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癍疹][반진[반과 진을 덧붙임]  

 

有色點而無顆粒者 曰癍 浮小而有顆粒者 曰疹(正傳).

빛깔만 다르게 나타나고 싸락알갱이 같은 것이 돋지 않은 것을 반[]이라 하고

작은 싸락알갱이 같은 것이 돋는 것은 진()이라고 한다[정전].

 

癍紅痕如錦紋 或如蚊跡 熱極 則發疹者

如粟米 微紅隱隱皮膚 不出作痒 全無腫痛.

반은 비단무늬나 모기에 물린 자리 같기도 한데 열이 아주 심해지면 생긴다.

그러나 진은 좁쌀 같은 것이 돋는데 약간 붉으며 은은히 피부로 내돋지 않으면 가렵고 붓고 아프지는 않다.

 

麻子最小 隱隱如麻子 頂平軟不碍指 卽有淸水

痘多挾疹同出 麻亦多挾疹同出 故曰痘疹 麻疹

홍역의 꽃은 제일 작을 뿐 아니라 은은히 나타나고 삼씨와 같고 꼭대기가 평평하고

부드러워서 손가락으로 만져도 거치적거리지 않고 속에 맑은 물이 있다.

마마 때 구슬은 대개 진과 함께 돋고 홍역 때 꽃도 대개 진과 함께 나오기 때문에 두진(痘疹), 마진(麻疹)이라고 했다.

 

痘屬五藏爲陰 難出難靨 麻屬六府爲陽 易出而靨.

마마는 5장에 속하고 음증이기 때문에 구슬이 돋기 어렵고 딱지도 앉기 어렵다.

홍역은 6부에 속하고 양증이기 때문에 쉽게 꽃이 돋고 쉽게 없어지기도 한다.

 

麻毒 原來只肺胃 紅癍五六日 方出 狀如麻子 遍身無空處

初熱三日 發出起脹 共三日出 而又沒 沒而又出 出沒一周時許

重者 遍身繃脹 眼亦封閉有赤白 微黃色 不同 仍要紅活 最嫌黑陷.

홍역의 독은 원래 폐위(肺胃)와 관련되므로 붉은 꽃이 5-6일 만에 내돋는데

그 모양이 삼씨 같고 온몸에 돋지 않는 곳이 없다.

3일 동안은 열이 나고 3일 동안은 꽃이 돋으면서 물이 실리는데 먼저 돋은 것은 사라지고

또 한쪽으로는 돋는데 이렇게 돋았다 사라졌다 하기를 한돌림[一周時] 한다.

중한 것은 온몸이 부은 것 같고 눈을 뜨지 못하기도 하며 빛이 붉고 희며 약간 누른 것이 하나 같지 않다.

불그스름하고 윤택한 것이 제일 좋고 검고 속으로 꺼져 들어가는 것이 제일 좋지 않다.

 

麻疹雜證 與痘瘡大同 但始終 藥宜淸凉.

홍역 때의 잡증(雜證)이 대체로 마마 때와 비슷하다.

다만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약들 쓰되 성질이 서늘하고 찬 것을 쓰는 것이 좋다.

 

麻疹 以升麻葛根湯方見寒門 方見上 發熱三朝 加葱白 紫蘇葉 乃麻疹初起之神方也

或用蘇葛湯 亦佳 或以加味敗毒散方見上 發熱三朝 表之 汗後身凉 紅痕自滅.

홍역에는 승마갈근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파밑(총백)과 차조기잎(자소엽)을 더 넣어 쓰는데 홍역 초기에 좋은 처방이다.

혹 소갈탕(蘇葛湯)을 써도 좋으며 혹 가미패독산(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서

해표(解表)해서 땀을 내면 후에 몸이 서늘하고 붉은 꽃이 절로 사라진다.

 

麻不出而喘者死

變成黑癍者 亦死(入門).

홍역 때에 꽃이 내돋지 않고 숨이 차면 죽을 수 있다.

