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斑爛][반란]

痘毒出盛 表虛難靨 以致肌肉壞爛 名曰 斑爛

膿不乾作痛 宜敗草散 或黃土細末糝之

마마독[痘毒]이 성()해서 표()가 허하여 딱지가 잘 앉지 못하고 살이 헤지면서 짓무른 것을 반란이라고 한다.

고름이 마르지 않고 아픈 데는 패초산(敗草散)을 쓰거나 누른 진흙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뿌려 주는 것도 좋다.

 

暑月痘爛生蛆 以帶葉柳枝 鋪地上臥之 或藉以芭蕉葉

又以水楊湯方見上浴之(入門).

여름철에 마마가 짓무른 데는 잎이 붙은 버드나무가지를 땅에 펴고 환자를 눕히거나 파초잎을 깔아 준다.

또는 수양탕(처방은 위에 있다)으로 목욕을 시킨다[입문].

 

痘瘡 斑爛煩痛 或臭爛渫坑不收口 並用硝膽膏(海藏).

마마 때 반란으로 답답하고 아프거나 냄새가 나고

짓물러 패이고 아물지 않는 데는 초담고(硝膽膏)를 쓴다[해장].

 

痘瘡斑爛成片膿水不乾 宜白龍散(正傳).

마마 때 반란으로 진물이 마르지 않는 데는 백룡산(白龍散)이 좋다[정전].

 

穢氣衝觸發痒 爪破斑爛

宜服內托散方見上 外用 袪穢散方見上焚勳(醫鑒).

더러운 냄새가 몹시 나며 가려워서 긁어 터뜨려 헤진 데는

내탁산(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이고 겉으로는 거예산(처방은 위에 있다)을 태워 내를 쏘인다[의감].

 

擦破周身 不能回水 或痘靨濕爛 淋漓粘淖 並宜 甄陶散糝之 最妙(回春).

온몸을 긁어 터뜨려서 진물이 없어지지 않거나 딱지가 굳어지지 않고 짓무르며

진물이 흐르고 흐늘흐늘한 데는 모두 진도산(甄陶散)을 뿌려 주면 아주 좋다.

 

遍身臭爛 如餠撘 目中無神者 死(入門).

온몸에서 냄새가 나고 짓물러서 떡을 붙인 것 같으며 눈에 정기가 없는 것은 죽을 수 있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咬牙][교아]  (0) 2023.10.07
[寒戰][한전]  (0) 2023.10.06
[痒痛][양통]  (0) 2023.09.29
[自汗][자한]  (0) 2023.09.28
[腹脹][복창]  (0) 2023.09.27

[痒痛][양통]

血不榮肌腠所以痒 血和肌潤 痒自不作(丹心).

혈이 살과 피부를 잘 영양[]해 주지 못하기 때문에 가려운 것이다.

그러나 혈이 고르고 살에 윤기가 있으면 가려운 증이 저절로 없어진다[단심].

 

手足常搖動者 將發痒也.

因食毒物及食塩而痒 四君子湯方見氣門 加酒炒芩連 大黃微潤之.

손발을 늘 흔드는 것은 가려운 증이 생기려는 것이다.

독 있는 음식물을 먹은 것으로 하여 가렵거나 소금을 먹어서 가려운 데는

사군자탕(처방은 기문에 있다)에 속썩은풀(황금, 술로 축여 볶은 것),

황련, 대황 등을 더 넣어 대변을 약간 무르게 할 것이다.

 

痘疹出多 身痛叫喚 及煩躁脹痛 宜小活血散.

구슬이 많이 돋고 몸이 아파서 외치면서 울고 번조해 하며

배가 불러 오르고 아픈 데는 소활혈산(小活血散)이 좋다.

 

痘痒 通用蟬退湯 痒甚水楊湯方見上浴之.

마마 때에 가려운 데는 선퇴탕(蟬退湯)을 두루 쓰고 몹시 가려우면

수양탕(처방은 위에 있다)에 목욕시킨다.

 

又法 塩和百草霜 水拌略炒 燒烟熏之 痒立止.

又 蜜水 調滑石末 雞羽潤瘡上 亦止.

또 한 가지 방법은 소금을 백초상(百草霜)에 섞어서 물로 반죽한 다음

약간 닦아서[] 불에 태워 연기를 쏘이면 가려운 증이 멎는다.

