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辨痘虛實][변두허실]

 

吐瀉少食 爲裏虛 陷伏倒靨白色 爲表虛

二證但見爲表裏俱虛 並用異功散方見下救之.

토하고 설사하면서 적게 먹는 것은 속이 허한 것이고

함복(陷伏)과 도엽()때 잿빛 같은 것은 표()가 허한 것이다.

이 두 가지 증상이 다 나타나는 것은 표리(表裏)가 다 허한 것인데

이때는 모두 이공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으로 치료한다.

 

不吐瀉 能食爲裏實 紅活凸綻 無汗爲表實

凉膈散方見火門加升麻 乾葛 紫草 荊芥解之(綱目).

토하거나 설사하지 않고 잘 먹는 것은 속이 실한 것이며

구슬이 붉고 윤택하며 도드라져 나오고 땀이 없는 것은 표실증(表實證)인데

이때 양격산(처방은 화문에 있다)에 승마, 갈근, 지치, 형개 등을 더 넣어 풀어 준다.

 

身熱無汗 爲表實 身凉多汗 爲表虛

便秘能食 爲裏實 吐瀉少食 爲裏虛(入門).

몸에 열이 나고 땀이 없는 것은 표실증이고 몸이 차고 땀이 많은 것은 표허증(表虛證)이다.

대변이 굳고 잘 먹는 것은 이실증(裏實證)이고 토하고 설사하면서 적게 먹는 것은 이허증(裏虛證)이다[입문].

 

表裏俱實者 難出易靨

表裏俱虛者 易出難靨

表實難出 裏虛難靨(入門).

()와 이()가 다 실한 것은 구슬이 내돋기 어렵고 딱지는 앉기 쉽다.

표와 이가 다 허한 것은 내돋기는 쉽고 딱지가 앉기 어렵다.

표가 실하면 내돋기 어렵고 이가 허하면 딱지가 앉기 어렵다[입문].

 

肺主氣 氣不足則致三證

自汗 聲不出 瘡頂陷塌

保元湯方見上 四君子湯方見氣門.

()는 기를 주관하는데 기가 부족하면 3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그것은 저절로 땀 나는 것, 목소리가 안 나오는 것, 구슬 꼭대기가 꺼져 들어가는 것들이다.

이때는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 사군자탕(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心主血 血不足則致三證 灰白色 根窠不紅 不光澤

芎歸湯方見婦人 或四物湯 紫草 紅花(正傳).

()은 혈을 주관하는데 혈이 부족하면 3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그것은 잿빛이 나는 것, 구슬 밑둥이 붉지 않은 것, 광택이 없는 것들이다.

이때는 궁귀탕(처방은 부인문에 있다)이나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지치와 홍화를 더 넣어 쓴다[정전].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護][보호]  (0) 2023.08.13
[辨痘陰陽證][변두음양증]  (0) 2023.08.11
[調燈影法][조등영법]  (0) 2023.07.30
[辨痘形色善惡][변두형색선악]  (0) 2023.07.10
[辨痘輕重 順逆][변두경중 순역]  (0) 2023.07.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