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辨痘形色善惡][변두형색선악]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

 

色者 五藏精華 紅黃綠者 爲佳

黃綠乃脾胃正色 毒將出也

淡紅者 毒始出也

鮮紅則爲血熱 初起紫者 大熱也

全白者 氣虛也

灰白者 血衰而氣滯也

黑者 毒滯而血乾也.

빛깔은 5(五藏) 정기(精氣)의 표현이므로 붉고 누르며 풀빛인 것은 좋다.

누렇고 풀빛인 것은 비위(脾胃)의 제빛[正色]이므로 독이 앞으로 나오려는 것이고

불그스름한 빛은 독이 처음 나오기 시작하는 것이며

선지 핏빛인 것은 혈에 열이 있는 것이다.

구슬이 처음 돋아 나올 때 자줏빛인 것은 열이 심한 것이고

순수 흰빛은 기가 허한 것이며

잿빛인 것은 피가 부족하고 기가 막힌 것이며

검은 빛인 것은 독이 몰리고 혈이 마른 것이다.

 

痘色 初出淡紅 紅變白 白變黃者 吉

初出鮮紅 紅變紫者 變黑者 逆.

구슬이 처음 돋을 때의 빛은 불그스름하다가

붉은 것이 변하여 희게 되고 흰 것이 변하여 누렇게 되는 것은 좋다.

구슬이 처음 돋아 나올 때 선지 핏빛이 나다가

붉은 빛이 변하여 자줏빛이 되었다가 자줏빛이 변하여 검어지는 것은 좋지 않다.

 

痘出色 不紅潤者 毒盛壅塞 故也.

宜用紫草飮方見上

外用芥子末 塗脚心(入門).

구슬이 돋아 나와서 빛이 붉으면서 윤택하지 못한 것은 독이 성하여 막힌 것인데

이때는 자초음(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외용약으로는 흰겨자가루(처방은 아래에 있다)를 발바닥에 바른다[입문].

 

黑屬血熱 凉血爲主 四物湯方見血門加黃芩 黃連 紅花.

白屬氣虛 補氣爲主 保元湯方見上 去甘草 加紫草(丹心).

검은 빛은 혈열(血熱)에 속하므로 양혈(凉血)하는 약을 주로 쓴다.

이때는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황금, 황련, 홍화 등을 더 넣어 쓴다.

흰빛은 기가 허한 데 속하므로 기를 보하는 것을 주로 쓴다.

이때는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에서 감초를 빼고 지치를 더 넣어 쓴다[단심].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痘虛實][변두허실]  (0) 2023.07.31
[調燈影法][조등영법]  (0) 2023.07.30
[辨痘輕重 順逆][변두경중 순역]  (0) 2023.07.09
[辨痘吉凶][변두길흉]  (0) 2023.07.08
[解毒][해독]  (0) 2023.06.27

[辨痘輕重 順逆][변두경중 순역]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

 

輕者 作三次出 大小不一

頭面稀少 根窠紅活 痞滿光澤

耳中無 眼中無 臍中無

重者一齊並出 密如蚕種 稠密無縫

身熱腹脹 痘溫足冷 渴瀉不止 耳中有 臍中有

輕變重者 犯房室 不忌口 先曾渴 飮冷水 餌凉藥

重變輕者 避風寒 常和緩 大便稠 不燥渴 忌生冷 忌外人(綱目).

경한 것은 3차례에 걸쳐 돋아 나오고 크고 잔 것이 일정치 않다.

머리와 얼굴에는 작고 드물게 돋는다.

밑둥이 붉고 윤택하며 충실하고[肥滿] 광택이 있다.

, , 배꼽 등에는 돋지 않는다.

중한 것은 한꺼번에 다 돋으며 누에알처럼 배고[] 빈틈이 없으며

몸에 열이 있고 배가 불러 오르며 머리는 달고[] 발은 싸늘하며

계속 갈증과 설사가 나고 귓속과 배꼽에도 돋는다.

()하던 것이 중()하게 된 것은 성교를 삼가하지 않았거나

음식을 가려 먹지 않았기 때문이다.

