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痘後癰癤][두후옹절]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과 절

 

凡 痘癰必先 手足及脈絡之處

或有紅腫 或有硬痛處 皆發癰之兆也

痘末愈則不須治.

대체로 마마를 앓은 뒤에 생기는 옹은 먼저 손발과 맥락이 있는 곳에 생기는데

혹은 벌겋게 붓거나 딴딴하고 아픈 곳이 있으면 다 옹이 발생하려는 징조이다.

마마가 낫지 않았으면 치료하지 말 것이다.

 

痘毒流注脈絡 輕者 結核瘡癤而已

甚者 頭面 胸脇 手足 肢節 焮腫作痛

宜用消毒湯.

마마독이 맥락에 들어간 것이 경()하면 멍울이 몰리거나 헌데나 뾰두라지가 날 따름이고

심하면 머리, 얼굴, 가슴, 옆구리, 손발, 팔다리의 뼈마디가 달면서 붓고 아프다.

이때에는 소독탕(消毒湯)을 쓰는 것이 좋다.

 

痘癰膿血不收 宜用歛肌散.

두옹(痘癰)으로 피고름이 걷히지 않는 데는 염기산(斂肌散)을 쓰는 것이 좋다.

 

痘後生疳瘡 疥癬 宜用金華散(入門).

마마를 앓은 뒤에 감창(疳瘡)과 옴이 생긴 데는 금화산(金華散)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痘疹餘毒 未解頭面身體 多生癰癤 宜用犀角化毒丹(醫鑒).

마마와 홍역의 여독이 다 풀리지 않아서 머리와 얼굴, 몸에 흔히

옹이나 절이 생긴 데는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을 쓰는 것이 좋다[의감].

 

痘癰 鍼後成疳蝕瘡 膿水不止 若不治則多潰爛筋骨 終成廢人

宜用雄黃散 綿繭散(綱目).

두옹에 침을 놓은 뒤에 감식창이 되어 계속 물 같은 고름이 나오는 것을

치료하지 않으면 힘줄과 뼈를 상해서 흔히 병신이 될 수 있다.

이때는 웅황산(雄黃散)이나 면견산(綿繭散)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痘癰初起 紅腫時 黑 菉 赤三豆醋浸硏 取汁 以鷄羽蘸刷上 隨手退消 神效.

두옹이 처음 생길 때 벌겋게 부어 오른 데는 검정콩(흑두), 녹두, 붉은 팥 등을

식초에 담갔다가 갈아서 즙을 내어 닭의 깃으로 묻혀 발라 주면 곧 없어질 뿐 아니라 잘 낫는다.

 

痘後癰毒腫痛 宜消毒飮方見上 痘瘡治法 必勝膏(正傳).

마마를 앓은 뒤에 옹독으로 붓고 아픈 데는 소독음(처방은 위에 있다), 필승고(必勝膏) 등이 좋다[정전].

 

痘靨落後 餘毒不盡 變成癩癬苦痒 臘猪油塗之 神妙(綱目).

구슬에 딱지가 떨어진 뒤에 여독이 다 없어지지 않아 피부가 문둥병처럼 되어서

몹시 가려운 데는 음력 섣달에 잡은 돼지기름을 발라 주면 잘 낫는다[강목].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附孕婦痘瘡][부잉부두창]  (3) 2023.12.08
[痘後痢疾][두후이질]  (2) 2023.12.07
[治痘後瞖膜 點法][치두후예막 점법]  (3) 2023.12.03
[痘後瞖膜][두후예막]  (4) 2023.11.20
[痘後諸疾][두후제질]  (0) 2023.11.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