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聲音][음성]

瘡已出而聲不變者 形病也.

瘡未出而聲先變者 氣病也(正傳).

구슬[]이 이미 내돋았으나 음성이 변하지 않은 것은 형체만 병든 것이다.

구슬이 아직 내돋지 않았는데 음성이 먼저 변하는 것은 기()에 병이 든 것이다[정전].

 

聲出肺與心 或感風寒 或多啼氣噎

不問痘已出未出 失聲者

身溫 則解毒防風湯方見上,

身冷 則內托散方見上倍桔梗

음성은 폐()와 심()에서 나오는데 혹 풍한(風寒)에 상하였거나 많이 울었거나 기가 막혔거나

구슬이 이미 내돋았거나 내돋지 않았거나 할 것 없이 말소리가 잘 나오지 않을 때

몸이 달면 해독방풍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고

몸이 차면 내탁산(처방은 위에 있다)에 도라지(길경)를 곱절 넣어 쓴다.

 

如漿滿聲啞者 肺氣絶也 不治.

만일 물이 그득 실리고 목이 쉰 것은 폐의 기가 끊어진 것이므로 치료되지 않는다.

 

痘出不好聲啞者 亦死(入門).

구슬이 내돋는 것이 시원치 않고 목이 쉬면 죽을 수 있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腰腹痛][요복통]  (0) 2023.08.25
[咽喉痛][인후통]  (0) 2023.08.23
[痘瘡諸證][두창제증]  (0) 2023.08.21
[浴法][욕법]  (0) 2023.08.17
[禁忌][금기]  (0) 2023.08.16

[痘瘡諸證][두창제증]

聲音 咽喉痛 腰腹痛 驚搐 嘔吐 泄瀉 痰喘 煩渴

腹脹 自汗 痒痛 斑爛 寒戰 咬牙 失血 尿澁 便秘 倒靨 黑陷 護眼

滅癍 21.

음성, 목구멍이 아픈 것, 허리와 배가 아픈 것,

경휵, 구토, 설사, 담천(痰喘), 번갈(煩渴),

배가 불러 오르는 것, 저절로 땀이 나는 것, 가렵고 아픈 것,

반란(斑爛), 추워서 떠는 것, 이를 가는 것, 피를 많이 흘리는 것,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 변비, 도엽, 흑함(黑陷), 눈을 보호하는 것,

흠집을 없애는 법 등 21가지가 있다.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咽喉痛][인후통]  (0) 2023.08.23
[聲音][음성]  (0) 2023.08.22
[浴法][욕법]  (0) 2023.08.17
[禁忌][금기]  (0) 2023.08.16
[痘疹宜食物][두진의식물]  (0) 2023.08.15

[浴法][욕법]

痘瘡 因氣血虛弱 或爲風寒所剋 不能起脹 成漿貫膿

或枯燥陷伏 俱宜水楊湯浴之.

마마 때 기혈이 허약하거나 구슬에 물이 실리지 않거나 고름이 잡히지 않으며

혹 마르면서 꺼져 들어간 데는 모두 수양탕(水楊湯)으로 목욕시키는 것이 좋다.

 

痘不起脹 或陷伏 宜用黍穰湯.

胡荽煎湯 蕓薹煎湯 免皮毛煎湯 臘猪肉煮湯

馬肉煮湯(猪馬無生肉 則乾脯亦得) 皆可浴(本草).

마마 때 물이 잘 실리지 않거나 꺼져 들어간 데는 기장짚 달인 물,

고수 달인 물, 운대 달인 물, 토끼가죽과 털을 달인 물, 섣달에 잡은 돼지고기 삶은 물,

말고기 삶은 물(돼지와 말고기는 생고기가 없으면 마른 고기도 좋다) 등으로 목욕을 시키는 것이 좋다[본초].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聲音][음성]  (0) 2023.08.22
[痘瘡諸證][두창제증]  (0) 2023.08.21
[禁忌][금기]  (0) 2023.08.16
[痘疹宜食物][두진의식물]  (0) 2023.08.15
[飮食][음식]  (0) 2023.08.14

[禁忌][금기]

痘瘡 切忌諸般臭穢 煎炒 油烟 父母行房 疏頭等

觸犯未發 而觸則毒氣入心 悶亂而死

已發而觸 則瘡痛如割 以至黑爛 切宜深戒(得效).