혹 목이 말라 하며 찬물을 마시려 하고 성질이 찬약을 먹으려 한다.

중하던 것이 경하게 되는 것은 풍한을 피하여 늘 따뜻하게 하며

대변을 고르게 하고 갈증이 나지 않게 하며 생것과 찬 것을 먹는 것를 삼가고

외래자[外人]를 만나지 않았기 때문이다[강목].

 

凡出痘收靨 從頭至足爲順 從足至頭爲逆.

頭脚濟出齊靨者險.

輕者 靨出俱從頭至足 痘亦稀.

重者 稠密頭上 未出未靨 脚上先出先靨(入門).

대체로 구슬이 돋을 때와 딱지 앉는 것이 머리에서부터 시작하여 발로 가는 것은

순증(順證)이고 발에서부터 머리로 올라오는 것은 역증(逆證)이다.

머리와 발에 일제히 돋고 일제히 딱지가 앉는 것은 위험한 증상이다.

경한 것은 돋는 것과 딱지가 앉는 것이 모두 머리에서부터 시작하여 발로 가는데 구슬이 드물다.

중한 것은 돋는 것이 배며 머리에는 아직 나오지 않고 딱지도 앉지 않았는데 먼저 다리에 돋고 또 딱지가 앉는 것이다[입문].

 

身體溫暖者 順 寒凉者 逆.

能食大便實者 順 不能食 大便利者 逆(正傳).

몸이 따뜻한 것은 순증이고 싸늘한 것은 역증이다.

음식을 잘 먹으면서 대변이 굳은 것은 순증이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면서 설사하는 것은 역증이다[정전].

 

瘡疹屬陽 出則爲順

故春夏爲順 秋冬爲逆

冬月腎旺 又盛寒 故病 多歸腎變黑(海藏).

마마는 양증(陽證)에 속하므로 내돋으면 순증이다.

그러므로 봄과 여름에는 순증이고 가을과 겨울에는 역증이 된다.

겨울에는 신()이 왕성하고 또 몹시 춥기 때문에 병이 흔히 신과 관련되어 생겨서 거멓게 변한다[해장].

 

痘疹 惟腎無候 但見平證 耳凉尻凉 爲順

若痘黑陷 耳及尻 反熱者 爲逆.

마마 때 오직 신()만이 다른 증상이 없고 다만 일반 증상만이 나타나는데

귀가 차고 꽁무니가 찬 것은 순증이다.

만일 구슬이 거멓게 꺼져 들어가며 귀와 꽁무니가 도리어 다는 것[]은 역증이다.

 

痘黑而忽瀉便膿血 幷痂皮者 順 水穀不消者 逆

盖瀉出痂皮 根在內 病出而安也.

水穀化者 脾實 故順,

水穀不化者 脾虛 故逆.(錢乙).

구슬이 검고 갑자기 설사하면서 대변으로 피고름이 섞여 나오는 것과

함께 딱지가 앉는 것은 순증이고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것은 역증이다.

대개 설사하면서 딱지가 앉는 것은 병의 뿌리가 안에 있는 것이므로 병의 뿌리가 풀려 나오면 편안하다.

음식이 잘 소화되는 것은 비()가 실()한 것이므로 순증이고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는 것은 비가 허()한 것이므로 역증이다[전을].

 

一發出便密 如鍼頭 如蚕種 如糠粃者

重 如浮萍 不分箇數者 逆.

한번 내돋은 것이 배기[]가 침대가리 같거나 누에알 같고 쌀겨 같은 것은

중한 것인데 개구리밥과 같아서 개수(箇數)를 분간할 수 없는 것은 역증이다.

 

一發便出盡者 必重 痘挾疹者 半輕半重 瘡端黑如鍼孔者 熱劇(海藏).

한번에 다 내돋는 것은 반드시 중하고 두()에 진()을 겸한 것은 절반은 경하고

절반은 중하며 구슬 꼭대기에 침구멍만하게 검은 것이 나타나면 열이 심한 것이다[해장].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調燈影法][조등영법]  (0) 2023.07.30
[辨痘形色善惡][변두형색선악]  (0) 2023.07.10
[辨痘吉凶][변두길흉]  (0) 2023.07.08
[解毒][해독]  (0) 2023.06.27
[通治][통치]  (0) 2023.06.26

[辨痘吉凶][변두길흉]

痘者 豆也

大小不一無妨

惟欲圓滿硬實 不宜虛軟陷伏.