꽃이 검어져도 죽을 수 있다[입문].

 

麻疹 當以葱白湯飮之 其麻自出 如渴只宜 葱白湯

以滋其渴 使毛竅中常微汗 潤澤可也.

過三日不沒者 內有實熱 犀角地黃湯方見血門 方見上 丹毒解之(醫鑒).

홍역 때 총백탕을 먹이면 꽃이 절로 내돋으며 만일 갈증이 있으면 다만 총백탕을

먹여서 갈증을 눅여 주며 털구멍으로 약간의 땀이 늘 축축하게 나오도록 하는 것이 좋다.

3일이 지나도 꽃이 사라지지 않는 것은 속에 실열이 있는 것이므로

서각지황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으로 풀어 준다[의감].

 

癍駁 疹毒之病 是肺胃熱毒 熏發於皮膚 狀如蚊蚤所咬 故謂之 赤癍

今俗謂之 紅疫 毒疫 宜用葛根麥門冬散(丹心).

얼굴얼룩하게 내돋은 반진독의 병은 폐와 위에 있는 열독이 피부로 나와서 생긴 것인데 그 모양이 마치 모기나 벼룩에게 물린 자리 같기 때문에 적반[赤癍]이라고 한다.

지금 민간에서는 홍역(紅疫), 독역(毒疫)이라 하는데 갈근맥문동산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附孕婦痘瘡][부잉부두창]  (3) 2023.12.08
[痘後痢疾][두후이질]  (2) 2023.12.07
[痘後癰癤][두후옹절]  (2) 2023.12.03
[治痘後瞖膜 點法][치두후예막 점법]  (3) 2023.12.03
[痘後瞖膜][두후예막]  (4) 2023.11.20

[孕婦痘瘡][부잉부두창]    [임신부에게 생긴 마마를 덧붙임]

孕婦發痘瘡 宜罩胎散

熱甚 宜參蘇飮方見寒門 方見上 搐搦 瘈瘲輕重 瘡稠密

內托散方見上 起脹三朝 倍芍藥 當歸 去桂 加香附 烏藥,

胎動 宜安胎散(正傳).

임신부에게 마마가 생긴 데는 조태산이 좋다.

열이 심하면 삼소음(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 좋고 구슬이 배게 돋은 데[稠密]

내탁산(처방은 위에 있다)에 집함박꽃뿌리(백작약)와 당귀를 곱절 넣고

계피는 빼고 향부자와 오약을 더 넣어 쓴다.

태동(胎動)이 있으면 안태산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附 癍疹][부 반진]  (2) 2023.12.10
[痘後痢疾][두후이질]  (2) 2023.12.07
[痘後癰癤][두후옹절]  (2) 2023.12.03
[治痘後瞖膜 點法][치두후예막 점법]  (3) 2023.12.03
[痘後瞖膜][두후예막]  (4) 2023.11.20

[痘後痢疾][두후이질]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

 

痘後下痢膿血 或下腸垢

宜用犀角地黃湯方見血門 方見上 丹毒 黃連阿膠元方見大便(正傳).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이질로 피고름이 나오거나 곱이 나오는 데는

서각지황탕(처방은 혈문에 있다), 황련아교원(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痘後下利 黃赤膿血 宜服薤白湯(入門).

마마를 앓은 뒤에 이질로 불그누르스름한 피고름이 나오는 데는 해백탕을 먹이는 것이 좋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附 癍疹][부 반진]  (2) 2023.12.10
[附孕婦痘瘡][부잉부두창]  (3) 2023.12.08
[痘後癰癤][두후옹절]  (2) 2023.12.03
[治痘後瞖膜 點法][치두후예막 점법]  (3) 2023.12.03
[痘後瞖膜][두후예막]  (4) 2023.11.20

[痘後癰癤][두후옹절]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

 

凡 痘癰必先 手足及脈絡之處

或有紅腫 或有硬痛處 皆發癰之兆也

痘末愈則不須治.

