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涎喘嗽][담연천수] [담연으로 숨이 차 하고 기침하는 것]
痰乃風苗火 靜則伏於脾火 動則壅於肺
痰火交作則咳嗽喘急
宜瀉白散方見五藏合導痰湯方見痰飮 煎服(入門).
담(痰)은 풍(風)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화(火)가 안정해 있으면 비(脾)에 잠복해 있고 화가 발동하면 폐기를 막는다.
담과 화가 같이 발동하면 기침하고 숨이 차 한다.
이때에는 사백산(처방은 5장문에 있다)에 도담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합하여 달여 먹인다[입문].
寒嗽 宜華盖散方見咳嗽 熱嗽 宜淸金降火湯方見咳嗽.
한사(寒邪)로 기침하는 데는 화개산(華盖散)이 좋고 열사로 기침하는 데는
청금강화탕(淸金降火湯)이 좋다(두 가지 처방은 다 기침문에 있다).
脾肺 母子也. 二藏俱虛則生頑涎 頑涎者 脾肺所出也.
涎則流溢 在於咽喉 如水雞之聲 喘嗽煩悶 宜抱龍丸 奪命散二方並見上.
비(脾)와 폐(肺)는 어머니와 아들 격이다.
두 장기가 다 허하면 완담(頑痰)이 나오는데 완담은 비와 폐에서 나온다.
담연이 목구멍에 있으면 물닭 소리와 같은 소리가 나면서 숨이 차 하고 기침하며 답답해 한다.
이때는 포룡환(抱龍丸), 탈명산(두 가지 처방은 다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馬脾風 宜用馬脾風散 牛黃奪命散 保命散方見上(入門).
마비풍(馬脾風)에는 마비풍산(馬脾風散), 우황탈명산(牛黃奪命散),
보명단(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痛 腹脹][복통복창] (0) | 2023.04.05 |
---|---|
[泄痢][설리] (0) | 2023.04.01 |
[感冒風寒][감모풍한] (0) | 2023.03.26 |
[吐瀉論證][토사논증] (0) | 2023.03.25 |
[吐瀉][토사]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