()란 콩 같다는 뜻이다.

크고 작은 것이 꼭 같지 않은 것은 괜찮다.

다만 둥글고 그득하며 딴딴한 것은 좋고 속이 비고 말랑말랑하며 꺼져 들어가는 것은 좋지 않다.

 

痘自頂額上陽位起 且稠者固凶

然遍身變壞頂額上 不變則吉

貫膿時 變成水疱 惟額上不破者 可治.

收靨時 敗證悉具 惟頂額上未靨如舊者 可生(入門).

구슬이 정수리와 이마의 양() 부위로부터 내돋고 밴[] 것은 나쁜 증이다.

그러나 온몸의 구슬이 다 헐어 헤지는데 오직 정수리와 이마에 있는 것만이 변하지 않으면 좋은 증이다.

고름이 잡힐 때에 변하여 물이 되는데 오직 이마에 있는 것만이 터지지 않는 것은 치료할 수 있다.

딱지가 앉을 때 나쁜 증상이 있어도 정수리와 이마에만 딱지가 앉지 않고 전과 같은 것은 살 수 있다[입문].

 

頭粒尖而白根窠紅潤 譬如一顆眞珠 放在臙脂上

故曰生頭粒紅紫 地界不分 譬如衃血猪肝 故曰死(回春).

구슬 꼭대기가 뾰족하고 희며 밑둥이 붉고 윤택하여 마치 연지 위에 진주 1개를 놓은 것과 같은 것은 살고

꼭대기가 자줏빛이고 경계가 분명치 못하여 마치 궂은 피나 돼지간 같은 것은 죽을 수 있다[회춘].

 

凡痘疹只出一般者 善 或二色三色 相合而作者 凶

謂痘癍疹 相合也(海藏).

대체로 마마 때 보통 빛으로 나오는 것은 좋고 2가지 빛이나 3가지 빛이 합쳐서 내돋는 것은 좋지 않다.

그것은 두()와 반과 진()이 서로 합쳤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이다[해장].

 

痘脚稀踈. 根窠紅活. 不瀉不渴.

乳食不減. 四肢溫和. 身無大熱

已上六證 並不服藥自愈(正傳).

구슬이 드물게 돋는 것, 구슬 밑둥이 붉고 윤택한 것, 설사도 안 하고 갈증도 없는 것,

먹는 것이 줄지 않는 것, 팔다리가 따뜻한 것, 몸에서 높은 열이 나지 않는 것 등

6가지 증상은 다 약을 쓰지 않아도 저절로 낫는다[정전].

 

痘不治證 有七

戞齒 痘黑陷 喉中涎喘.

憎寒困倦 痘子縮伏.

瘡作坑內 無膿血 或作黑色疱

痘癰變疳 只臭齦爛牙落.

聲啞氣噎 或嚥樂腹中鳴.

痘初出半在皮膚 帶紫黑色不出

誤於踈轉氣啞者.

마마에는 치료되지 않는 7가지 증상이 있다.

이를 갈고 구슬이 거멓게 꺼져 들어간 것이며 목에서 가래가 끓고 숨차 하는 것이다.

오한이 나고 나른해 하며 구슬이 돋았던 것이 줄어드는 것이다.

구슬이 돋은 것이 우묵 들어갔고 속에 피고름이 없거나 물의 빛이 검어지는 것이다.

두옹이 감질로 변하여 입에서 냄새가 나고 잇몸이 헤지며 이가 빠지는 것이다.

목이 쉬고 숨이 막히거나 약을 먹으면 배가 끓는 것이다.

구슬이 처음 나올 때에 피부에 검은 자줏빛이 돌면서 채 내돋지 않는 것이다.

잘못 발산시켜서 목이 쉬고 숨이 고르지 않은 것이다.

 

凡痘出 前後心密

及兩手心 兩足心 密者 皆不治.