대체로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은 먼저 손발과 맥락이 있는 곳에 생기는데

혹은 벌겋게 붓거나 딴딴하고 아픈 곳이 있으면 다 옹이 발생하려는 징조이다.

마마가 낫지 않았으면 치료하지 말 것이다.

 

痘毒流注脈絡 輕者 結核瘡癤而已

甚者 頭面 胸脇 手足 肢節 焮腫作痛

宜用消毒湯.

마마독이 맥락에 들어간 것이 경()하면 멍울이 몰리거나 헌데나 뾰두라지가 날 따름이고

심하면 머리, 얼굴, 가슴, 옆구리, 손발, 팔다리의 뼈마디가 달면서 붓고 아프다.

이때에는 소독탕(消毒湯)을 쓰는 것이 좋다.

 

痘癰膿血不收 宜用歛肌散.

두옹(痘癰)으로 피고름이 걷히지 않는 데는 염기산(斂肌散)을 쓰는 것이 좋다.

 

痘後生疳瘡 疥癬 宜用金華散(入門).

마마를 앓은 뒤에 감창(疳瘡)과 옴이 생긴 데는 금화산(金華散)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痘疹餘毒 未解頭面身體 多生癰癤 宜用犀角化毒丹(醫鑒).

마마와 홍역의 여독이 다 풀리지 않아서 머리와 얼굴, 몸에 흔히

옹이나 절이 생긴 데는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을 쓰는 것이 좋다[의감].

 

痘癰 鍼後成疳蝕瘡 膿水不止 若不治則多潰爛筋骨 終成廢人

宜用雄黃散 綿繭散(綱目).

두옹에 침을 놓은 뒤에 감식창이 되어 계속 물 같은 고름이 나오는 것을

치료하지 않으면 힘줄과 뼈를 상해서 흔히 병신이 될 수 있다.

이때는 웅황산(雄黃散)이나 면견산(綿繭散)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痘癰初起 紅腫時 黑 菉 赤三豆醋浸硏 取汁 以鷄羽蘸刷上 隨手退消 神效.

두옹이 처음 생길 때 벌겋게 부어 오른 데는 검정콩(흑두), 녹두, 붉은 팥 등을

식초에 담갔다가 갈아서 즙을 내어 닭의 깃으로 묻혀 발라 주면 곧 없어질 뿐 아니라 잘 낫는다.

 

痘後癰毒腫痛 宜消毒飮方見上 痘瘡治法 必勝膏(正傳).

마마를 앓은 뒤에 옹독으로 붓고 아픈 데는 소독음(처방은 위에 있다), 필승고(必勝膏) 등이 좋다[정전].

 

痘靨落後 餘毒不盡 變成癩癬苦痒 臘猪油塗之 神妙(綱目).

구슬에 딱지가 떨어진 뒤에 여독이 다 없어지지 않아 피부가 문둥병처럼 되어서

몹시 가려운 데는 음력 섣달에 잡은 돼지기름을 발라 주면 잘 낫는다[강목].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附孕婦痘瘡][부잉부두창]  (3) 2023.12.08
[痘後痢疾][두후이질]  (2) 2023.12.07
[治痘後瞖膜 點法][치두후예막 점법]  (3) 2023.12.03
[痘後瞖膜][두후예막]  (4) 2023.11.20
[痘後諸疾][두후제질]  (0) 2023.11.20

[治痘後瞖膜 點法][치두후예막 점법]

治痘後瞖膜

生鮮魚倒懸 刺項下取血 點瞖上 最妙(直指).

痘後瞖 雖云 不宜點藥 惟此最妙(直指).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예막을 치료한다.