마마 때 여러 가지로 더러운 냄새 나는 것,

지지고 볶을 때에 기름이 타서 나는 연기를 맡는 것,

부모가 성교하는 것, 머리 빗는 것 등을 절대로 삼가해야 한다.

구슬이 돋기 전에 이런 것들을 어기면

독기가 속으로 들어가서 답답해 하고 견디어 내지 못하다가 죽을 수 있다.

구슬이 내돋은 후 이런 것들을 어기면 구슬이 에어내는[] 것같이 아프고 거멓게 짓무를 수 있다.

그런 일이 없도록 아주 주의하여야 한다[득효].

 

痘瘡 勿親近狐臭漏腋 房中淫慾 及婦人月候

醉酒葷穢 硫黃蚊藥 一切腥臊 燒頭髮等氣(綱目).

마마 때 겨드랑이에서 나는 노린내를 피하며 월경하는 여자,

, 고약한 냄새 나는 채소, 유황, 모기약, 일체 비린내와 노린내,

머리털을 태우는 냄새 등을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강목].

 

痘瘡 最怕穢惡之氣 切忌外人 及僧道看經往來

盖人之氣 聞香則行 聞臭則止 故也.

房內勿燒 沈 檀 降眞 龍腦 麝香 恐燥血(正傳).

마마를 앓을 때는 더럽고 고약한 냄새가 아주 좋지 않으므로 절대로 접촉하지 말아야 한다.

대개 사람의 기는 향기로운 냄새를 맡으면 잘 돌고 더러운 냄새를 맡으면 멎기 때문이다.

방 안에서 침향(沈香), 단향(壇香), 강진향(降眞香), 용뇌(龍腦), 사향(麝香) 등을 태우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피를 마르게 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정전].

 

痘自初至終 父母切忌房事.

마마 때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부모들이 성교를 삼가해야 한다.

 

痘瘡 纔落 肌肉尙嫩 不可澡浴太早(綱目).

구슬에 딱지가 앉아 떨어진 직후에는 살이 연약하므로 너무 일찍 목욕을 시키지 말아야 한다[강목].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痘瘡諸證][두창제증]  (0) 2023.08.21
[浴法][욕법]  (0) 2023.08.17
[痘疹宜食物][두진의식물]  (0) 2023.08.15
[飮食][음식]  (0) 2023.08.14
[保護][보호]  (0) 2023.08.13

[痘疹宜食物][두진의식물] [마마 때에 먹일 수 있는 좋은 음식]

 

宜食菉豆 赤小豆 黑豆 雄猪肉(山猪尤佳) 石首魚

廣魚 鰒魚 薯蕷 海松子 葡萄 栗子(煨之佳)

蔓菁 蘿葍 瓜菹 軟白飯 糯米粥(泄瀉可食)

蕎麥麪(起脹可食). 母酒(起脹可食)

雪糕 砂糖(俗方).

 

녹두, 붉은팥(적소두), 검정콩(흑두), 수퇘지고기(멧돼지고기가 더 좋다), 조기(석수어),

넙치(광어), 보가지(복어), (산약), (해송자), 포도, (잿불에 묻어 구운 것이 좋다),

순무(蔓菁), (蘿菁), 오이김치(), 진밥(軟白飮), 찹쌀죽(설사하는 데 먹이면 좋다),

메밀국수(물이 실릴 때 먹이면 좋다), 술찌꺼기(물이 실릴 때 먹이면 좋다),

설기떡, 사탕(砂糖) 등을 먹이는 것이 좋다[속방].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浴法][욕법]  (0) 2023.08.17
[禁忌][금기]  (0) 2023.08.16
[飮食][음식]  (0) 2023.08.14
[保護][보호]  (0) 2023.08.13
[辨痘陰陽證][변두음양증]  (0) 2023.08.11

[飮食][음식]

痘以脾胃爲主 自始至終 以能食爲順

又曰 淡食爲佳.