대체로 구슬이 돋을 때에 가슴의 앞뒤에 배게 나오고

두 손바닥과 두 발바닥에 배게 난 것은 치료되지 않는다.

 

不治證 又有五

痒塌寒戰 咬牙煩躁

紫黑色 喘喝不寧

痘溫足冷 悶亂欲飮

灰白色頂陷 腹脹喘渴.

目上視氣促 泄瀉不止(綱目).

치료되지 않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

가렵고 꺼져 들어간 것이며 추워서 떨고 이를 갈며 번조해 하는 것이다.

구슬이 검은 자줏빛이고 숨차 하면서 안정치 못한 것이다.

머리는 달고 발은 차며 속이 답답해 하고 물을 마시려는 것이다.

구슬이 잿빛이 돌고 꼭대기가 꺼져 들어가며 배가 불러 오르고 숨차 하며 갈증이 나는 것이다.

눈을 치뜨고 숨결이 밭으며 설사가 멎지 않는 것들이다[강목].

 

不治證 又有六

初出勇壯.

出如蚕種.

隨出隨沒.

如蚊虫咬.

倒出.

飮水如促鼻(回春).

치료되지 않는 증에는 6가지가 있는데

처음 돋아 나올 때 단번에 아주 많이 나오는 것이다.

돋아난 것이 누에알 같은 것이다.

금방 돋았다가 금방 들어가는 것이다.

모기에게 물린 것 같은 것이다.

순서대로 나오지 않고 거꾸로 나오는 것이다.

물을 마실 때에 코를 치미는 것[促鼻] 같은 것이다[회춘].

 

鼻燥有黑氣 以手抭鼻孔者 必死(入門).

코가 마르고 검은 빛이 있으며 콧구멍을 우비는 것은 반드시 죽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痘形色善惡][변두형색선악]  (0) 2023.07.10
[辨痘輕重 順逆][변두경중 순역]  (0) 2023.07.09
[解毒][해독]  (0) 2023.06.27
[通治][통치]  (0) 2023.06.26
[收靨時吉凶證][수엽시길흉증]  (0) 2023.06.16

[解毒][해독]

 

踈則無毒 密則有毒

急用凉藥 解之

雖數十貼不妨 無害眼之患.

구슬이 드물면 독이 없지만 배면[] 독이 있다.

빨리 성질이 서늘한 약을 써서 풀 것이다.

이런 약은 수십 첩을 써도 괜찮고 눈에도 해로울 염려가 없다.

 

密則毒甚 宜以淸凉之劑 解之 酒炒芩連之類 是也.

酒炒芩連 能解瘡毒(丹心).

구슬이 몹시 배면 독이 심한 것이므로 성질이 서늘한 약으로 풀어야 하는데

이때에는 속썩은풀(황금), 황련(모두 술로 축여 볶은 것)을 쓴다.

속썩은풀(황금)과 황련은 마마독을 잘 푼다[단심].

 

痘初出 如胸前稠密

急服消毒飮方見上加山査子 酒黃芩 紫草茸.

구슬이 처음 돋아 나올 때 가슴에 배게 돋으면

빨리 소독음(처방은 위에 있다)에 찔광이(산사)와 속썩은풀(황금, 술로 법제한 것), 자초용을 더 넣어 쓴다.

 

痘出太多 以犀角地黃湯方見血門

加味犀角消毒飮 山査子 紫草茸 糯米 解之(丹心).

구슬이 너무 많이 돋아 나온 데는 서각지황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이나

가미서각소독음에 찔광이(산사)와 자초용, 찹쌀 등을 더 넣어 독을 푼다[단심].

 

痘毒攻脾 則泄瀉 浮腫

於肝則眼生瞖膜

攻腎則耳痛膿出

攻肺則咳嗽痰盛(綱目).

마마독이 비()에 침범하면 설사와 부종(浮腫)이 생기고

간에 침범하면 눈에 예막( )이 생기며

()에 침범하면 귀가 아프고 고름이 나오며

()에 침범하면 기침이 나고 담이 성해진다[강목].

 

初出狀如蚊咬

色黑者 禱祈與熱相薄也

宜用人齒散 猪尾膏方見下.

