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慢驚風][만경풍]

 

慢驚者 得於大病之餘 吐瀉之後 及過服寒凉藥

其證 眼慢騰騰 或露睛 手足瘈瘲 面色靑白 渾身四肢冷 黙黙不聲 其脈 沈遲

白朮散 益黃散 防風 冬瓜仁煎服(得效).

만경풍은 중한 병을 앓은 뒤나 토하고 설사한 뒤나 성질이 차고 서늘한 약을 지나치게 먹은 데서 생긴다.

그 증상은 눈에 정기가 없거나 눈이 다 감기지 않으며 손발이 오그라들거나 늘어지고 얼굴빛이 퍼렇고 희며 온몸과 팔다리가 싸늘해지고 멍해 있으면서 소리를 내지 못하며 맥은 침지(沈遲)하다.

이때에는 백출산(白朮散)이나 익황산(益黃散)에 방풍과 동아씨를 더 넣어 달여 먹인다[득효].

 

慢驚者 因吐瀉日久 中氣太虛而得

其身冷口鼻中氣寒 大小便淸白 昏睡露睛 目上視 手足瘈瘲

盖脾虛則生風 風盛則筋急

宜用黃芪湯 溫白丸(正傳).

만경풍은 오랫동안 토하고 설사하여 중기(中氣)가 몹시 허해서 생긴다.

이때 몸은 싸늘하고 입과 콧김이 차며 대소변이 푸르고 희며 혼곤하여 잠만 자는데

이때 눈이 다 감기지 않거나 눈을 치뜨기도 하며 손발이 오그라들기도 하고 늘어지기도 한다.

대체로 비()가 허하면 풍()이 생기고 풍이 성하면 힘줄이 당긴다.

이런 때에는 황기탕(黃 湯), 온백환(溫白丸)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陰證慢驚 自急驚 陽證傳來纔經吐瀉 便是慢驚

男子 以瀉得之爲重 女子以吐得之爲重.

음증만경풍(陰證慢驚風)은 양증급경풍(陽證急驚風)으로부터 오는데

토하고 설사한 뒤에 비로소 만경풍이 생긴다.

남자는 설사로 만경풍이 생기면 중하고 여자는 토하기로 만경풍이 생기면 중하다.

 

慢驚者 眼半開半合 似睡不睡 十指或開或合 似搐不搐

口眼手足 有時牽掣 脈或浮或沈 身或凉或熱 或吐或瀉 或不吐瀉 或食乳或不乳

名半陰半陽合病 因吐瀉得者 宜加味朮附湯 醒脾散 養乳方 虛風痰多 宜八仙散.

만경풍은 눈을 절반만 뜨고 절반을 감으며 자는 것 같으면서도 자지 않고

열 손가락을 폈다 혹 쥐었다 하며 경련이 이는 것 같으면서 경련이 일지 않고

입과 눈, 손발이 때때로 켕기며 맥은 부()하기도 하고 침()하기도 하며

몸이 차기도 하고 달기도 하며 토하기도 하고 설사하기도 하며

혹 토하거나 설사를 하지 않기도 한다.

이것은 반음반양(半陰半陽)이 합병한 것이다.

토하고 설사한 탓으로 만경풍이 생긴 데는 가미출부탕(加味朮附湯), 성비산(醒脾散), 양유방(養乳方)을 쓰고 허한 데다 풍담이 많으면 팔선산(八仙散)을 쓴다.

 

慢驚 純陰證 宜烏蝎散 陽證尙在 宜蟬蝎散.

만경풍이 순음증(純陰證)일 때에는 오갈산(烏蝎散)을 쓰고

양증이 아직 남아 있으면 선갈산(蟬蝎散)을 쓰는 것이 좋다.

 

方前慢候 而尙有陽證(入候尙在) 不必回陽

但與截風調胃 用蟬蝎散 醒脾散

若手足氷冷 方可回陽 用硫黃 附子.

如腦麝 銀粉 巴硝輩 一切禁斷(入門).

만경풍으로 넘어가려 하면서도 아직 양증이 있는 것은(8후가 아직도 있다)

반드시 양을 회복시킬 필요는 없고

다만 풍을 없애고 위()를 조화시켜야 하는데 선갈산(蟬蝎散), 성비산(醒脾散)을 쓴다.

만약 손발이 얼음처럼 차면 양을 회복시켜야 하는데 유황, 부자를 쓴다.

용뇌, 사향, 은분, 파초 같은 것들은 일체 금해야 한다[입문].

 

古云 病家怕驚不怕瀉

醫家怕瀉不怕驚

如泄瀉不止且先治瀉

若更治風則驚風愈甚(直小)

옛날에 병이 생긴 집에서 경련이 이는 것은 두려워하나 설사하는 것은 두려워하지 않았다.

그러나 유능한 의사는 설사하는 것을 두려워하나 경련이 이는 것은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만일 설사가 멎지 않으면 먼저 설사를 치료해야 한다.

만일 또 풍만 치료하면 경풍은 더욱 심해진다[직소].

 

瀉滑靑者 宜防慢驚 盖瀉靑色者 乃夾驚木剋土也.

푸른 빛의 대변을 몹시 설사할 때에는 만경풍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대개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은 곧 경풍이 생기는데

이것은 목()이 토()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凡兒瀉出靑色者 由脾土受肝木 剋勝而見本質 由其藏之虛寒 黃芪益黃散主之.

대개 어린이가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은 간목(肝木)이 비토(脾土)를 억눌러서 간 본래의 빛을 나타내는 것이며 비가 허하고 차서 그런 것이므로 황기익황산(黃 益黃散)을 주로 쓴다.

 

小兒慢驚 或吐利不止 變成虛風 搐搦者 非風也

胃氣欲絶 故也. 來復丹方見寒門5粒 硏碎 米飮送下 卽效(得效).

어린이의 만경풍에 혹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아 허풍(虛風, 만비풍)으로 전변되어 경련이 이는 것은 풍이 아니다.

이것은 위기(胃氣)가 끊어지려고 하는 것이므로 내복단(來復丹,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5알을 갈아서 미음으로 먹이면 곧 낫는다[득효].

 

慢驚 宜用溫驚丸方見上 急驚風 神效散 觀音散 全蝎觀音散 三味天漿子散 補脾湯 保生丹 延生丹 參朮半夏湯 防風元 銀白散(諸方).

만경풍에는 온경환, 신효산, 관음산, 전갈관음산, 삼미천장자산, 보비탕, 보생단, 연생단, 삼출반하탕, 방풍원, 은백산 등을 쓴다[제방].

 

涎盛 宜奪命散方見下 急慢驚風通治雙金丸 南星飮(諸方).

담연(痰涎)이 성한 데는 탈명산(奪命散, 처방은 아래에 있다), 쌍금환, 남성음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제방].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慢驚風不治證][만경풍불치증]  (0) 2022.12.14
[驚風治驗][경풍치험]  (2) 2022.12.12
[急驚風 不治證][급경풍 불치증]  (0) 2022.11.30
[急驚風][급경풍]  (6) 2022.11.20
[胎驚 癎風][태경과 간풍]  (0) 2022.1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