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辨痘形色善惡][변두형색선악]

[구슬의 모양과 빛을 보고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는 법]

 

色者 五藏精華 紅黃綠者 爲佳

黃綠乃脾胃正色 毒將出也

淡紅者 毒始出也

鮮紅則爲血熱 初起紫者 大熱也

全白者 氣虛也

灰白者 血衰而氣滯也

黑者 毒滯而血乾也.

빛깔은 5(五藏) 정기(精氣)의 표현이므로 붉고 누르며 풀빛인 것은 좋다.

누렇고 풀빛인 것은 비위(脾胃)의 제빛[正色]이므로 독이 앞으로 나오려는 것이고

불그스름한 빛은 독이 처음 나오기 시작하는 것이며

선지 핏빛인 것은 혈에 열이 있는 것이다.

구슬이 처음 돋아 나올 때 자줏빛인 것은 열이 심한 것이고

순수 흰빛은 기가 허한 것이며

잿빛인 것은 피가 부족하고 기가 막힌 것이며

검은 빛인 것은 독이 몰리고 혈이 마른 것이다.

 

痘色 初出淡紅 紅變白 白變黃者 吉

初出鮮紅 紅變紫者 變黑者 逆.

구슬이 처음 돋을 때의 빛은 불그스름하다가

붉은 것이 변하여 희게 되고 흰 것이 변하여 누렇게 되는 것은 좋다.

구슬이 처음 돋아 나올 때 선지 핏빛이 나다가

붉은 빛이 변하여 자줏빛이 되었다가 자줏빛이 변하여 검어지는 것은 좋지 않다.

 

痘出色 不紅潤者 毒盛壅塞 故也.

宜用紫草飮方見上

外用芥子末 塗脚心(入門).

구슬이 돋아 나와서 빛이 붉으면서 윤택하지 못한 것은 독이 성하여 막힌 것인데

이때는 자초음(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외용약으로는 흰겨자가루(처방은 아래에 있다)를 발바닥에 바른다[입문].

 

黑屬血熱 凉血爲主 四物湯方見血門加黃芩 黃連 紅花.

白屬氣虛 補氣爲主 保元湯方見上 去甘草 加紫草(丹心).

검은 빛은 혈열(血熱)에 속하므로 양혈(凉血)하는 약을 주로 쓴다.

이때는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황금, 황련, 홍화 등을 더 넣어 쓴다.

흰빛은 기가 허한 데 속하므로 기를 보하는 것을 주로 쓴다.

이때는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에서 감초를 빼고 지치를 더 넣어 쓴다[단심].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痘虛實][변두허실]  (0) 2023.07.31
[調燈影法][조등영법]  (0) 2023.07.30
[辨痘輕重 順逆][변두경중 순역]  (0) 2023.07.09
[辨痘吉凶][변두길흉]  (0) 2023.07.08
[解毒][해독]  (0) 2023.06.27

[辨痘輕重 順逆][변두경중 순역]

[마마 때 경증과 중증, 순증과 역증을 구별하는 법]

 

輕者 作三次出 大小不一

頭面稀少 根窠紅活 痞滿光澤

耳中無 眼中無 臍中無

重者一齊並出 密如蚕種 稠密無縫

身熱腹脹 痘溫足冷 渴瀉不止 耳中有 臍中有

輕變重者 犯房室 不忌口 先曾渴 飮冷水 餌凉藥

重變輕者 避風寒 常和緩 大便稠 不燥渴 忌生冷 忌外人(綱目).

경한 것은 3차례에 걸쳐 돋아 나오고 크고 잔 것이 일정치 않다.

머리와 얼굴에는 작고 드물게 돋는다.

밑둥이 붉고 윤택하며 충실하고[肥滿] 광택이 있다.

, , 배꼽 등에는 돋지 않는다.

중한 것은 한꺼번에 다 돋으며 누에알처럼 배고[] 빈틈이 없으며

몸에 열이 있고 배가 불러 오르며 머리는 달고[] 발은 싸늘하며

계속 갈증과 설사가 나고 귓속과 배꼽에도 돋는다.

()하던 것이 중()하게 된 것은 성교를 삼가하지 않았거나

음식을 가려 먹지 않았기 때문이다.

혹 목이 말라 하며 찬물을 마시려 하고 성질이 찬약을 먹으려 한다.

중하던 것이 경하게 되는 것은 풍한을 피하여 늘 따뜻하게 하며

대변을 고르게 하고 갈증이 나지 않게 하며 생것과 찬 것을 먹는 것를 삼가고

외래자[外人]를 만나지 않았기 때문이다[강목].