또는 꿀물에 곱돌(활석)가루를 타서 닭의 깃으로 마마 구슬에 발라

눅눅하게 해 주면 가려운 증이 멎는다.

 

痛乃痘之善證 初出時 宜參蘇飮方見寒門

輕者 消毒飮方見上 痘瘡治法 起脹貫膿時 作痛不妨(入門).

아픈 것은 마마의 증상이므로 구슬이 돋아 나올 초기에는

삼소음(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 좋고

경한 데는 소독음(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

구슬이 부풀어 오르거나 고름이 잡힐 때에 아픈 것은 괜찮다[입문].

 

凡痘痛不爲外寒 所折而痛 則必皮腠厚密 難出爲痛

寒折 宜參蘇飮方見上 腰腹痛 肉腠密 宜小活血散

대개 마마 때 한()에 상한 일이 없이 아픈 것은

반드시 피부와 주리가 두텁고 치밀하여 구슬이 나오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에 상하여 아픈 데는 삼소음이 좋고 살과 주리가 치밀하여 아픈 데는

소활혈산(小活血散)이 좋다.

 

因食毒物作痒 宜蟬退湯方見上 腰腹痛百花膏(正傳).

독 있는 음식을 먹은 탓으로 가려운 데는

선퇴탕(처방은 위에 있다)이나 백화고(百花膏)가 좋다[정전] .

 

痘痒難任 宜糝 敗草散方見下 斑爛條

蕎麥粉 亦好(綱目).

마마 때 가려워서 참을 수 없는 데는

패초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뿌려 주는 것이 좋다.

메밀가루도 좋다[강목].

 

因虛發痒 遍身爪破

內托散方見上 起脹三朝 去 白芷 當歸 木香 氣行血運 其痒自止(醫鑒).

허해서 가려운 증이 나서 온몸을 긁어서 헤진 데는

내탁산(처방은 위에 있다)에서 계피를 빼고 구릿대(백지), 당귀, 목향 등을

곱절 넣어 기혈을 잘 돌게 하면 가려운 것이 저절로 멎는다[의감].

 

痘瘡煩痛 宜硝膽膏方見下 斑爛條 仍用眞黃土 細末 糝之 良.

마마 때 답답해 하면서 아픈 데는

초담고(처방은 아래에 있다)가 좋으며 누런 진흙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뿌려 주는 것도 좋다.

 

痘將靨乾硬而痛 宜塗酥油潤之 猪脂亦好(海藏).

구슬에 딱지가 앉으려고 할 때 건조하고 딴딴해서 아픈 데는

연유이나 기름을 발라서 눅여 주는 것이 좋다. 돼지기름도 좋다[해장].

 

收靨時 遍身發痒 爪破無膿 如豆殼者 死(醫鑒).

딱지가 앉을 때에 온몸이 가려워서 긁어 터뜨려도

고름이 없고 콩깍지와 같은 것은 죽을 수 있다[의감].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寒戰][한전]  (0) 2023.10.06
[斑爛][반란]  (0) 2023.10.02
[自汗][자한]  (0) 2023.09.28
[腹脹][복창]  (0) 2023.09.27
[煩渴][번갈]  (0) 2023.09.18

[自汗][자한]

痘瘡初起 自汗不妨 盖濕熱熏蒸而起 故也.

甚者 當以參芪止之 防其難靨(丹心).

마마 초기에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은 해롭지 않다.

이것은 습열(濕熱)이 훈증(熏蒸)되어 생기기 때문이다.

심한 것은 반드시 인삼과 단너삼(황기)을 써서 멎게 하고

딱지가 앉을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단심].

 

痘出後 切忌汗多 必難貫膿 收靨 急用保元湯方見上 止之(入門).

구슬이 내돋은 뒤에 땀이 많이 나는 것은 아주 좋지 않다.

땀이 많이 나면 고름이 잡히는 것과 딱지가 앉기 어렵기 때문에

빨리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서 멎게 해야 한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斑爛][반란]  (0) 2023.10.02
[痒痛][양통]  (0) 2023.09.29
[腹脹][복창]  (0) 2023.09.27
[煩渴][번갈]  (0) 2023.09.18
[痰喘][담천]  (0) 2023.09.14

[腹脹][복창]

腹脹 由脾胃虛 氣攻作也

又脾虛 則腹脹 飮水多 則亦作腹脹(錢乙).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은 비위(脾胃)가 허()하여 기가 몰려서[] 되는 것이다.

