮送下 卽效(得效).

어린이의 만경풍에 혹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아 허풍(虛風, 만비풍)으로 전변되어 경련이 이는 것은 풍이 아니다.

이것은 위기(胃氣)가 끊어지려고 하는 것이므로 내복단(來復丹,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5알을 갈아서 미음으로 먹이면 곧 낫는다[득효].

 

慢驚 宜用溫驚丸方見上 急驚風 神效散 觀音散 全蝎觀音散 三味天漿子散 補脾湯 保生丹 延生丹 參朮半夏湯 防風元 銀白散(諸方).

만경풍에는 온경환, 신효산, 관음산, 전갈관음산, 삼미천장자산, 보비탕, 보생단, 연생단, 삼출반하탕, 방풍원, 은백산 등을 쓴다[제방].

 

涎盛 宜奪命散方見下 急慢驚風通治雙金丸 南星飮(諸方).

담연(痰涎)이 성한 데는 탈명산(奪命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 쌍금환, 남성음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제방].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慢驚風不治證][만경풍불치증]  (0) 2022.12.14
[驚風治驗][경풍치험]  (2) 2022.12.12
[急驚風 不治證][급경풍 불치증]  (0) 2022.11.30
[急驚風][급경풍]  (6) 2022.11.20
[胎驚 癎風][태경과 간풍]  (0) 2022.11.18

[急驚風 不治證][급경풍 불치증]

眼睛翻轉 口中出血 兩足擺跳 肚腹搐動

摸體尋衣 神昏氣促 噴藥不下

通關不嚔 心中熱痛 忽大叫者 皆不治(醫鑒).

눈알이 뒤집히고 입에서 피가 나오며 발버둥질치고 배가 뒤틀리며

몸과 옷을 만지작거리고 정신이 혼미하며 숨이 차고 약을 뱉으면서 넘기지 못하며

코에 약을 넣어도 재채기가 안 나고 가슴 속이 달면서[] 아파하며

갑자기 큰소리를 지르는 것은 다 치료하지 못한다[의감].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驚風治驗][경풍치험]  (2) 2022.12.12
[慢驚風][만경풍]  (3) 2022.12.01
[急驚風][급경풍]  (6) 2022.11.20
[胎驚 癎風][태경과 간풍]  (0) 2022.11.18
[驚風發搐不可把捉][경풍발 불가파착]  (0) 2022.11.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