 

凡出痘收靨 從頭至足爲順 從足至頭爲逆.

頭脚濟出齊靨者險.

輕者 靨出俱從頭至足 痘亦稀.

重者 稠密頭上 未出未靨 脚上先出先靨(入門).

대체로 구슬이 돋을 때와 딱지 앉는 것이 머리에서부터 시작하여 발로 가는 것은

순증(順證)이고 발에서부터 머리로 올라오는 것은 역증(逆證)이다.

머리와 발에 일제히 돋고 일제히 딱지가 앉는 것은 위험한 증상이다.

경한 것은 돋는 것과 딱지가 앉는 것이 모두 머리에서부터 시작하여 발로 가는데 구슬이 드물다.

중한 것은 돋는 것이 배며 머리에는 아직 나오지 않고 딱지도 앉지 않았는데 먼저 다리에 돋고 또 딱지가 앉는 것이다[입문].

 

身體溫暖者 順 寒凉者 逆.

能食大便實者 順 不能食 大便利者 逆(正傳).

몸이 따뜻한 것은 순증이고 싸늘한 것은 역증이다.

음식을 잘 먹으면서 대변이 굳은 것은 순증이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면서 설사하는 것은 역증이다[정전].

 

瘡疹屬陽 出則爲順

故春夏爲順 秋冬爲逆

冬月腎旺 又盛寒 故病 多歸腎變黑(海藏).

마마는 양증(陽證)에 속하므로 내돋으면 순증이다.

그러므로 봄과 여름에는 순증이고 가을과 겨울에는 역증이 된다.

겨울에는 신()이 왕성하고 또 몹시 춥기 때문에 병이 흔히 신과 관련되어 생겨서 거멓게 변한다[해장].

 

痘疹 惟腎無候 但見平證 耳凉尻凉 爲順

若痘黑陷 耳及尻 反熱者 爲逆.

마마 때 오직 신()만이 다른 증상이 없고 다만 일반 증상만이 나타나는데

귀가 차고 꽁무니가 찬 것은 순증이다.

만일 구슬이 거멓게 꺼져 들어가며 귀와 꽁무니가 도리어 다는 것[]은 역증이다.

 

痘黑而忽瀉便膿血 幷痂皮者 順 水穀不消者 逆

盖瀉出痂皮 根在內 病出而安也.

水穀化者 脾實 故順,

水穀不化者 脾虛 故逆.(錢乙).

구슬이 검고 갑자기 설사하면서 대변으로 피고름이 섞여 나오는 것과

함께 딱지가 앉는 것은 순증이고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것은 역증이다.

대개 설사하면서 딱지가 앉는 것은 병의 뿌리가 안에 있는 것이므로 병의 뿌리가 풀려 나오면 편안하다.

음식이 잘 소화되는 것은 비()가 실()한 것이므로 순증이고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는 것은 비가 허()한 것이므로 역증이다[전을].

 

一發出便密 如鍼頭 如蚕種 如糠粃者

重 如浮萍 不分箇數者 逆.

한번 내돋은 것이 배기[]가 침대가리 같거나 누에알 같고 쌀겨 같은 것은

중한 것인데 개구리밥과 같아서 개수(箇數)를 분간할 수 없는 것은 역증이다.

 

一發便出盡者 必重 痘挾疹者 半輕半重 瘡端黑如鍼孔者 熱劇(海藏).

한번에 다 내돋는 것은 반드시 중하고 두()에 진()을 겸한 것은 절반은 경하고

절반은 중하며 구슬 꼭대기에 침구멍만하게 검은 것이 나타나면 열이 심한 것이다[해장].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調燈影法][조등영법]  (0) 2023.07.30
[辨痘形色善惡][변두형색선악]  (0) 2023.07.10
[辨痘吉凶][변두길흉]  (0) 2023.07.08
[解毒][해독]  (0) 2023.06.27
[通治][통치]  (0) 2023.06.26

[辨痘吉凶][변두길흉]

痘者 豆也

大小不一無妨

惟欲圓滿硬實 不宜虛軟陷伏.

()란 콩 같다는 뜻이다.

크고 작은 것이 꼭 같지 않은 것은 괜찮다.

다만 둥글고 그득하며 딴딴한 것은 좋고 속이 비고 말랑말랑하며 꺼져 들어가는 것은 좋지 않다.

 

痘自頂額上陽位起 且稠者固凶

然遍身變壞頂額上 不變則吉

貫膿時 變成水疱 惟額上不破者 可治.

收靨時 敗證悉具 惟頂額上未靨如舊者 可生(入門).