()가 허해도 배가 불러 오르고 물을 많이 마셔도 배가 불러 오른다[전을].

 

痘瘡 泄瀉 毒陷腹脹 酒調人齒散方見下服之

마마 때 설사하거나 독이 속으로 들어가서 배가 불러 오르는 데는

인치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술에 타 먹인다[의감].

 

痘瘡 腹脹有二 傷生冷而脹

木香散方見上泄瀉毒氣內陷而脹 宜人齒散.

마마로 배가 불러 오르는 병에는 2가지가 있다. 생것과 찬 것에 상하여 불러 오르는 것이 있는데

이때는 목향산(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고 독기가 속으로 들어가서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이 있는데 이때는 인치산이 좋다.

 

腹脹不食 神昏者 死(入門).

배가 불러 오르고 먹지 못하며 정신이 혼미한 것은 죽을 수 있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痒痛][양통]  (0) 2023.09.29
[自汗][자한]  (0) 2023.09.28
[煩渴][번갈]  (0) 2023.09.18
[痰喘][담천]  (0) 2023.09.14
[泄瀉][설사]  (0) 2023.09.08

[煩渴][번갈]

痘瘡 煩渴飮水 渴轉甚者 乃脾胃虛 津液少也 宜木香散方見上.

마마 때 번갈이 나서 물을 마시면 갈증이 점점 더 심해지는 것은

비위(脾胃)가 허()하고 진액(津液)이 적은 것인데 이때는 목향산(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

 

一云 脹渴 瀉渴 驚悸渴

寒戰渴 咬牙渴 亦多屬熱 不可不察

若誤用則禍如反掌.

또는 배가 불러 오르면서 나는 갈증과 설사하면서 나는 갈증, 놀란 것처럼 가슴이 뛰면서 나는 갈증,

추워 떨면서 나는 갈증, 이를 갈면서 나는 갈증은 열에 속하는 것이 많으므로 잘 살펴야 한다.

만일 약을 잘못 쓰면 잠시 동안에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

 

當靨而不靨 煩渴 腹脹

泄瀉 頭溫足冷 速與 木香散方見上泄瀉條 救之.

구슬에 딱지가 앉아야 하겠는데 딱지가 앉지 않고 번갈이 나며 배가 불러 오르고

설사하며 머리는 덥고 발이 싸늘한 데는 빨리 목향산으로 치료해야 한다.

 

痘瘡 煩渴 切不可 與冷水喫 亦不宜 與蜜水 紅柿 西瓜 梨 橘等 冷物.

若冷毒內攻 腹脹 喘悶 寒戰 咬牙則難治(綱目).

마마 때 번갈이 나는 데는 절대로 찬물을 먹이지 말며 또 꿀물, 홍시, 수박, , 귤 등 찬 것들을 주는 것도 좋지 않다.

만일 냉독(冷毒)이 속으로 들어가서 배가 불러 오르고 숨이 차며 가슴이 답답하고 떨며 이를 갈면 치료하기 어렵다[강목].

 

痘瘡首尾 不可飮冷水 少與滾熟水則可

若飮水過多 濕損脾胃 則氣血凝滯不散 故瘡痂遲落 而生癰腫也.

마마 때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찬물을 먹이지 말고 끓인 물을 조금씩 먹이는 것이 좋다. 만일 물을 너무 마셔서 습기가 비위를 상하면 기혈(氣血)이 엉켜서 흩어지지 않으므로

구슬에 딱지가 더디게 앉아 떨어지고 헌데가 생긴다.

 

痘瘡發渴 乃氣弱而津液枯竭也 宜保元湯方見上 通治加麥門冬 五味子煎湯,

若不止 參苓白朮散方見內傷加乾葛 天花粉 五味子煎服卽止(醫鑒).

마마 때 갈증이 나는 것은 기가 약하고 진액이 고갈되기 때문이다.

이때는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에 맥문동과 오미자를 더 넣어 달여 먹이는 것이 좋다.

