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痘三朝][출두삼조] [3일 동안 구슬이 돋는 것]
發熱一日卽出痘者 太重
二日卽出痘者 赤重
微微發熱 三日後乃出痘者 爲輕
四五日 身凉乃見痘者 尤輕
自出痘一日至二三日方齊
凡痘出至足 謂之出齊(醫鑒).
하루 동안 열이 나고 구슬이 내돋는 것은 매우 중(重)한 것이다.
2일 만에 구슬이 내돋는 것도 역시 중하다.
미미하게 열이 나면서 3일 후에 구슬이 돋는 것은 경하다.
4-5일에 몸이 싸늘하면서 구슬이 돋는 것은 더욱 경하다.
구슬이 내돋기 시작한 첫날부터 2-3일까지이면 다 나온다.
구슬이 발에까지 다 내돋았으면 이것은 다 돋았다고 한다[의감].
痘瘡初出 與麻疹 疿瘡 略相似
若根窠紅 頂圓突堅實 捫之碍手者 痘也.
若根不紅 頂虛飮 略有淸水 摸過不碍手者 麻疹 疿瘡也(醫鑒).
구슬이 처음 나올 때에는 홍역의 꽃이나 땀띠와 약간 비슷하다.
돋아 오른 밑이 붉고 꼭대기가 둥글게 돋아 오르며 뜬뜬하여
쓰다듬으면 손에 거치적거리는 것은 마마이다.
돋아 오른 밑둥이 붉지 않고 꼭대기가 말랑말랑하며 약간 멀건 물이 실려[摸] 있고
쓰다듬어도 거치적거리지 않는 것은 홍역이거나 땀띠이다[의감].
如發熱過三日 瘡不出 或不快出 微發之
用消毒飮 化毒湯 犀角消毒飮
如瘡發後 不多出 卽加藥發之 如一日二三服
如加藥發後 不多出卽 瘡本稀 不可更發也(錢乙).
만일 열이 난 지 3일이 지났어도 구슬이 나오지 않거나
시원히 내돋지 않으면 약간 땀을 내어 표를 풀어 주어야 한다.
이때는 소독음(消毒飮), 화독탕(化毒湯),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 등을 쓴다.
만일 땀을 내어 표를 풀어 주는 약을 쓴 뒤에도 구슬이 많이 나오지 않으면
약을 더 넣어서 땀을 내야 한다(하루에 두세번 쓴다).
만일 약을 더 넣어 땀을 내어도 구슬이 많이 나오지 않으면
마마가 본래 경(輕)한 것이므로 다시 땀을 내지 말아야 한다[전을].
痘先出者 爲母 後出者 爲子孫
母好子孫 多則自然 有不等者 然亦無害.
마마가 먼저 나오는 것은 어머니격이 되고 후에 나오는 것은 아들격으로 된다.
이렇게 먼저 나온 것과 뒤에 나온 것이 고르지 않지만 해가 될 것은 없다.
出速且密 胸背尤多 此乃毒盛
宜服 消毒飮 解毒防風湯 以防後日靑乾黑陷.
구슬이 내돋는 것이 빠르고 배며 가슴과 잔등에 더 많이 내돋는 것은 독이 심한 것이다.
이때는 소독음이나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을 먹여서 앞으로 퍼렇게 되면서
마르거나 거멓게 꺼져 들어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
出盛而內外壅熱 煩渴 譫狂 宜用猪尾膏方見下 黑陷 .
내돋는 것이 지나치게 많고 안팎으로 열이 막혀서 번갈증이 나며
헛소리하고 미친 것 같은 데는 저미고(처방은 아래에 있다)를 쓴다.
年壯皮厚 痘難快出 宜用透肌湯.
나이가 많고 피부가 두터워서[厚] 구슬이 잘 돋아 나오기 어려운 데는
투기탕(透肌湯)을 쓰는 것이 좋다.
痘出而被風寒復入者 宜用加味四聖散 或快癍散.
구슬이 내돋았다가 풍한을 받아 다시 들어간 데는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이나 쾌반산(快 散)을 쓰는 것이 좋다.
頭面上 忽生三五箇
或只一箇 高大紫黑儼似疔痘者 名曰 飛痘 此最輕
或只一痘 再不生痘(入門).
머리나 얼굴에 갑자기 3-5개
혹은 단 1개가 돋는데 크고 몹시 도드라져 올라오면서
빛이 검붉어서 마치 정창 같은 것은 비두(飛痘)라고 하는데 이것은 아주 경한 것이다.
혹은 단 1개가 돋았더라도 다시는 더 돋지 않는다[입문].
凡發熱一日 卽見紅點 此由毒氣太盛 故出速
宜用化毒湯 加紫草 紅花 蟬殼 凉血解毒(醫鑒).
대체로 열이 난 지 하루 사이에 붉은 점이 나타나는 것은 독기가 몹시 심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빨리 화독탕(化毒湯)에 지치, 잇꽃(홍화), 매미허물(선각) 등을 더 넣어
혈열을 내리며 독을 풀어 주어야 한다[의감].
凡痘出不快 宜四聖散 加味四聖散 紫草飮 及絲瓜湯之類(醫鑒).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는 데는
사성산(四聖散), 가미사성산, 자초음(紫草飮), 사과탕(絲瓜湯) 등을 쓰는 것이 좋다[의감].
一發便密 如鍼痘 形勢重者 合輕其表而凉其內 連翹升麻湯主之.
구슬이 내돋은 것이 배고[便密] 바늘대가리 같고 증상이 중한 것은 겉을 풀어 주고
속을 시원하게 해야 하는데 이때는 연교승마탕(連翹升麻湯)을 주로 쓴다.
瘡疹稠密 身表熱 急與鼠粘子湯 以防後日靑乾黑陷(綱目).
구슬이 돋은 것이 배고[稠密] 피부가 달 때[熱急]에는
빨리 서점자탕(鼠粘子湯)을 써서 푸르면서 마르거나 거멓게 꺼져 들어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강목].
痘出太盛 恐入眼爲害 宜消毒飮 加酒炒芩連 外用護眼膏 方見下 護眼(入門).
구슬이 지나치게 많이 돋아서 눈에까지 해를 줄 염려가 있을 경우에는
소독음에 속썩은풀(황금, 술로 축여 볶은 것)과 함께 황련을 더 넣어 쓰고
겉에는 호안고(護眼膏)를 바른다[입문].
痘出不快 宜樺皮飮子 胡荽酒 (正傳).
구슬이 시원하게 내돋지 않는 데는 화피음자(樺皮飮子), 호유주(胡 酒)를 쓴다[정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