마마 때는 비위(脾胃)가 기본이 되므로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잘 먹으면 순조롭게 경과한다.

그리고 싱겁게 먹는 것이 좋다.

 

貫膿時 宜食老鷄補氣

收靨時 宜食雄鴨收毒

或精肥猪肉 惟終始 忌魚腥

以助痰滯氣 故也.

고름이 잡힐 때에는 묵은닭을 먹여서 기()를 보할 것이고

딱지가 앉을 때에는 숫오리나 살찐 돼지고기를 먹여 독을 없애야 한다.

그리고 오직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비린내 나는 생선만은 먹이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담()을 돕고 기를 막히게[] 하기 때문이다.

 

痘瘡 忌食生冷 肥膩 塩 醎

茶 醋 酒 葱 蒜 魚 羊肉 猪肝血 枾 棗 飴 糖

特忌鷄 鵝 鴨卵 烹食 令兒目盲(入門).

마마 때에 생것과 찬 것, 살찌고 기름진 것, 짠 것,

, 식초, , , 마늘, 물고기, 양고기, 돼지간, , , 대추, , 사탕 등을 먹여서는 안 된다.

특히 닭, 게사니[], 오리알 등을 삶아 먹이면 어린이의 눈에 좋지 않다[입문].

 

勿食 酸辣五辛(葱 蒜 薑 韭 薤). 有毒之物

恐熱毒熏肝 生眼中瞖障(綱目).

신 것, 5가지 매운 것(, 마늘, 생강, 부추, 염교)과 독이 있는 것을 먹이지 말 것이다. 그것은 열독(熱毒)이 간을 훈증하여 예장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강목].

 

痘瘡首尾切不可 飮冷水 少與滾熟水則可.

마마 때에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찬물을 마시지 않게 하며 끓인 물을 조금씩 먹이는 것이 좋다.

 

自發熱至收靨 諸般血肉 皆不宜食

盖助火邪 滋熱毒故也.

若脾胃虛弱則止用石首魚.

及精猪肉去盡脂肪 淡煮少食以助滋味(醫鑒).

열이 나기 시작한 때로부터 딱지가 앉을 때까지 온갖 피와 고기를 먹여서는 안 된다.

그것은 화사(火邪)를 돕고 열독을 더하게 하기 때문이다.

만일 비위(脾胃)가 허약하면 다만 조기와

기름을 뺀 돼지정육을 싱겁게 끓여 조금씩 먹여 음식맛을 돋울 것이다[의감].

 

乳母當愼口 不可令飢及受風寒 必變黑歸腎 難治(海藏).

유모가 음식에 주의하지 못하고 배고프게 하거나 풍한을 받게 하면

반드시 검은 빛으로 변하여 신()으로 가는데 이것은 치료하기 어렵다[해장].

 

嬰兒未能服藥則當兼治乳母 令服藥 釀乳以飼之

俾其氣血淸和 飮食有節 投以調氣 通榮之劑則瘡心 肥滿光澤 無陷伏之憂矣(正傳).

갓난아이가 약을 먹지 못할 때에는 유모에게 약을 먹여 아기가 그 젖을 빨게 한다.

유모로 하여금 기혈(氣血)을 순조롭게 하고 음식을 적당히 먹으면서 기를 고르게 하고

혈을 잘 돌게 하는 약을 먹이면 구슬이 충실하고 윤택해져서

속으로 꺼져 들어갈 염려가 없게 된다[정전].

 

乳母食後須捏 去宿乳令盡

乃服藥卽仰臥 霎時乃令兒吮 其乳汁(綱目).

유모가 음식을 먹은 뒤에 묵은 젖은 다 짜버리고

약을 먹고 나서 반듯이 누워 잠깐 있다가 아기에게 그 젖을 빨려야 한다[강목].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禁忌][금기]  (0) 2023.08.16
[痘疹宜食物][두진의식물]  (0) 2023.08.15
[保護][보호]  (0) 2023.08.13
[辨痘陰陽證][변두음양증]  (0) 2023.08.11
[辨痘虛實][변두허실]  (0) 2023.07.31

[保護][보호]

痘瘡頻與乳食 不受風冷可也.