두렁허리(선어)를 거꾸로 달아매고 목을 찔러 흐르는 피를

예막에 떨구면 아주 묘하게 낫는다[직지].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긴 예막에 약을 넣어서는 안 된다고 하나

오직 이것만은 아주 좋다[직지].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痘後痢疾][두후이질]  (2) 2023.12.07
[痘後癰癤][두후옹절]  (2) 2023.12.03
[痘後瞖膜][두후예막]  (4) 2023.11.20
[痘後諸疾][두후제질]  (0) 2023.11.20
[痘後雜病][두후잡병]  (2) 2023.11.15

[痘後瞖膜][두후예막]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예막]

痘後餘毒入眼 生瞖膜 遮睛 用瀉靑丸方見五藏 大效

初覺易治 每取2丸 或3丸 以竹葉煎湯 和砂糖化下 微利神效(東垣).

마마를 앓은 뒤에 여독이 눈에 들어가 예막이 생겨서 눈동자를 가린 데는

사청환(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쓰면 잘 낫는다.

병 초기이면 치료하기 쉽다.

한번에 2-3알씩 사탕을 넣은 참대잎 달인 물에 사청환을 풀어 먹이고 나서

조금 설사하면 예막이 잘 낫는다[동원].

 

痘疹入眼 生瞖膜 宜密蒙花散 通聖散(活人).

마마의 독이 눈에 들어가서 예막이 생긴 데는

밀몽화산(密蒙花散), 통성산(通聖散) 등이 좋다[활인].

 

痘毒入眼 生瞖膜 宜用蟬猪散 半年內者 一月取效 一年者 不治(錢乙).

마마의 독이 눈에 들어가서 예막이 생긴 데는 선저산(蟬猪散)을 쓰면

반년 이내의 것은 한 달이 되면 효력이 나고 1년이 된 것은 치료하지 못한다[전을].

痘後生瞖 但活血解毒 則疼痛自止

마마를 앓은 뒤에 눈에 예막이 생긴 데는 혈()을 잘 돌게 하고

()을 풀어 주면 아픔이 절로 멎고 예막이 없어진다.

瞖膜自去 不宜點藥 盖毒氣自藏達外 點藥攻逼 反以爲害.

無瞖 但眼目無光者 過百日 氣血復則自明.

눈에 약을 넣어서는 안 된다.

대개 독기는 속에서 밖으로 나오는 것인데 약을 넣어 오히려 들어가게 하면 해롭다.

예막은 없고 다만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은 100일이 지나서 기혈이 회복되면 자연히 눈이 밝아진다.

痘後眼腫痛 或生赤脈 或白膜遮睛 四邊散漫者 易治

마마를 앓은 뒤에 눈이 붓고 아프거나 핏줄이 섰거나 흰 막이 눈동자를 덮으면서 주위가 산만한 것은 쉽게 낫는다.

若暴遮黑睛 多致失明 宜用地黃散.

만일 갑자기 검은 눈동자를 가렸으면 흔히 눈이 먼다.

이런 때에는 지황산(地黃散)을 쓰는 것이 좋다.

食毒物 睛凸出 宜二仙散.

독이 있는 음식물을 먹어서 눈알이 불룩 나온 데는 이선산(二仙散)이 좋다.

 

眼腫突如桃者 貼護眼膏方見上 護眼.

眼腫不開 黃連末調 雞子淸 貼兩太陽穴 及兩足心(入門).

눈알이 복숭아처럼 불룩 나온 데는 호안고(처방은 위에 있다)를 붙인다.

눈이 부어서 뜰 수 없는 데는 황련가루를 달걀 흰자위에 개어 두 태양혈과 두 발바닥에 붙인다[입문].

 

痘瘡入眼 雖赤白障瞖膜 遮漫黑睛 但瞳子不陷者 可治 宜用決明元.

구슬이 눈에 돋아서 적백예장과 예막이 검은자위를 약간 가려도 눈알만 꺼져 들어가지 않았으면 치료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결명원(決明元)을 쓰는 것이 좋다.

 

痘後 生瞖障 宜用 蟬菊散 羗菊散(得效).

