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泄痢][설리]

 

小兒疳瀉痢 靑白黃沫水 痢色變易無常.

어린이의 감리(疳痢)는 푸르고 희며 누른 거품 물을 싸고 똥빛이 자주 변한다.

 

疳卽䑋瀉 䑋卽脹也.

其證 目胞腫腹脹 痢色無常 好飮水 漸加瘦瘠.

감질은 창만하면서 설사하는 것인데

그 증상은 눈두덩이 붓고 배가 창만하여 똥빛이 자주 변하고

물을 많이 켜며 점점 여위어 가는 것이다.

 

赤痢 宜黃芩芍藥湯方見大便 虛滑 宜固腸丸方見大便.

적리(積痢)에는 황금작약탕을 쓰는 것이 좋고 허해서 설사하는 데는

고장환(두 가지 처방은 다 대변문에 있다)이 좋다.

 

白痢 宜益元散 溫六丸方見暑門.

백리(白痢)에는 익원산(처방은 서문에 있다), 온육환(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赤白痢 宜黃連阿膠元 六神丸二方並見大便,

疳痢腹痛 宜蘇感元方見大便.

적백리(赤白痢)에는 황련아교원(黃連阿膠元), 육신환(두가지 처방은 다 대변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감리로 배가 아픈 데는 소감원(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八痢危證 一曰赤痢 二曰白痢.

三曰赤白痢 四曰食積痢 五曰驚痢

六曰脾虛痢 七曰 時行痢 八曰疳痢

通宜小駐車元 眞人養藏湯二方並見大便(類聚).

8가지 이질에서 위태로운 증은 첫째는 적리(積痢)이고, 둘째는 백리(白痢)이며,

셋째는 적백리(赤白痢)이고, 넷째는 식적리(食積痢)이며, 다섯째는 경리(驚痢)이고,

여섯째는 비허리(脾虛痢)이며, 일곱째는 시행리(時行痢)이고, 여덟째는 감리(疳痢)인데

모두 소주거원(小駐車元), 진인양장탕(두 가지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쓴다[유취].

 

小兒痢 穀道不閉 黃汁長流者 不治(得效).

어린이의 이질에 항문이 오므라지지 않고 누런 물이 계속 흐르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軟 五硬][오연 오경]  (0) 2023.04.07
[腹痛 腹脹][복통복창]  (0) 2023.04.05
[痰涎喘嗽][담연천수]  (0) 2023.03.28
[感冒風寒][감모풍한]  (0) 2023.03.26
[吐瀉論證][토사논증]  (0) 2023.03.25

[痰涎喘嗽][담연천수]    [담연으로 숨이 차 하고 기침하는 것]

 

痰乃風苗火 靜則伏於脾火 動則壅於肺

痰火交作則咳嗽喘急

瀉白散方見五藏合導痰湯方見痰飮 煎服(入門).

()은 풍()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가 안정해 있으면 비()에 잠복해 있고 화가 발동하면 폐기를 막는다.

담과 화가 같이 발동하면 기침하고 숨이 차 한다.

이때에는 사백산(처방은 5장문에 있다)에 도담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합하여 달여 먹인다[입문].

 

寒嗽 宜華盖散方見咳嗽 熱嗽 宜淸金降火湯方見咳嗽.

한사(寒邪)로 기침하는 데는 화개산(華盖散)이 좋고 열사로 기침하는 데는

청금강화탕(淸金降火湯)이 좋다(두 가지 처방은 다 기침문에 있다).

 

脾肺 母子也. 二藏俱虛則生頑涎 頑涎者 脾肺所出也.

涎則流溢 在於咽喉 如水雞之聲 喘嗽煩悶 宜抱龍丸 奪命散二方並見上.

()와 폐()는 어머니와 아들 격이다.

두 장기가 다 허하면 완담(頑痰)이 나오는데 완담은 비와 폐에서 나온다.

담연이 목구멍에 있으면 물닭 소리와 같은 소리가 나면서 숨이 차 하고 기침하며 답답해 한다.