구슬이 정수리와 이마의 양() 부위로부터 내돋고 밴[] 것은 나쁜 증이다.

그러나 온몸의 구슬이 다 헐어 헤지는데 오직 정수리와 이마에 있는 것만이 변하지 않으면 좋은 증이다.

고름이 잡힐 때에 변하여 물이 되는데 오직 이마에 있는 것만이 터지지 않는 것은 치료할 수 있다.

딱지가 앉을 때 나쁜 증상이 있어도 정수리와 이마에만 딱지가 앉지 않고 전과 같은 것은 살 수 있다[입문].

 

頭粒尖而白根窠紅潤 譬如一顆眞珠 放在臙脂上

故曰生頭粒紅紫 地界不分 譬如衃血猪肝 故曰死(回春).

구슬 꼭대기가 뾰족하고 희며 밑둥이 붉고 윤택하여 마치 연지 위에 진주 1개를 놓은 것과 같은 것은 살고

꼭대기가 자줏빛이고 경계가 분명치 못하여 마치 궂은 피나 돼지간 같은 것은 죽을 수 있다[회춘].

 

凡痘疹只出一般者 善 或二色三色 相合而作者 凶

謂痘癍疹 相合也(海藏).

대체로 마마 때 보통 빛으로 나오는 것은 좋고 2가지 빛이나 3가지 빛이 합쳐서 내돋는 것은 좋지 않다.

그것은 두()와 반과 진()이 서로 합쳤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이다[해장].

 

痘脚稀踈. 根窠紅活. 不瀉不渴.

乳食不減. 四肢溫和. 身無大熱

已上六證 並不服藥自愈(正傳).

구슬이 드물게 돋는 것, 구슬 밑둥이 붉고 윤택한 것, 설사도 안 하고 갈증도 없는 것,

먹는 것이 줄지 않는 것, 팔다리가 따뜻한 것, 몸에서 높은 열이 나지 않는 것 등

6가지 증상은 다 약을 쓰지 않아도 저절로 낫는다[정전].

 

痘不治證 有七

戞齒 痘黑陷 喉中涎喘.

憎寒困倦 痘子縮伏.

瘡作坑內 無膿血 或作黑色疱

痘癰變疳 只臭齦爛牙落.

聲啞氣噎 或嚥樂腹中鳴.

痘初出半在皮膚 帶紫黑色不出

誤於踈轉氣啞者.

마마에는 치료되지 않는 7가지 증상이 있다.

이를 갈고 구슬이 거멓게 꺼져 들어간 것이며 목에서 가래가 끓고 숨차 하는 것이다.

오한이 나고 나른해 하며 구슬이 돋았던 것이 줄어드는 것이다.

구슬이 돋은 것이 우묵 들어갔고 속에 피고름이 없거나 물의 빛이 검어지는 것이다.

두옹이 감질로 변하여 입에서 냄새가 나고 잇몸이 헤지며 이가 빠지는 것이다.

목이 쉬고 숨이 막히거나 약을 먹으면 배가 끓는 것이다.

구슬이 처음 나올 때에 피부에 검은 자줏빛이 돌면서 채 내돋지 않는 것이다.

잘못 발산시켜서 목이 쉬고 숨이 고르지 않은 것이다.

 

凡痘出 前後心密

及兩手心 兩足心 密者 皆不治.

대체로 구슬이 돋을 때에 가슴의 앞뒤에 배게 나오고

두 손바닥과 두 발바닥에 배게 난 것은 치료되지 않는다.

 

不治證 又有五

痒塌寒戰 咬牙煩躁

紫黑色 喘喝不寧

痘溫足冷 悶亂欲飮

灰白色頂陷 腹脹喘渴.

目上視氣促 泄瀉不止(綱目).

치료되지 않는 증에는 5가지가 있다.

가렵고 꺼져 들어간 것이며 추워서 떨고 이를 갈며 번조해 하는 것이다.

구슬이 검은 자줏빛이고 숨차 하면서 안정치 못한 것이다.

머리는 달고 발은 차며 속이 답답해 하고 물을 마시려는 것이다.

구슬이 잿빛이 돌고 꼭대기가 꺼져 들어가며 배가 불러 오르고 숨차 하며 갈증이 나는 것이다.

눈을 치뜨고 숨결이 밭으며 설사가 멎지 않는 것들이다[강목].

 

不治證 又有六

初出勇壯.

出如蚕種.

隨出隨沒.

如蚊虫咬.

倒出.

飮水如促鼻(回春).

치료되지 않는 증에는 6가지가 있는데

처음 돋아 나올 때 단번에 아주 많이 나오는 것이다.

돋아난 것이 누에알 같은 것이다.