瘡變爲倒靨 黑陷者

由不愼風冷 而不能食 內虛所致也(錢乙).

마마 때 젖과 밥을 자주 먹이고 풍랭(風冷)을 받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구슬이 변하여 도엽, 흑함(黑陷)이 되는 것은

풍랭을 피하지 않고 음식을 먹지 못하여 속이 허()해서이다[전을].

 

痘瘡常令衣服 適中溫涼處坐臥(海藏).

마마 때 늘 의복을 알맞게 입히며 덥고 서늘한 적당한 곳에 앉히거나 누워 있게 해야 한다[해장].

 

痘瘡 宜善加調護 使房室溫盎(正傳).

마마 때 조섭[調]과 보호를 잘하며 방 안을 따뜻하게 해야 한다[정전].

 

痘瘡 當謹避風寒

盖內外熱蒸 毛孔俱開 易於感襲

一有觸冒 諸證隨作 且靨落之後

氣血大虛 尤當謹於防避也(醫鑒).

마마 때 풍한을 피해야 한다.

그것은 안팎으로 열이 찌는 것 같아서 털구멍이 다 열려져 있어 풍한에 감촉되기 쉽기 때문이다.

한번 감촉되면 여러 가지 증상이 따라 나타나며 딱지가 앉아 떨어진 뒤라도

기혈이 매우 허하므로 풍한을 받지 않기 위해 더욱 힘써야 한다[의감].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痘疹宜食物][두진의식물]  (0) 2023.08.15
[飮食][음식]  (0) 2023.08.14
[辨痘陰陽證][변두음양증]  (0) 2023.08.11
[辨痘虛實][변두허실]  (0) 2023.07.31
[調燈影法][조등영법]  (0) 2023.07.30

[辨痘陰陽證][변두음양증]    [마 때의 음증과 양증을 구별하는 법]

足脛冷, 腹虛冷, 糞靑色, 面晄白, 嘔乳食

目睛靑, 脈沈數 已上屬陰證 不可服 冷藥.

足脛熱, 兩腮紅, 大便秘, 小便赤, 渴不止,

上氣急, 脈洪數, 已上屬陽證 不可服 熱藥(正傳).

정강이가 찬 것, 배가 허랭한 것, 대변빛이 푸른 것, 얼굴빛이 흰 것, 먹은 것을 토하는 것,

눈동자가 푸른 것, 맥이 침삭(沈數)한 것들은 음증(陰證)에 속하는데

이런 때에는 성질이 찬약을 먹어서는 안 된다.

정강이가 다는 것[], 두 뺨이 붉은 것, 대변이 굳은 것, 오줌이 붉은 것, 계속 갈증이 나는 것,

숨이 가쁜 것, 맥이 홍삭(洪數)한 것들은 다 양증(陽證)에 속하는데

이런 때에는 성질이 열()한 약을 먹여서는 안된다[정전].

 

痘瘡 虛寒 宜異功散.

實熱 用凉膈散 有起死回生之效(丹心).

마마 때 허한증(虛寒證)이면 이공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고

실열증(實熱證)에는 양격산(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쓰면 죽는 것을 살리는 효과가 있다[단심].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飮食][음식]  (0) 2023.08.14
[保護][보호]  (0) 2023.08.13
[辨痘虛實][변두허실]  (0) 2023.07.31
[調燈影法][조등영법]  (0) 2023.07.30
[辨痘形色善惡][변두형색선악]  (0) 2023.07.10

[辨痘虛實][변두허실]

 

吐瀉少食 爲裏虛 陷伏倒靨白色 爲表虛

二證但見爲表裏俱虛 並用異功散方見下救之.

토하고 설사하면서 적게 먹는 것은 속이 허한 것이고

함복(陷伏)과 도엽()때 잿빛 같은 것은 표()가 허한 것이다.