만일 갈증이 멎지 않으면 삼령백출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칡뿌리(갈근),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오미자 등을 더 넣어 달여 먹이면 멎는다[의감].

 

痘渴 宜紅花子湯 鼠粘子煎服 雖口中如烟起卽解 切不可用棗湯

若大渴者 定中湯方見上 嘔吐 和砂糖服 立止(回春).

마마 때 갈증이 나는 데는 홍화자탕(紅花子湯)에 우엉씨(대력자)를 더 넣어 달여 먹이면 입 안에 연기가 이는 것 같던 것도 곧 풀린다.

절대로 대추 달인 물을 먹이지 말아야 한다.

갈증이 몹시 나는 데는 정중탕(定中湯, 처방은 위에 있다)에 사탕을 풀어 먹이면 곧 멎는다[회춘].

 

痘瘡煩渴 乃毒火炎上也 宜烏梅湯 甘草湯.

마마 때 번갈이 나는 것은 독과 열이 타오르는 것인데

이때는 오매탕(烏梅湯)이나 감초탕(甘草湯)이 좋다.

 

飮水過多 而尿少 恐濕漬脾土成癰腫 宜益元散方見上滲之.

물을 많이 마시면서 오줌이 적으면 습()이 비토(脾土)에 들어가서 옹종(癰腫)이 생길 염려가 있으므로

익원산(처방은 더위문에 있다)으로 오줌을 잘 나가게 하는 것이 좋다.

 

血虛痘黑 火動 發渴者 難治.

凡虛證 見渴者 皆死(入門).

()이 허()하여 구슬이 검어지고 화()가 동()하여 갈증이 나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대체로 허증에 갈증이 나타나면 다 죽을 수 있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自汗][자한]  (0) 2023.09.28
[腹脹][복창]  (0) 2023.09.27
[痰喘][담천]  (0) 2023.09.14
[泄瀉][설사]  (0) 2023.09.08
[嘔吐][구토]  (0) 2023.09.06

[痰喘][담천]

痘出後痰盛 喘急 宜人參淸膈散 前胡枳殼湯(綱目).

구슬이 내돋은 뒤에 담이 성()하여 숨이 찬 데는

인삼청격산, 전호지각탕이 좋다[강목].

 

痘紫黑陷伏而痰盛 先用抱龍丸方見上 急驚風降痰(醫鑒).

구슬이 짙은 자줏빛이 되면서 꺼져 들어가며 담이 성한 데는

먼저 포룡환(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서 담을 내린다[의감].

 

痘痰 用白附子 杏仁煎水磨服 切不可用二陳湯方見痰飮 燥胃中津液.

貫膿時咳逆 及胃氣上越 欲絶故也.

眞黃土 鼻邊聞之 立止(回春).

마마 때 담이 성한 데는 백부자를 살구씨 달인 물로 갈아 먹이되

절대로 이진탕(처방은 담문에 있다)을 써서 위 속의 진액을 마르게 해서는 안 된다.

구슬에 고름이 잡힐 때에 딸꾹질하는 것은 위기가 위로 넘쳐서 없어지려는 것이므로

좋은 누른 흙의 냄새를 코로 맡게 하면 멎는다[회춘].

 

痘疹 咳嗽氣喘 乃毒攻肺脹也 胸高聲啞者 死.

천연두와 홍역 때 기침하고 숨이 찬 것은 독이 폐를 침범하여

답답하고 더부룩해져서 가슴이 두드러져 올라오고 목이 쉬면 죽을 수 있다.

 

凡無痰 而喘急不得臥者 亦死(入門).

대체로 담이 없이 숨차 하고 눕지 못하여도 죽을 수 있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脹][복창]  (0) 2023.09.27
[煩渴][번갈]  (0) 2023.09.18
[泄瀉][설사]  (0) 2023.09.08
[嘔吐][구토]  (0) 2023.09.06
[腰腹痛][요복통]  (0) 2023.08.25

[泄瀉][설사]

痘出後 極忌泄瀉 起脹時尤忌.

구슬이 내돋은 뒤에 설사하는 것은 아주 좋지 않다.

물이 실릴[起脹] 때에 설사하는 것은 더욱 좋지 않다.