구슬이 처음 돋을 때에는 모기에게 물린 것 같고

빛이 검은 것은 독기와 열이 서로 어울린 것인데

이때는 인치산, 저미고(처방은 아래에 있다)를 쓰는 것이 좋다.

 

毒鬱藏燥 痰盛狂叫 宜四齒散方見下加蟬殼

黑陷 發狂譫妄 犀角玳瑁汁調服

失治則不日聲啞而死.

독이 몰리고[] 5장이 조()하며 담이 성()하고 미친 듯이 소리를 치는 데는

사치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에 매미허물을 더 넣어 쓰고

거멓게 꺼져 들어가고 놀라며 발광하고 헛소리하는 데는

가미육일산(처방은 위에 있다)이나 지치와 골풀속살(등심초)를 두고

달인 물에 서각이나 대모를 간 즙을 타 먹인다.

제때에 치료하지 않으면 하루도 넘기지 못하고 목이 쉬면서 죽을 수 있다.

 

毒入胃 則腹上痘多靑紅紫色

外證 口角流涎者 死(入門).

독이 위에 들어가면 배에 푸르고 붉으며 자줏빛이 나는 구슬이 많이 돋는다.

겉으로 나타난 증상은 입귀로 군침이 흐르는데 죽을 수 있다[입문].

 

痘出 初如蚊咬如蚕種 或血紅一片 不分地界

毒氣太盛 宜神功散解之(回春).

구슬이 처음 돋을 때에 모기가 문 것 같거나

누에알 같거나 펀펀하게 벌겋고 경계가 분명치 않은 것은

독기가 아주 심한 것이므로 신공산(神功散)으로 풀어 주어야 한다[회춘].

 

解痘毒 黑散子 三豆飮 絲瓜湯三方見上

마마독을 푸는 데는 흑산자(黑散子), 삼두음(三豆飮), 사과탕(絲瓜湯)

(3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痘輕重 順逆][변두경중 순역]  (0) 2023.07.09
[辨痘吉凶][변두길흉]  (0) 2023.07.08
[通治][통치]  (0) 2023.06.26
[收靨時吉凶證][수엽시길흉증]  (0) 2023.06.16
[收靨三朝][수엽삼조]  (0) 2023.06.15

[通治][통치]   [두루 치료하는 것]

痘瘡首尾 宜保元湯方見上 收靨吉凶條爲主治.

不快出 不起脹 不貫膿 不收靨 通用猪尾膏方見下 黑陷 救之.

凡出痘 起脹 回漿 貫膿 預陷不起 凝滯不行 俱以水楊湯方見上 起脹吉凶條 浴之.

마마에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보원탕을 주로 쓴다.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고 물이 실리지 않으며 고름이 잡히지 않고

딱지가 앉지 않는 데는 저미고(처방은 아래에 있다)를 두루 쓴다.

대개 구슬이 돋을 때와 물이 실릴 때, 고름이 잡힐 때에 꼭대기가 꺼져 들어가고

실린 물이 막혀서 돌지 못하는 데는 수양탕(처방은 아래에 있다)으로 목욕시킨다.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痘吉凶][변두길흉]  (0) 2023.07.08
[解毒][해독]  (0) 2023.06.27
[收靨時吉凶證][수엽시길흉증]  (0) 2023.06.16
[收靨三朝][수엽삼조]  (0) 2023.06.15
[貫膿時吉凶證][관농시길흉증]  (0) 2023.06.14

[收靨時吉凶證][수엽시길흉증] [딱지가 앉을 때의 좋은 증과 나쁜 증]

 

痂落 從頭上 至胸膈 手腹腰足節 節緩緩 靨下者 吉.

딱지가 떨어질 때 머리에서부터 가슴, , , 허리, 발 등의 순서로 점차적으로 떨어지는 것은 좋은 증이다.

 

靨謝後 瘢紅者 吉

白無血色者 過後亦死

急用消毒飮二貼後 用補氣血 養脾胃藥 預防之.

딱지가 떨어진 뒤에 그 자리가 붉은 것은 좋은 증이고

희고 핏기가 없는 것은 경과한 뒤에도 죽을 수 있다.