마마를 앓은 뒤에 예막이 생긴 데는 선국산, 강국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痘後 生瞖膜 宜服通明散 兼用吹雲散入耳 又宜 免屎湯 四皮飮(諸方).

마마를 앓은 뒤에 예막이 생긴 데는

통명산(通明散)을 먹이고 겸해서 취운산(吹雲散)을 귀에 넣는다.

또는 토시탕(兎屎湯), 사피음(四皮飮)도 좋다[제방].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痘後癰癤][두후옹절]  (2) 2023.12.03
[治痘後瞖膜 點法][치두후예막 점법]  (3) 2023.12.03
[痘後諸疾][두후제질]  (0) 2023.11.20
[痘後雜病][두후잡병]  (2) 2023.11.15
[滅癍][멸반]  (2) 2023.11.12

[痘後諸疾][두후제질]   [마마를 앓은 뒤의 여러 가지 병]

有痘後 瞖膜 痘後癰癤 痘後痢疾 凡三條

마마를 앓은 뒤에 대체로 예막( ), 옹절(癰癤), 이질(痢疾) 3가지가 생길 수 있다.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痘後瞖膜 點法][치두후예막 점법]  (3) 2023.12.03
[痘後瞖膜][두후예막]  (4) 2023.11.20
[痘後雜病][두후잡병]  (2) 2023.11.15
[滅癍][멸반]  (2) 2023.11.12
[護眼][호안]  (0) 2023.11.11

[痘後雜病][두후잡병]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

痘疹 愈而再發 或氣虛禀弱 坐臥振搖者 宜用保元湯方見上 方見上 通治

마마가 나았다가 도지거나 타고난 체질이 약한 탓으로

앉으나 누우나 몸이 떨리는 데는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愈後 忽遍身靑黑 口噤搐搦 此氣虛感風 宜用消風散方見頭門.

마마가 나은 뒤에 갑자기 온몸이 검푸르고 이를 악물며 경련이 일어나는 것은

기가 허한 데다 풍에 상한 것이므로 소풍산(처방은 두부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愈後 非時發搐 目竄面赤 乃心熱挾痰 宜用抱龍丸方見上 急驚風(入門).

마마가 나은 뒤에 갑자기 경련이 일고 눈을 치뜨며 얼굴이 붉은 것은

()에 열이 있는 데다 담을 겸한 것이므로 포룡환(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愈後 餘瘡 塞鼻中 不得睡臥 宜用木筆花散(得效).

마마가 나은 뒤에 남은 열로 코 안이 헐고 코가 메어 누워 자지 못하는 데는

목필화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痘愈後 心痛 不可忍 此餘毒歸心 急服乳香散(丹心).

마마가 나은 뒤에 가슴이 아파서 견딜 수 없는 것은 여독이 심()에 들어간 것이다.

빨리 유향산을 먹여야 한다[단심].

 

痘愈後 失音 宜用天花散(正傳).

마마가 나은 뒤에 목이 쉰 데는 천화산(天花散)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痘愈後餘毒 成走馬疳 牙齦爛 宜付搽牙散.

마마가 나은 뒤에 여독으로 주마감아(走馬疳牙)가 되어 잇몸이 짓무른 데는

다아산을 바르는 것이 좋다.

 

痘愈後咽喉腫痛 宜服七味甘桔湯(醫鑒).

마마가 나은 뒤에 목구멍이 붓고 아픈 데는 칠미감길탕을 먹이는 것이 좋다[의감].

 

痘餘毒 肝虛則入眼目 肺虛則爲疥癬

或爲癰癤 而發在骨節 腎之虛也. 發在肌肉 脾之虛也

或在筋或在頭 或在面或牙齒疳蝕 或咽喉腫痛

宜服解毒藥 消毒飮方見上 痘瘡治法 三豆飮二方見上之類(海藏).

마마의 여독으로 간()이 허하면 그것이 눈에 들어가고 폐()가 허하면 옴이 된다.