이때는 포룡환(抱龍丸), 탈명산(두 가지 처방은 다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馬脾風 宜用馬脾風散 牛黃奪命散 保命散方見上(入門).

마비풍(馬脾風)에는 마비풍산(馬脾風散), 우황탈명산(牛黃奪命散),

보명단(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痛 腹脹][복통복창]  (0) 2023.04.05
[泄痢][설리]  (0) 2023.04.01
[感冒風寒][감모풍한]  (0) 2023.03.26
[吐瀉論證][토사논증]  (0) 2023.03.25
[吐瀉][토사]  (0) 2023.03.16

[感冒風寒][감모풍한

 

貪睡口中氣熱 呵欠煩悶者 傷風證也. 頭目疼痛 而畏人畏寒者 傷寒證也(錢乙).

잠만 자려 하고 입김이 더우며 하품하고 속이 답답해 하는 것은 풍사에 상한 증이다.

머리와 눈이 아프고 사람과 추위를 싫어하는 것은 한사에 상한 증이다[전을].

 

頭痛 體痛 鼻塞流涕 咳嗽噴嚔 頰赤 眼澁 山根靑色 皆傷風寒也(湯氏).

머리가 아프고 몸이 아프며 코가 막히고 콧물이 흐르며 기침하고 재채기하며

뺨이 붉고 눈이 깔깔하고 콧마루가 푸른 것은 다 풍한에 상한 것이다[탕씨].

 

傷風 宜大靑膏方見上 急驚風雄黃膏.

풍사에 상한 데는 대청고(처방은 위에 있다), 웅황고(雄黃膏)를 쓰는 것이 좋다.

 

感冒風寒 通用人蔘羌活散方見上 蔘蘇飮方見寒門 惺惺散(綱目).

풍한에 상한 데는 인삼강활산(처방은 위에 있다), 삼소음(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성성산(惺惺散)을 두루 쓴다[강목].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痢][설리]  (0) 2023.04.01
[痰涎喘嗽][담연천수]  (0) 2023.03.28
[吐瀉論證][토사논증]  (0) 2023.03.25
[吐瀉][토사]  (0) 2023.03.16
[治喫泥方][치끽니방]  (0) 2023.03.15

[吐瀉論證][토사논증]   [토하고 설사하는 것에 대하여]

 

一五歲兒 吐瀉壯熱 不思食飮

[錢氏] 見曰 此兒目中黑睛少 而白睛多 面色晄白 必多病.

夫面色晄白者 神怯也.

黑睛少者 腎虛也. 黑睛屬水 本怯而虛 故多病也.

縱長成 必肌膚不壯 不耐寒暑 易虛易實 脾胃亦怯 更不可縱恣酒色.

若不保陽 不過壯年也.

面上常無精神光澤者 如婦人之失血也.

今吐利不食 壯熱者 傷食也.

又虛怯不可下之 虛入肺則嗽 入心則驚 入脾則瀉 入腎則益虛

但以[消積丸] 磨化之 爲微乳食積也(錢乙).

어떤 5살 난 어린이가 토하고 설사하면서 열이 몹시 나며 음식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을

전씨(錢氏)가 보고 말하기를 이 아이는 눈에 검은 자위가 적고 흰자위가 많으며

얼굴빛이 희므로 반드시 병이 많을 것이라고 하였다.

대체로 얼굴빛이 흰 것은 신기가 약해진 것이고 눈에 검은자위가 적은 것은 신()이 허한 것이다.

눈의 검은자위는 신수에 속하므로 근본이 약하고 허하기 때문에 병이 많은 것이다.

비록 성장하더라도 반드시 살이 단단치 못하여서 추위와 더위를 견뎌 내지 못할 것이며

허해지기도 쉽고 실해지기도 쉬우며 비위도 또한 약해질 것이므로

함부로 주색을 즐겨 해서는 안 된다.