그러므로 빨리 소독음(처방은 위에 있다) 2첩을 쓴 다음

기혈을 보하고 비위를 도울 약을 써서 예방할 것이다.

 

陰囊及足上 先靨起者 凶(入門).

음낭과 발등에 먼저 딱지가 앉기 시작하는 것은 나쁜 증이다[입문].

 

將靨時 其痘 一時盡黑 非靨也 火極攻裏 卽凶(回春).

딱지가 앉으려 할 때 구슬이 일시에 다 검은 것은 딱지가 앉으려고 하는 것이 아니고

()가 실하여 속을 치는[] 것인데 나쁜 증이다[회춘].

 

當靨時 遍身臭爛 如餠搭 不可近 目中 無神者 凶(醫鑒).

딱지가 앉을 때에 온몸이 짓물면서 냄새가 나고 떡을 붙인 것과 같아서

가까이 갈 수 없으며 눈에 정기가 없는 것은 나쁜 증이다[의감].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解毒][해독]  (0) 2023.06.27
[通治][통치]  (0) 2023.06.26
[收靨三朝][수엽삼조]  (0) 2023.06.15
[貫膿時吉凶證][관농시길흉증]  (0) 2023.06.14
[貫膿三朝][관농삼조]  (0) 2023.06.13

[收靨三朝][수엽삼조]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  

 

收靨三日 漿老痂結如果熟

蔕落氣收 血平光色

始歛自上而下之 堅硬蒼蠟色

或黃黑色 或似紫紅葡萄色者 佳.

3일 동안 딱지가 앉는 것은 고름이 말라 딱지가 되는 것이다.

마치 과실이 익으면 꼭지가 절로 떨어지는 것과 같다.

이렇게 기를 걷어들이고 혈이 고르게 되어 윤기가 돌면서

위로부터 아래로 딱지가 앉아 누르면 뜬뜬하고 빛이 푸르스름하거나

누르거나 포도색처럼 자줏빛이 나는[貫膿] 것은 좋은 증이다.

 

當靨不靨 謂之慢

有毒盛 不結痂者 猪心龍腦膏最妙.

有觸穢不收靨者 異功散 調四糞散.

딱지가 앉게 되었는데 앉지 않는 것을 만()이라고 한다.

독이 심해서 딱지가 앉지 않는 데는 저심용뇌고(처방은 아래에 있다)를 쓴다.

더러운 것에 감촉되어 딱지가 앉지 않는 데는

이공산(異功散)에 사분산(두 가지 처방은 다 아래에 있다)을 타 먹이는 것이 좋다.

 

寒戰咬牙 足膝如氷

耳尻反熱於起脹

貫膿收靨時 極忌乃氣血虛極

保元湯 甚者 異功散救之(入門).

추워 떨면서 이를 바드득바드득 갈고 발과 무릎이 얼음과 같이 차며

귀와 꽁무니는 오히려 다는[] 것이 구슬에 물이 실릴 때[起脹],

고름이 잡힐 때[貫膿], 딱지가 앉을 때[]보다 심한 것은 아주 좋지 않다.

이것은 기혈(氣血)이 몹시 허한 것이다.

이때는 보원탕(처방은 아래에 있다)에 계피를 더 넣어 쓰고 심한 데는

이공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쓴다[입문].

 

痘痂不焦 是內熱蒸 於外散漫而行 故也.

宣風散導之 生犀磨汁解之 必着痂矣(錢乙).

구슬에 딱지가 마르지 않는 것은 속의 열이 훈증하여 밖으로 흩어지는 것이 완만하기 때문인데

이때는 선풍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쓰고 생서각즙을 먹여 독을 풀어 주면 딱지가 앉는다[전을].

 

當靨不靨 發熱蒸蒸 用甘露回天飮 卽時熱退痘靨.

딱지가 앉아야 할 때에 앉지 않고 열이 후끈후끈 나는 데는

감로회천음(甘露回天飮)을 쓰면 그 즉시로 열이 내리고 구슬에 딱지가 앉는다.

 

外潰不結痂 甄陶散 糝之(回春).

밖으로 터져서 딱지가 앉지 않는 데는 진도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뿌려 준다[회춘].