혹 옹절(癰癤)이 뼈마디에 생긴 것은 신()이 허한 것이고 살에 생긴 것은 비()가 허한 것이다.

힘줄이나 머리 혹은 얼굴에 생겼거나 이가 삭았거나 목구멍이 부어 아픈 데는

독을 푸는 약인 소독음, 삼두음(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먹이는 것이 좋다[해장].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痘後瞖膜][두후예막]  (4) 2023.11.20
[痘後諸疾][두후제질]  (0) 2023.11.20
[滅癍][멸반]  (2) 2023.11.12
[護眼][호안]  (0) 2023.11.11
[脂膏][지고]  (0) 2023.11.09

[滅癍][멸반]   [흠집을 없애는 법]

痘纔着痂 卽用菜子油卽蔓菁子 不住潤之 可揭則揭

若不潤及遲 揭則瘡痂硬 必隱成瘢痕(錢乙).

구슬에 딱지가 앉으면 곧 순무씨 기름으로 끊임없이 눅여 주고 떨어지게 된 것은 떼버린다.

만일 눅여 주지 않거나 더디게 떼면 딱지가 굳어서 반드시 허물이 생긴다[전을].

 

痘成痂 頻以酥油 白蜜潤之 可揭卽揭 血出無妨

若乾硬必成瘢痕.

구슬에 딱지가 앉을 때에는 자주 연유나 흰 꿀로 눅여 주고

떨어지게 된 때는 곧 떼버리는데 피가 나와도 해롭지 않다.

만일 딱지가 말라서 굳어지면 반드시 허물이 생긴다.

 

痘將葉 乾硬而痛 宜以眞酥潤之 無酥則猪脂煎汁代之(得效).

구슬에 딱지가 앉으려 할 때에 마르고 굳어져서 아픈 데는 연유로 눅여 주는 것이 좋다.

연유가 없으면 대용으로 돼지기름을 졸여서 쓴다[득효].

 

痘痂雖落 其瘢痕猶黯 肉起而或凹或凸 當用滅瘢散 蜆子水(綱目).

구슬에 딱지가 떨어졌더라도 그 허물이 오히려 검거나 살이 울퉁불퉁하면

멸반산(滅瘢散), 가막조개물을 늘 쓰는 것이 좋다[강목].

 

痘落後 宜用滅瘢痕方 羊骨同骨髓40g煉一二沸 輕粉4g 爲硏如膏 每日塗瘡上.

구슬에 딱지가 떨어진 후 허물을 없애는 약을 쓰는 것이 좋다.

이때는 양의 정강이뼈 속의 골수 40g을 한두 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경분 4g을 넣는다.

이것을 잘 개어서 고약을 만들어 날마다 허물에 바른다.

 

或用 稀痘湯(綱目).

혹 희두탕(稀痘湯)을 쓰기도 한다[강목].

 

密陀僧末 臨臥塗面 明朝洗去(本草).

밀타승가루를 잠잘 무렵 얼굴에 바르고 다음날 아침에 씻어 버린다[본초].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痘後諸疾][두후제질]  (0) 2023.11.20
[痘後雜病][두후잡병]  (2) 2023.11.15
[護眼][호안]  (0) 2023.11.11
[脂膏][지고]  (0) 2023.11.09
[護眼][호안]  (0) 2023.11.08

[痘初出 護眼一方][두초출 호안일방]

鼠粘子 爲末 水調 貼顖門上 則痘不入眼(蘭氏).

구슬이 처음 내돋을 때에 우엉씨(서점자)를 가루내어

물로 갠 다음 숫구멍에 붙이면 구슬이 눈에 돋지 않는다[소씨].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痘後雜病][두후잡병]  (2) 2023.11.15
[滅癍][멸반]  (2) 2023.11.12
[脂膏][지고]  (0) 2023.11.09
[護眼][호안]  (0) 2023.11.08
[黑陷][흑함]  (0) 2023.10.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