만일 보해 주지 않으면 중년기를 넘기지 못한다.

만일 얼굴에 늘 정기와 윤기가 없는 것은 부인이 피를 많이 흘린 것과 같다.

지금 토하고 설사하면서 먹지 못하고 열이 몹시 나는 것은 음식에 상한 것이다.

또한 허하고 약하면 설사시켜서는 안 된다.

설사시켜서 폐가 허해지면 기침하고 심이 허해지면 놀라며

비가 허해지면 설사하고 신이 허해지면 더욱 허해진다.

그러므로 소적환(消積丸)으로 점차 없어지게 해야 한다.

이것은 식적(食積)이 있기 때문이다[전을].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涎喘嗽][담연천수]  (0) 2023.03.28
[感冒風寒][감모풍한]  (0) 2023.03.26
[吐瀉][토사]  (0) 2023.03.16
[治喫泥方][치끽니방]  (0) 2023.03.15
[小兒積證][소아적증]  (0) 2023.03.11

[吐瀉][토사] [토하고 설사하는 것]

 

小兒 吐瀉泄黃 傷熱乳也.

吐瀉泄靑 傷冷乳也.

皆當下白餠子方見上 積癖主之.

下後傷熱乳者 玉露散 傷冷乳者 益黃散方見五藏服之(正傳).

어린이가 토하고 설사를 하는데

누런 대변을 설하는 것은 더운 젖에 상한 것이고

퍼런 대변을 설하는 것은 찬 젖에 상한 것이다.

이런 때에는 다 설사를 시켜야 하는데 백병자(처방은 위에 있다)를 주로 쓴다.

설사한 뒤에 더운 젖에 상한 데는 옥로산을 먹이고 찬 젖에 상한 데는

익황산(처방은 5장문에 있다)을 먹인다[정전].

 

初生月內 吐瀉 宜朱砂丸 後以朱沈煎調之.

갓 나서 1달 전에 토하고 설사하는 데는

주사환(朱砂丸)을 먹이고 나서 주침전(朱沈煎)으로 조리하는 것이 좋다.

 

初生吐瀉 大便色白

停乳也 紫霜丸方見上 小兒積證下後 用香橘餠.

갓 나서 토하고 설사하는데 대변빛이 흰 것은

젖에 체한 것이므로 자상환을 먹여 설사시킨 뒤에 향귤병을 쓴다.

 

吐瀉昏睡 不露睛者 爲實熱也 宜益元散方見暑門 玉露散.

토하고 설사하며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눈을 채 감지 못하는 것은

위에 실열이 있는 것이므로 익원산(처방은 서문에 있다), 옥로산을 쓴다.

 

暑月吐瀉身熱 宜 玉露散 五苓散方見寒門 益元散各半調服.

여름철에 토하고 설사하며 몸에서 열이 나는 데는

옥로산이나 오령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익원산을 각각 절반씩 타 먹인다.

 

寒月吐瀉身冷 宜 益黃散 理中湯方見寒門.

겨울철에 토하고 설사하며 몸이 싸늘한 데는

익황산(처방은 5장문에 있다)과 이중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吐瀉乳寒痰 半粟散主之.

토하고 설사하면서 한담이 있는 데는 반속산을 주로 쓴다.

 

小兒初生 拭口中穢惡不盡 嚥入喉中 故吐不止 宜用木瓜丸.

갓 나서 애기의 입 안의 구정물을 다 닦아 주지 않아서

그것을 삼킨 탓으로 계속 토하는 데는 모과환을 쓰는 것이 좋다.

 

如吐驟或瀉 完穀者 傷風甚也.

凡傷風多作 吐瀉者風木 好侵脾土故也

大靑膏 方見上 急驚風

만일 자주 토하거나 먹은 것을 소화시키지 못하고 그대로 설사하는 것은 풍에 몹시 상한 것이다.

대체로 풍에 상하여 토하고 설사를 많이 하게 되는 것은 풍목(風木)이 비토(脾土)를 침범하기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대청고(처방은 위에 있다)를 쓰는 것이 좋다.