이 두 가지 증상이 다 나타나는 것은 표리(表裏)가 다 허한 것인데

이때는 모두 이공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으로 치료한다.

 

不吐瀉 能食爲裏實 紅活凸綻 無汗爲表實

凉膈散方見火門加升麻 乾葛 紫草 荊芥解之(綱目).

토하거나 설사하지 않고 잘 먹는 것은 속이 실한 것이며

구슬이 붉고 윤택하며 도드라져 나오고 땀이 없는 것은 표실증(表實證)인데

이때 양격산(처방은 화문에 있다)에 승마, 갈근, 지치, 형개 등을 더 넣어 풀어 준다.

 

身熱無汗 爲表實 身凉多汗 爲表虛

便秘能食 爲裏實 吐瀉少食 爲裏虛(入門).

몸에 열이 나고 땀이 없는 것은 표실증이고 몸이 차고 땀이 많은 것은 표허증(表虛證)이다.

대변이 굳고 잘 먹는 것은 이실증(裏實證)이고 토하고 설사하면서 적게 먹는 것은 이허증(裏虛證)이다[입문].

 

表裏俱實者 難出易靨

表裏俱虛者 易出難靨

表實難出 裏虛難靨(入門).

()와 이()가 다 실한 것은 구슬이 내돋기 어렵고 딱지는 앉기 쉽다.

표와 이가 다 허한 것은 내돋기는 쉽고 딱지가 앉기 어렵다.

표가 실하면 내돋기 어렵고 이가 허하면 딱지가 앉기 어렵다[입문].

 

肺主氣 氣不足則致三證

自汗 聲不出 瘡頂陷塌

保元湯方見上 四君子湯方見氣門.

()는 기를 주관하는데 기가 부족하면 3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그것은 저절로 땀 나는 것, 목소리가 안 나오는 것, 구슬 꼭대기가 꺼져 들어가는 것들이다.

이때는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 사군자탕(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心主血 血不足則致三證 灰白色 根窠不紅 不光澤

芎歸湯方見婦人 或四物湯 紫草 紅花(正傳).

()은 혈을 주관하는데 혈이 부족하면 3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그것은 잿빛이 나는 것, 구슬 밑둥이 붉지 않은 것, 광택이 없는 것들이다.

이때는 궁귀탕(처방은 부인문에 있다)이나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지치와 홍화를 더 넣어 쓴다[정전].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護][보호]  (0) 2023.08.13
[辨痘陰陽證][변두음양증]  (0) 2023.08.11
[調燈影法][조등영법]  (0) 2023.07.30
[辨痘形色善惡][변두형색선악]  (0) 2023.07.10
[辨痘輕重 順逆][변두경중 순역]  (0) 2023.07.09

[調燈影法][조등영법]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

凡痘形色 雖險 若燈光影 與痘根圓暈 相爲周旋

根窠紅活 影深厚者 皆可早治

若根窠不紅不起 血死不活 漿無影者雖輕 難治

故白日 亦必用麻油紙撚照之

眼法神巧 全在於此(入門).

구슬의 모양과 빛이 비록 험하더라도 등불로 그 밑둥의 둘레를 돌려가면서 비추어

()이 붉고 윤택하며 실린 물[漿]이 짙게 비치면 다 치료할 수 있다.

밑둥이 붉지 않고 부풀어 오르지 않으며 궂은 피와 실린 물이 비치지 않으면

비록 경하다 하더라도 치료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환한 낮이라도 반드시 참기름을 묻힌 종이 심지에 불을 붙여 비추어 보아야 한다.

눈으로 보아 신기하게 아는 것은 다 이 방법이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痘陰陽證][변두음양증]  (0) 2023.08.11
[辨痘虛實][변두허실]  (0) 2023.07.31
[辨痘形色善惡][변두형색선악]  (0) 2023.07.10
[辨痘輕重 順逆][변두경중 순역]  (0) 2023.07.09
[辨痘吉凶][변두길흉]  (0) 2023.07.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