 

痘瀉 急用保元湯方見上 加肉桂 白芍藥煎服

腸滑者 肉荳蔲煨一箇 乳香一豆大 爲末 糯米飮調下(入門)

마마 때 설사하는 데는 빨리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에 육계와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더 넣어 달여 먹인다.

대변이 줄줄 나가는 데는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1개와 유향(콩알만큼 한 것) 1개를 가루를 내어 찹쌀 미음에 타 먹인다[입문].

 

痘出 不光澤不起發 根窠不紅

或瀉而渴 或腹脹 或氣促 是表裏俱虛 宜異功散煎水 呑下 肉豆埼丸

구슬이 돋아 나와 윤택하지 못하고 부풀어 오르지 않거나 구슬 밑둥이 붉지 않거나

설사하면서 갈증이 나거나 배가 불러 오르거나 숨이 찬 것은 겉과 속이 다 허한 것인데 이때는 이공산 달인 물로 육두구환을 먹인다.

 

腹脹 瀉渴 乃胃中 津液少也 宜用木香散[綱目]

배가 불러 오르고 설사하며 갈증이 나는 것은 위 속에 진액이 적은 것인데

이때는 목향산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泄瀉頻多 津液內耗 血氣不榮

其痘雖起發 必不能櫏 宜木香散救之[丹心]

설사를 자주 해서 진액이 안으로 소모되고 혈기가 부족하면

구슬이 내돋기는 하나 반드시 딱지가 잘 앉지 못한다.

이때는 목향산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다[단심].

 

起脹時 泄瀉則 內氣虛脫 瘡必陷伏 宜用固眞湯[醫鑑]

물이 실릴 때에 설사하면 속으로 기가 허탈되어서 구슬이 반드시 꺼져 들어가는데

이때는 고진탕을 쓰는 것이 좋다[의감].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煩渴][번갈]  (0) 2023.09.18
[痰喘][담천]  (0) 2023.09.14
[嘔吐][구토]  (0) 2023.09.06
[腰腹痛][요복통]  (0) 2023.08.25
[咽喉痛][인후통]  (0) 2023.08.23

[嘔吐][구토]

凡顯痘疹 若自吐瀉者 不可妄治而多吉 謂邪氣上下皆出也(易老).

마마와 홍역 때 구슬과 꽃이 내돋았는데 만일 저절로 토하고 설사하면 함부로 치료해서는 안 된다.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그것은 사기(邪氣)가 아래위로 다 나가기 때문이다[역로].

 

痘 初熱吐瀉無妨 痘出後忌之.

마마 초기에 열이 나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은 괜찮고 구슬이 나온 다음에는 좋지 않다.

 

吐瀉喘渴 蚘虫已出 目直視 大便流 腸垢者 死(入門).

토하고 설사하며 숨이 차고 갈증이 있으며 회충이 나오고

눈을 곧추 떠보며 대변에 곱이 섞여 나오는 것은 죽을 수 있다[입문].

 

痘出而吐者 毒盛乘火 宜神功散方見上

解毒吐瀉並作 宜用 定中湯(回春).

구슬이 내돋으면서 토하는 것은 독이 심한 데다 화를 겸한 것인데

이때는 신공산(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

구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같이 나타날 때는 정중탕을 쓰는 것이 좋다[회춘].

 

寒甚腹痛 嘔逆 下利 宜 理中湯方見寒門 加木香 丁香 肉荳蔲(醫鑒).

한사(寒邪)가 심하여 배가 아프고 구역이 나며 설사를 하는 데는

이중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목향(木香), 정향(丁香),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를 더 넣어 쓴다[의감].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喘][담천]  (0) 2023.09.14
[泄瀉][설사]  (0) 2023.09.08
[腰腹痛][요복통]  (0) 2023.08.25
[咽喉痛][인후통]  (0) 2023.08.23
[聲音][음성]  (0) 2023.08.22

[腰腹痛][요복통]

凡發熱 欲出痘 腰痛 急服神解湯方見上 出汗以痛止爲度 免出腎經之痘.

열이 나고 구슬이 내돋으려고 하면서 허리가 아픈 데는

빨리 신해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여서 땀을 내되

아픈 것이 멎을 때까지 먹여서 신경(腎經)에서 구슬이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

 

發熱 時腹中大痛 腰如被杖及出痘 乾燥者死(醫鑒).

