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辨痘虛實][변두허실]

 

吐瀉少食 爲裏虛 陷伏倒靨白色 爲表虛

二證但見爲表裏俱虛 並用異功散方見下救之.

토하고 설사하면서 적게 먹는 것은 속이 허한 것이고

함복(陷伏)과 도엽()때 잿빛 같은 것은 표()가 허한 것이다.

이 두 가지 증상이 다 나타나는 것은 표리(表裏)가 다 허한 것인데

이때는 모두 이공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으로 치료한다.

 

不吐瀉 能食爲裏實 紅活凸綻 無汗爲表實

凉膈散方見火門加升麻 乾葛 紫草 荊芥解之(綱目).

토하거나 설사하지 않고 잘 먹는 것은 속이 실한 것이며

구슬이 붉고 윤택하며 도드라져 나오고 땀이 없는 것은 표실증(表實證)인데

이때 양격산(처방은 화문에 있다)에 승마, 갈근, 지치, 형개 등을 더 넣어 풀어 준다.

 

身熱無汗 爲表實 身凉多汗 爲表虛

便秘能食 爲裏實 吐瀉少食 爲裏虛(入門).

몸에 열이 나고 땀이 없는 것은 표실증이고 몸이 차고 땀이 많은 것은 표허증(表虛證)이다.

대변이 굳고 잘 먹는 것은 이실증(裏實證)이고 토하고 설사하면서 적게 먹는 것은 이허증(裏虛證)이다[입문].

 

表裏俱實者 難出易靨

表裏俱虛者 易出難靨

表實難出 裏虛難靨(入門).

()와 이()가 다 실한 것은 구슬이 내돋기 어렵고 딱지는 앉기 쉽다.

표와 이가 다 허한 것은 내돋기는 쉽고 딱지가 앉기 어렵다.

표가 실하면 내돋기 어렵고 이가 허하면 딱지가 앉기 어렵다[입문].

 

肺主氣 氣不足則致三證

自汗 聲不出 瘡頂陷塌

保元湯方見上 四君子湯方見氣門.

()는 기를 주관하는데 기가 부족하면 3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그것은 저절로 땀 나는 것, 목소리가 안 나오는 것, 구슬 꼭대기가 꺼져 들어가는 것들이다.

이때는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 사군자탕(처방은 기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心主血 血不足則致三證 灰白色 根窠不紅 不光澤

芎歸湯方見婦人 或四物湯 紫草 紅花(正傳).

()은 혈을 주관하는데 혈이 부족하면 3가지 증상이 나타난다.

그것은 잿빛이 나는 것, 구슬 밑둥이 붉지 않은 것, 광택이 없는 것들이다.

이때는 궁귀탕(처방은 부인문에 있다)이나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지치와 홍화를 더 넣어 쓴다[정전].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護][보호]  (0) 2023.08.13
[辨痘陰陽證][변두음양증]  (0) 2023.08.11
[調燈影法][조등영법]  (0) 2023.07.30
[辨痘形色善惡][변두형색선악]  (0) 2023.07.10
[辨痘輕重 順逆][변두경중 순역]  (0) 2023.07.09

[調燈影法][조등영법]    [등불로 비추어 보는 법]

凡痘形色 雖險 若燈光影 與痘根圓暈 相爲周旋

根窠紅活 影深厚者 皆可早治

若根窠不紅不起 血死不活 漿無影者雖輕 難治

故白日 亦必用麻油紙撚照之

眼法神巧 全在於此(入門).

구슬의 모양과 빛이 비록 험하더라도 등불로 그 밑둥의 둘레를 돌려가면서 비추어

()이 붉고 윤택하며 실린 물[漿]이 짙게 비치면 다 치료할 수 있다.

밑둥이 붉지 않고 부풀어 오르지 않으며 궂은 피와 실린 물이 비치지 않으면

비록 경하다 하더라도 치료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환한 낮이라도 반드시 참기름을 묻힌 종이 심지에 불을 붙여 비추어 보아야 한다.

눈으로 보아 신기하게 아는 것은 다 이 방법이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痘陰陽證][변두음양증]  (0) 2023.08.11
[辨痘虛實][변두허실]  (0) 2023.07.31
[辨痘形色善惡][변두형색선악]  (0) 2023.07.10
[辨痘輕重 順逆][변두경중 순역]  (0) 2023.07.09
[辨痘吉凶][변두길흉]  (0) 2023.07.08

[黃妉湯][황기탕]

治 慢驚風 大便泄靑色

黃妉二錢

人參一錢

甘草灸五分

右作一貼 水煎服

加 白芍藥一錢 尤妙

此證 風木旺 必剋脾土 宜先 實其土後 瀉其木

是爲神治之法

一名, [保元湯][東垣]

만경풍으로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인삼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4g을 넣어 쓰면 더욱 좋다.