계속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아 위태롭게 된 데는 소침환을 쓴다.

 

經年吐乳 眼慢糞穢有筋膜者

乃父母交感時喫乳所致 名曰 交精吐㛋

宜用益黃散 五疳保童元方見上 諸疳通治藥

吐瀉久 將成慢驚風 宜用和胃丸 雙金元方見上(錢乙).

여러 해 동안 젖을 토하며 눈이 풀리고 똥냄새가 역하고 힘줄 같은 것이 나오는 것은

성교 때 갓난아이에게 젖을 먹였기 때문인데 그것을 교정토내라고 한다.

이런 때에는 익황산, 오감보동원(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오래되어서 만경풍이 되려는 데는

화위환, 쌍금원(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전을].

 

小兒吐瀉 通用 助胃膏 最妙(湯氏).

어린이가 토하고 설사하는 데는 조위고를 두루 쓰는 데 효과가 아주 좋다[탕씨].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感冒風寒][감모풍한]  (0) 2023.03.26
[吐瀉論證][토사논증]  (0) 2023.03.25
[治喫泥方][치끽니방]  (0) 2023.03.15
[小兒積證][소아적증]  (0) 2023.03.11
[積癖][적벽]  (0) 2023.03.11

[治喫泥方][치끽니방]

治小兒喫泥土 及䑋肚(䑋音讓 脹也).

膩粉0.5g 砂糖搜和 丸麻子大 空心米飮下 一丸 瀉出土卽差(綱目).

小兒食土 取好土濃煎 黃連取淸汁 搜和日乾 與服 卽止

名曰 [黃芩餠](回春).

[흙 먹기를 즐겨 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

어린이가 흙 먹기를 즐겨하는 것과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경분 0.4g을 사탕과 함께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미음으로 빈속에 먹여 흙을 설사하게 하면 곧 낫는다[강목].

어린이가 흙을 먹는 데는 좋은 흙을 황련을 진하게 달인 웃물로 개어서 볕에 말려 먹이면 곧 낫는다.

일명 황금병(黃金餠)이라고도 한다[회춘].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吐瀉論證][토사논증]  (0) 2023.03.25
[吐瀉][토사]  (0) 2023.03.16
[小兒積證][소아적증]  (0) 2023.03.11
[積癖][적벽]  (0) 2023.03.11
[虛熱][허열]  (0) 2023.03.04

[小兒積證][소아적증]

小兒病癖 面黃腫, 腹脹, 多嘔

小便如油, 眼睛黃, 腹內虛鳴, 多睡, 赤白痢, 多瀉

凡有積滯 須辨虛實 實者 可服進食丸

虛而有疳瘦者 宜服肥兒丸方見上 諸疳通治.

어린이의 적병의 증상은 얼굴이 누르고 부으며 배가 불러 오르고 구역을 많이 하며

오줌이 기름 같고 눈알이 누르며 배가 끓고 잠이 많으며 피곱이 섞인 이질과 설사를 많이 한다.

적체(積滯)는 반드시 허하고 실한 것을 구별하여 치료해야 하는데

실증일 때에는 진식환(進食丸), 소식환(消食丸)을 먹이고

허해서 감질이 생겨 여위 데는 비아환(처방은 위에 있다)을 먹이는 것이 좋다.

 

小兒病癖 由乳食不消 伏在腹中 乍凉乍熱 飮水不止 或喘而嗽 與潮熱相類

若不早治 必成勞疳 寒熱飮水 脇下有形硬痛 法當用藥 漸消磨之

以其有癥癖 故令兒不食 脾胃虛而發熱 故引飮也(錢乙).

어린이가 벽증으로 앓으면 젖과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벽증이 뱃속에 있기 때문에

잠깐 싸늘해졌다 잠깐 열이 났다 하고 계속 물을 켜며 숨이 차하고 기침하며

조열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만약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허로(虛勞)와 감질(疳疾)이 되는데 추웠다 열이 나면서

물을 켜며 옆구리에 뜬뜬한 덩어리가 있으면서 아픈 데는 약을 써서 천천히 없애야 한다.