 

發膿窠不肯靨 但調砂糖水 與喫 卽結痂(綱目).

고름이 잡히고 딱지가 잘 앉지 않는 데는 사탕물을 먹이면 곧 딱지가 앉는다[강목].

 

痘疹膿而不焦 此失淸凉之氣也.

如五穀陽氣而成熟 非凉風 一至則不能實也.

天地嚴肅之氣 一加則萬物秀而實矣

與痘疹何異 須察證候而淸凉之 則瘡必卽痂矣

當時淸凉飮子 下之 猪尾膏 龍腦膏並佳(海藏).

구슬에 고름이 잡히고 딱지가 앉지 않는 것은 서늘한 기를 잃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5(五穀)이 양기(陽氣)를 받아 성숙하기는 하나

서늘한 바람이 불지 않으면 잘 여물지 못하는 것과 같다.

천지의 서늘한 기가 오면 온갖 물건이 여문다.

구슬인들 무엇이 다르겠는가.

증상을 자세히 살펴서 서늘하게 하면 딱지가 앉는다

이때에 청량음자로 내린다.

저미고나 용뇌고나 다 좋다[해장].

[貫膿時吉凶證][관농시길흉증]

 

漿行疱裏 肥滿黃色 或瘡蠟色 或黃綠色者吉

若色淡者虛也

保元湯 乾薑 肉桂 糯米煎服.

물이 실려서 그득 차고 누르거나 푸르스름하거나

누른빛이 도는 풀색인 것은 좋은 증이고

빛이 희끄무레한 것은 허한 것이므로

보원탕(처방은 아래에 있다)에 건강, 육계, 찹쌀 등을 더 넣어 달여 먹인다.

 

頭面先回漿 四肢方纔 起脹者 吉.

貫膿時 或吐瀉不食乳 食不化腹脹

聲啞 寒戰咬牙 痘爛無膿 肌肉黑者 凶(入門).

머리와 얼굴에 먼저 물이 실리고 다음에 팔다리에 물이 실리는 것은 좋은 증이다.

고름이 잡힐 때 구토, 설사하고 먹지 못하며

젖과 밥이 소화되지 않으며 배가 불러 오르고

목이 쉬며 떨고 이를 갈거나 구슬이 헤어지고

고름이 잡히지 않으며 살이 검으면 나쁜 증이다[입문].

 

貫膿 純是淸水 皮自薄如水泡 三四日 遍身抓破而死.

고름이 잡힐 때에 멀건 물이 그대로 있어 피부가 희고 얇아서

물방울 같으면 3-4일 후 온몸의 것을 긁어 터뜨리면 죽을 수 있다.

 

貫膿時 遍身抓破 痘中乾枯 全無血水 皮白乾如豆殼者 凶(醫鑒).

고름이 잡힐 때 온몸의 것을 긁어 터뜨려서 구슬이 마르고 피와 물이 전혀 없어지면

피부가 콩깍지처럼 허옇게 마르는데 이것은 나쁜 증이다[의감].

[貫膿三朝][관농삼조]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

 

貫膿三日 胃氣升也.

痘以胃氣爲本 胃之氣升騰 化毒成膿

自肌肉上貫起 漸至頂尖 充滿光潤者

氣血大振 毒漿已滿 將欲歛之時也.

3일 동안 고름이 잡히는 것은 위기(胃氣)가 올라오기 때문이다.

구슬은 위기가 근본이 되는데 위기가 올라가면 독이 고름으로 변하여

살을 뚫고 나와서 점점 꼭대기가 뾰족해지고 속에 고름이 잡히는데

윤기가 있는 것은 좋은 증[順證]이다.

기혈(氣血)은 매우 충실[大振]하고 독이 변하여

고름이 이미 그득 잡히면 고름이 흡수하려고 하는 시기이다.

 

當結膿窠而不結 由血熱相薄毒氣 內外灌注 必復入心 宜用猪尾膏.

고름이 흡수되어야 할 때에 흡수되지 않는 것은

혈과 열이 서로 부딪쳐서 독기가 안팎으로 퍼지고 반드시 다시 심()으로 들어간다.