금방 돋았다가 금방 들어가는 것이다.

모기에게 물린 것 같은 것이다.

순서대로 나오지 않고 거꾸로 나오는 것이다.

물을 마실 때에 코를 치미는 것[促鼻] 같은 것이다[회춘].

 

鼻燥有黑氣 以手抭鼻孔者 必死(入門).

코가 마르고 검은 빛이 있으며 콧구멍을 우비는 것은 반드시 죽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痘形色善惡][변두형색선악]  (0) 2023.07.10
[辨痘輕重 順逆][변두경중 순역]  (0) 2023.07.09
[解毒][해독]  (0) 2023.06.27
[通治][통치]  (0) 2023.06.26
[收靨時吉凶證][수엽시길흉증]  (0) 2023.06.16

[絲瓜湯][사과탕]

發痘疹最妙

取絲瓜連皮子燒存性

爲末 砂糖溫水調下半匙許

或以紫草茸 甘草煎湯調服 尤妙.

今人 水煎服 亦得[丹心]

마마와 홍역 때에 구슬이나 꽃이 내돋게 하는 데 제일 좋다.

수세미오이(사과, 껍질과 씨째로 약성이 남게 태운 것)

가루를 내어 반 숟가락씩 사탕(砂糖)을 넣은 더운물에 타 먹이거나

자초용과 감초를 두고 달인 물에 타 먹이면 더욱 좋다.

지금 사람들은 물에 달여 먹이는데 그것도 좋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物湯][사물탕]  (0) 2023.07.12
[紫草飮][자초음]  (0) 2023.07.11
[三豆飮][삼두음]  (0) 2023.07.06
[黑散子][흑산자]  (0) 2023.07.05
[神功散][신공산]  (0) 2023.07.04

[三豆飮][삼두음]

赤小豆, 黑豆, 菉豆 各一升

甘草五錢

右水煮熟 逐日飮汁 喫豆任意服

已染則輕解 未染者 服之過七日 永不出[得效]

붉은팥, 검정콩(흑두), 녹두 각각 1, 감초 20g.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매일 먹이되 콩은 마음대로 먹게 한다.

이미 전염된 것은 경하게 앓고 전염되지 않았을 사람은

7일 이상 먹이면 일생 동안 걸리지 않는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草飮][자초음]  (0) 2023.07.11
[絲瓜湯][사과탕]  (0) 2023.07.07
[黑散子][흑산자]  (0) 2023.07.05
[神功散][신공산]  (0) 2023.07.04
[四齒散][사치산]  (0) 2023.07.03

[黑散子][흑산자]

解痘毒 初出服此 便消不出

臘月猪糞 甁子盛瓦片

盖口火禭存性放冷 硏細 每二錢 新水調下[類聚]

마마독을 푼다.

구슬이 처음 나왔을 때에 이것을 먹이면 삭아지고 나오지 않는다.

음력 섣달의 저분(猪糞)을 병에 넣고 기와조각으로 아가리를 덮은 후

약성이 남게 불에 달구어 식혀서 보드랍게 가루를 낸 다음 8g씩 물에 타 먹인다[유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絲瓜湯][사과탕]  (0) 2023.07.07
[三豆飮][삼두음]  (0) 2023.07.06
[神功散][신공산]  (0) 2023.07.04
[四齒散][사치산]  (0) 2023.07.03
[回生散][회생산]  (0) 2023.07.02

[神功散][신공산]

治痘毒太盛 以此解之 毒氣卽散 陷者卽起

川芎, 當歸, 升麻, 甘草 各六兩

右爲㵋末 一起取 東流水 煎三次

每次 用水三椀 文武火煎至一 椀半濾下

又煎二次共藥水四椀半 聽用

又用好朱砂四兩 以絹袋懸入磁罐 加煎藥水封固水煮盡爲度

取出焙乾爲末 以紙羅過聽用再以引經散用姎米二三合

以紙包緊 外用黃泥固濟 入火煉紅 冷定打碎

取米黃色者用之 白色者不用 每服

以朱砂一錢 米末一錢 煉蜜二匙 好酒二匙

百沸湯 一小鍾共一處 調勻 用茶匙 活盡取效[醫鑑]

마마독이 아주 심한 것을 치료하는데

이 약으로 독기를 풀어 주고 구슬이 꺼져 들어간 것은 곧 부풀어 오르게 한다.

궁궁이(천궁), 당귀, 승마, 감초 각각 24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강물에 넣고 달이기를 세번 하되

한번에 물 3사발씩 붓고 약하지도 세지도 않은 불에 달인다.