열이 날 때에 뱃속이 몹시 아프고 허리가 매맞은 것 같으며

내돋은 구슬이 건조하면 죽을 수 있다[의감].

 

痘初出 便作腰痛 見紫黑點者 多死(正傳).

구슬이 내돋을 때 허리가 아프고 구슬에 짙은 자줏빛의 점이 나타나면 죽을 수 있다[정전].

 

痘瘡 腹痛 多是痘毒 當臨證消息.

마마 때 배가 아픈 것은 대개 마마독으로 아픈 것이므로 증상을 살펴서 치료해야 한다.

 

痘疹 必先腹痛 盖痘子先自腸中出 然後發於外

升麻葛根湯方見寒門 加減紅綿散(綱目).

마마 때 반드시 먼저 배가 아프다.

대개 구슬이 먼저 장위(腸胃) 속에서부터 내돋은 다음에 몸 겉으로 나온다.

이때는 승마갈근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가감홍면산(처방은 아래에 있다) 등이 좋다[강목].

 

發熱時腹痛 或腹脹者 由毒氣與外邪相薄 欲出而不得出

參蘇飮 去人參 茯苓 加縮砂表之(醫鑒)

열이 날 때에 배가 아프거나 불러 오르는 것은

독기가 외사(外邪)와 서로 부딪쳐서 나오려고 해도 나오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삼소음(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서 인삼과 솔풍령을 빼고

사인[]을 더 넣어 써서 몸 밖으로 발산하게 하는 것이 좋다[의감].

 

收靨時腹痛 不靨痛在中脘 乃熱毒凝滯 瘀血作痛 宜手捻散(回春).

딱지가 앉을 때 배가 아프거나 딱지가 앉지 않고 중완(中脘)이 아픈 것은

열독이 응체(凝滯)되거나 어혈(瘀血)로 아픈 것인데

이때는 수념산(手捻散)을 쓰는 것이 좋다[회춘].

 

痘疹出不透腹痛甚 或黑陷 宜蟬退湯(得效).

구슬이 완전히 돋지 않고 배가 몹시 아프거나 거멓게 꺼져 들어간 데는 선퇴탕이 좋다[득효].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瀉][설사]  (0) 2023.09.08
[嘔吐][구토]  (0) 2023.09.06
[咽喉痛][인후통]  (0) 2023.08.23
[聲音][음성]  (0) 2023.08.22
[痘瘡諸證][두창제증]  (0) 2023.08.21

[咽喉痛][인후통]

痘出咽喉痛 宜消毒飮方見上 如聖飮(得效).

구슬이 내돋고 목구멍이 아픈 데는 소독음(처방은 위에 있다), 여성음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咽乾澁痛 口爛齦腫 乃心胃熱也. 如聖飮

若水漿入 宜用紫雪方見火門.

목 안이 마르고 깔깔하고 아프며 입 안이 헤지고 잇몸이 부은 것은

()과 위()에 열이 있는 것인데 이때는 여성음이 좋다.

만일 죽물도 넘기지 못하면 자설(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咽喉有毒 飮食如鋸 挫喉收藏不入

或吐出或常乾嘔者 危.

惟貫膿時見此證 二便閉者 反吉.

목구멍에 독이 있어 음식을 먹을 때에 톱으로 목구멍을 켜는[] 것 같고 죽물도 넘길 수 없거나

토하거나 늘 헛구역을 하는 것은 위태로우나

다만 고름이 잡힐 때에 이런 증상이 나타나고 대소변이 막히는 것은 도리어 좋다.

 

痘毒入藏府 咽喉閉塞 宜用 猪尾膏方見下(入門).

마마독이 56부에 들어가 목구멍이 막힌 데는 저미고(처방은 아래에 있다)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痘生於口舌 瘡爛 不能吮乳 宜加味犀角消毒飮方見上(得效).

입과 혀에 구슬이 돋아서 헤어져 젖을 빨지 못하는 데는

가미서각소독음(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득효].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嘔吐][구토]  (0) 2023.09.06
[腰腹痛][요복통]  (0) 2023.08.25
[聲音][음성]  (0) 2023.08.22
[痘瘡諸證][두창제증]  (0) 2023.08.21
[浴法][욕법]  (0) 2023.08.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