이런 때에는 저미고(처방은 아래에 있다)를 쓰는 것이 좋다.

 

貫膿時九竅愼宜封閉

飮食藥餌 極忌寒凉踈淡之物.

若傷脾胃則淸氣下陷 不能貫膿也(入門).

고름이 잡힐 때에 9(九竅)를 잘 간수해야 한다.

음식과 약을 쓸 때 차고 서늘하며 싱거운 것은 금해야 한다.

만일 비위를 상하면 청기(淸氣)가 아래로 처져 내려가서 고름이 잡히지 않는다[입문].

 

出痘歷七日 當貫膿之時外 若起脹而中空乾燥無膿血者 死.

若略有淸水 根窠紅活 猶有生意 用內托散人參 黃芪 當歸

入好酒 人乳 各半盞 溫服 此貫膿之巧法也(醫鑒).

구슬이 내돋은 지 7일이 지나서 고름이 잡혀야 할 때에

겉보기에는 부풀어 오른 것 같으나 속이 비고 건조하여 피고름이 없는 것은 죽을 수 있다.

만일 멀건 물이 약간 있고 구슬 밑둥이 붉고 윤활하면 아직 살아날 가망이 있으므로

내탁산(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되 인삼, 단너삼(황기), 당귀 등을 곱절 넣어 달인 다음

좋은 술과 젖을 각각 반잔씩 넣어 따뜻하게 해서 먹인다.

이것은 고름을 잡히게 하는 묘한 방법이다[의감].

 

九日十日回水之時

元氣熏蒸 眞陽運化 其水自然消爍 此循環之妙理也.

若未曾解毒則至此時 水不能化

反歸于胃 胃病則不能貫膿成就 或致吐瀉陷伏 宜用定中湯(回春).

9일이나 10일에 물이 걷힐 때에

원기(元氣)가 훈증하고 진양(眞陽)이 제대로 돌아가면 고름은 자연히 없어진다.

이것은 순환의 묘한 이치이다.

만일 독을 풀어 주지 않으면 이때에 물을 내리지 못하고

반하여 위에 돌아와서 위가 병들어 고름을 잡히지 못하게 하며

토하고 설사하며 속으로 꺼져 들어가는 일도 있다.

이때는 정중탕(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쓴다[회춘].

 

痘七日後 壯熱毒盛 氣弱聲啞 宜用解毒防風湯.

구슬이 돋은 지 7일 뒤에 몹시 열이 나고 독이 심하여 기가 약해지고

목이 쉰 데는 해독방풍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治痘不肥綻 不起脹][치두불비탄 불기창]

 

[烹鼠水][팽서수]

治不起脹

雄鼠大者一枚去腸肚 洗淨以水煮熟 取汁服

臘月者尤佳(俗方).

쥐고기 삶은 물은 구슬이 커지면서 물이 실리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큰 쥐(수컷) 한 마리의 내장을 버리고 깨끗이 씻어서 물에 삶아 국물을 먹인다.

음력 섣달에 잡은 쥐가 좋다[속방].

 

[母酒][모주]

能令痘肥脹

取母酒和水 猛煮以殺酒毒 乃服之 亦能補氣(俗方).

술찌꺼기는 구슬에 물을 잘 실리게 한다.

술찌꺼기를 물에 타서 몹시 끓여 술독을 없앤 다음 먹이면 또한 기를 보한다[속방].

 

[蕎麥麪][교맥면]

能解痘毒 令發起可作粥 和砂糖服

又云 極好養胃氣(本草).

찹쌀은 마마독을 풀며 물이 잘 실리게 한다.

죽을 쑤어 사탕을 타 먹이는 것이 좋다.

위기(胃氣)를 보하는 데 아주 좋다고 한다[본초].

 

[痘不起脹][두불기창]

煮黍穰汁煮 蕓薹汁 免皮汁

臘猪肉煮汁 並洗之(本草).

구슬에 물이 잘 실리지 않는 데는

기장즙 달인 물이나 운대 달인 물이나 토끼가죽 달인 물이나

음력 섣달에 잡은 돼지고기 삶은 물로 몸을 씻어 준다[본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