한 사발 반이 되면 약물을 걸러 낸 다음 찌꺼기를 다시 달이는데

이렇게 두번 더해서 약물이 모두 4사발 반이 되게 한 다음

약탕관에 붓고 좋은 주사(朱砂) 160g을 비단주머니에 넣어서

약탕관 안에 달아 매고 꼭 봉한다.

이것을 물이 없어질 때까지 졸인 다음 꺼내어 약한 불기운에 말린 후

가루를 내어 종이에 놓고 까불어서 쓴다.

그리고 인경(引經)약으로는 찹쌀 2-3홉을 종이에 단단히 싼 다음

소금을 두고 이긴 진흙으로 잘 싸바른다.

이것을 벌겋게 구워 식혀서 깨뜨린 다음 꺼내어

노랗게 된 찹쌀은 쓰고 흰 것은 쓰지 않는다.

한번에 주사 4g, 찹쌀가루 4g, 졸인 꿀 2숟가락, 좋은 술 2숟가락 등을

끓인 물 1종지에 넣고 고루 섞어서 찻숟가락으로 먹인다.

약을 다 먹으면 효력이 난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豆飮][삼두음]  (0) 2023.07.06
[黑散子][흑산자]  (0) 2023.07.05
[四齒散][사치산]  (0) 2023.07.03
[回生散][회생산]  (0) 2023.07.02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0) 2023.07.01

[四齒散][사치산]

治痘不紅不起發 或黑陷焦枯

人齒 猫齒 狗齒 猪齒 各等分

盛砂鍋內火禭 候冷 硏爲細末 每取五分 熱酒調下

一二歲兒服 二三分, 五六歲兒服 四五分 取效如神

盖黑證屬腎 四齒亦屬腎 故能發腎毒

又猫齒 能解熱毒

若無猫齒 只用 人齒亦可 但不如四齒全方[入門]

구슬이 붉지 않고 물이 실리지 않거나 거멓게 꺼져 들어가고 윤기가 전혀 없는 것을 치료한다.

고양이 이빨, 개 이빨, 돼지 이빨 각각 같은 양.

위의 것들을 사기그릇에 담아서 불에 달구어 식은 다음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씩 데운 술에 타 먹인다.

1-2살 어린이에게는 0.8-1.2g, 5-6살 나는 어린이에게는 1.6-2g을 먹이면 효과가 좋다.

대개 거멓게 꺼져 들어간 것은 신에 속하는 증상이고

이 약도 신에 속하기 때문에 신의 독을 몰아낼 수 있다.

또 고양이 이빨은 능히 열독을 잘 푼다.

만일 고양이 이빨이 없으면 다른 것을 쓰는 것도 좋으나 3가지를 다 쓰는 것만 못하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散子][흑산자]  (0) 2023.07.05
[神功散][신공산]  (0) 2023.07.04
[回生散][회생산]  (0) 2023.07.02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0) 2023.07.01
[加味犀角消毒飮][가미서각소독음]  (0) 2023.06.30

[回生散][회생산]

治囍亂 吐瀉過多 但一點

胃氣存者 服之回生

藿香, 陳皮 各五錢

右犫作一貼水 煎溫服[入門]

곽란( 으로 몹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위기(胃氣)가 조금이라도 있을 때 먹어야 한다.

곽향, 귤껍질(陳皮)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功散][신공산]  (0) 2023.07.04
[四齒散][사치산]  (0) 2023.07.03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0) 2023.07.01
[加味犀角消毒飮][가미서각소독음]  (0) 2023.06.30
[加味消毒飮][가미소독음]  (0) 2023.06.29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治婼吐血不止 及上焦瘀血

面黃 大便黑 能消化瘀血

生地黃三錢, 赤芍藥二錢

犀角戮, 牡丹皮 各一錢

右犫作一貼 水煎服[入門]

回春 加 當歸, 黃芩, 黃連 各一錢尤佳

코피와 피를 토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과 상초(上焦)에 어혈(瘀血)이 있어

얼굴이 누렇고 대변이 검은 것을 치료하는 데 어혈을 삭힌다.

생지황 12g, 함박꽃뿌리(작약) 8g,

서각(가루낸 것),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회춘에는 당귀,속썩은풀(황금), 황련을 각각 4g씩 넣어 쓰면 더 좋다고 씌어 있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齒散][사치산]  (0) 2023.07.03
[回生散][회생산]  (0) 2023.07.02
[加味犀角消毒飮][가미서각소독음]  (0) 2023.06.30
[加味消毒飮][가미소독음]  (0) 2023.06.29
[消毒飮][소독음]  (0) 2023.06.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