이 증에 풍목(風木)이 왕성하면 반드시 비토(脾土)를 억누르므로

먼저 그 비토를 실하게 하고 그 다음 간목(肝木)을 사하여야 한다.

이것이 좋은 치료법이다.

일명 보원탕(保元湯)이라고도 한다[동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凉膈散][양격산]  (0) 2023.08.02
[異功散][이공산]  (0) 2023.08.01
[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0) 2023.07.28
[膠艾四物湯][교애사물탕]  (0) 2023.07.27
[柴胡四物湯][시호사물탕]  (0) 2023.07.26

[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治諸瘡

生地黃, 赤芍藥, 川芎, 當歸, 防風 各三分

黃芩, 薄荷 各二分

右犫作一貼 水煎服[得效]

여러 가지 헌데를 치료한다.

생지황, 함박꽃뿌리(적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방풍 각각 1.2g,

속썩은풀(황금), 박하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異功散][이공산]  (0) 2023.08.01
[黃妉湯][황기탕]  (0) 2023.07.29
[膠艾四物湯][교애사물탕]  (0) 2023.07.27
[柴胡四物湯][시호사물탕]  (0) 2023.07.26
[增損四物湯][증손사물탕]  (0) 2023.07.25

[膠艾四物湯][교애사물탕]

治 胎漏 腹痛

熟地黃, 當歸, 川芎, 白芍藥, 阿膠珠,

條芩, 白朮, 縮砂, 艾葉, 香附子炒 各一錢

右犫作一貼 入姎米一撮 水煎 空心服[回春]

태루가 있으면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아교주,

속썩은풀(황금), 흰삽주(백출), 사인, 약쑥(애엽), 향부자(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한 자밤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회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妉湯][황기탕]  (0) 2023.07.29
[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0) 2023.07.28
[柴胡四物湯][시호사물탕]  (0) 2023.07.26
[增損四物湯][증손사물탕]  (0) 2023.07.25
[增味四物湯][증미사물탕]  (0) 2023.07.24

[柴胡四物湯][시호사물탕]

治 産後發熱 及 熱入血室

柴胡, 生地黃 各二錢

川芎, 赤芍藥, 當歸, 黃芩 各一錢

人參, 半夏, 甘草 各五分

右犫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

一名, [三元湯][保命]

해산 후에 열이 나는 것과 열이 혈실에 들어간 것을 치료한다.

시호, 생지황 각각 8g,

궁궁이(천궁), 함박꽃뿌리(적작약), 당귀,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인삼, 끼무릇(반하),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일명 삼원탕(三元湯)이라고도 한다[보명].

 

[柴胡四物湯][시호사물탕]

治 三陰經溫秇 或 夜發者

柴胡, 生乾地黃 各二錢

人參, 半夏, 黃芩, 甘草, 川芎, 當歸, 赤芍藥 各一錢

右犫作一貼 入 薑三, 棗二 水煎服

3음경 온학이 혹 밤에만 발작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생건지황 각각 8g,

인삼, 반하, 황금, 감초, 천궁, 당귀, 적작약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增損四物湯][증손사물탕]

治 産後亡血 榮衛虛損 乍寒乍熱

四物湯 去 熟地黃,

加 人參, 乾薑, 甘草 等分煎服[濟生]

해산 후에 출혈을 많이 한 탓으로 영위(榮衛)가 허해져서

잠깐 추웠다 잠깐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사물탕에서 찐지황(숙지황)을 빼고

인삼, 건강, 감초를 각각 같은 양으로 더 넣어 달여 먹는다[제생].

[增味四物湯][증미사물탕]

治血積

四物湯料

加 三稜, 蓬朮, 乾漆炒, 肉桂 各等分 煎服[東垣]

혈적을 치료한다.

사물탕(四物湯) 약재[]

삼릉, 봉출, 마른옻(건칠, 닦은 것), 육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넣어서 달여 먹는다[동원].

[養血四物湯][양혈사물탕]

治血虛爄雜

四物湯(方見血門)一貼

加 半夏, 香附, 貝母, 赤茯巔, 黃連, 梔子 各七分

甘草五分

右犫作一貼 薑三 水煎服[醫鑑]

혈허(血虛)로 나는 조잡증을 치료한다.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 1첩에

끼무릇(반하), 향부자, 패모, 벌건솔풍령(적복령), 황련, 산치자(치자) 각각 2.8g,

감초 2g을 더 넣는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의감].

[奇效四物湯][기효사물탕]

治血崩神效

四物湯 加阿膠珠, 艾葉, 黃芩 共七錢

右犫作一貼 薑五片 煎服[得效]

혈붕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있다.

사물탕에 아교주(阿膠珠), 약쑥잎(애엽), 속썩은풀(황금) 모두 합해서 28g이 되게 한다.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