징벽이 있어서 어린이가 먹지 못하고 비위가 허하여 열이 나므로 물을 켜는 것이다[전을].

 

癖塊者 僻於兩脇 痞結者 否於中脘 皆因乳哺失節 飮食停滯 邪氣相搏而成也(回春).

벽괴(癖塊)는 양쪽 옆구리에 치우쳐 있고 비결은 중완(中脘)에 생기지 않는다.

이것은 다 젖과 음식을 조절하여 먹이지 못하여 먹은 음식이 체한 데다 사기가 겹쳐서 된 것이다[회춘].

 

乳食積 宜用七聖丸 厚腸丸 白餠子.

젖과 음식으로 생긴 적은 칠성환(七聖丸), 후장환(厚腸丸), 백병자(白餠子) 등을 쓰는 것이 좋다.

 

癖塊 宜用紫霜丸方見上 六味三菱丸 廣朮化癖丸 千金消癖丸 化癖如神散.

벽괴에는 자상환(처방은 위에 있다), 육미삼릉환, 광출화벽환, 천금소벽환, 화벽여신산 등을 쓰는 것이 좋다.

 

愛喫泥土 宜淸胃養脾湯 治喫泥方(綱目).

진흙을 먹기 좋아하는 데는 청위양비탕과 흙 먹기를 즐겨 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吐瀉][토사]  (0) 2023.03.16
[治喫泥方][치끽니방]  (0) 2023.03.15
[積癖][적벽]  (0) 2023.03.11
[虛熱][허열]  (0) 2023.03.04
[實熱][실열]  (0) 2023.03.04

[積癖][적벽]

食積者 凡小兒失乳 以食飼之 未有食腸 不能剋化 致成食積 腹脹瘦弱 痢色無常(東垣).

積證 有傷乳 傷食而身體熱者 惟肚熱爲甚耳 夜間有熱者 傷積之明驗也(永類).

식적(食積)은 대개 어린이에게 젖이 없을 때에 밥을 먹이면 위장이 소화를 시키지 못하여 되는 것이다.

배가 불러 오르고 여위면서 약해지고 일정치 않은 빛의 이질을 앓는다[동원].

적병(積病)에는 젖에 상한 것과 음식에 상한 것이 있는데

몸에 열이 있으면서 배에 열이 더 심하며 밤에 열이 있는 것은 적병이 분명하다[영류].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喫泥方][치끽니방]  (0) 2023.03.15
[小兒積證][소아적증]  (0) 2023.03.11
[虛熱][허열]  (0) 2023.03.04
[實熱][실열]  (0) 2023.03.04
[壯熱][장열]  (0) 2023.03.04

[虛熱][허열/소아]

身熱 不飮水 大小便如常 宜服地骨皮散(入門).

허열이 있으면 몸에 열이 있으나 물을 마시지 않으며 대소변은 평상시와 같다.

이때는 지골피산(地骨皮散)을 먹이는 것이 좋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兒積證][소아적증]  (0) 2023.03.11
[積癖][적벽]  (0) 2023.03.11
[實熱][실열]  (0) 2023.03.04
[壯熱][장열]  (0) 2023.03.04
[風寒熱][풍한열]  (0) 2023.03.04

[實熱][실열/소아]

身熱 飮水 不大小便 秘澁 宜淸凉飮子(入門).

실열이 있으면 몸에서 열이 나고 물을 켜며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다.

이때는 청량음자(淸凉飮子)를 쓰는 것이 좋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積癖][적벽]  (0) 2023.03.11
[虛熱][허열]  (0) 2023.03.04
[壯熱][장열]  (0) 2023.03.04
[風寒熱][풍한열]  (0) 2023.03.04
[瘧熱][학열]  (0) 2023.03.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