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參苓白朮丸][삼령백출환]

治病後 元氣虛弱

此藥養元氣 補脾胃 進美飮食 淸火化痰 解鬱

白朮土炒100g

蓮肉 桔梗 薏苡仁 各80g

人參 白茯 山藥炒 陳皮 半夏製 白扁豆

黃連二味並薑汁炒

當歸 香附子 遠志 甘草各40g

縮砂 石菖蒲 各2g.

爲末 薑棗煎湯 打神麴末40g 煮糊和 丸梧子大 白湯下100(醫鑑).

앓고 난 뒤에 원기(元氣)가 허약한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원기와 비위를 보하고 음식맛이 나게 하며

열을 내리고 담()을 삭히며 울기(鬱氣)를 풀리게 한다.

흰삽주(백출, 흙과 함께 닦은 것) 100g,

연밥(연실), 도라지(길경), 율무쌀(의이인) 각각 80g,

인삼, 흰솔풍령(백복령), (산약, 닦은 것),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까치콩(백편두),

황련(2가지 약을 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당귀, 향부자, 원지, 감초 각각 40g,

사인(축사), 석창포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생강과 대추를 넣고 달인 물에

약누룩가루 40g을 넣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烏梅湯][오매탕]  (0) 2023.09.23
[紅花子湯][홍화자탕]  (0) 2023.09.22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0) 2023.09.20
[保元湯][보원탕]  (0) 2023.09.19
[前胡枳殼湯][전호지각탕]  (0) 2023.09.17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治內傷 脾胃虛弱 飮食不進

或吐瀉 凡大病後 調助脾胃 此藥極妙.

人蔘 白朮 白茯苓 山藥 甘草灸 各12g

薏苡仁 蓮肉 桔梗 白扁豆 縮砂 各6g.

爲末 每8g 棗湯 點服.

剉取40g 入薑三棗二 水煎服 亦可(入門).

내상(內傷)으로 비위가 허약(虛弱)하여 음식을 잘 먹지 못하여

혹은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대체로 중병을 앓은 뒤에 비위를 고르게 하는 데는 이 약이 좋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산약), 감초(닦은 것) 각각 12g,

율무쌀(의이인), 연밥(연실), 도라지(길경), 까치콩(백편두), 사인 각각 6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대추 달인 물에 타 먹는다.

썰어서 40g을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어도 좋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紅花子湯][홍화자탕]  (0) 2023.09.22
[參苓白朮丸][삼령백출환]  (0) 2023.09.21
[保元湯][보원탕]  (0) 2023.09.19
[前胡枳殼湯][전호지각탕]  (0) 2023.09.17
[人參淸膈散][인삼청격산]  (0) 2023.09.15

[黃芪湯][황기탕]

治慢驚風 大便泄靑色

黃芪二錢, 人參一錢, 甘草灸五分

右作一貼 水煎服 加 白芍藥一錢 尤妙

此證 風木 旺必剋 脾土 宜先實 其土後瀉 其木是 爲神治之法

一名 [保元湯](東垣).

만경풍으로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인삼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4g을 넣어 쓰면 더욱 좋다.

이 증에 풍목(風木)이 왕성하면 반드시 비토(脾土)를 억누르므로

먼저 그 비토를 실하게 하고 그 다음 간목(肝木)을 사하여야 한다.

이것이 좋은 치료법이다.

일명 보원탕(保元湯)이라고도 한다[동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苓白朮丸][삼령백출환]  (0) 2023.09.21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0) 2023.09.20
[前胡枳殼湯][전호지각탕]  (0) 2023.09.17
[人參淸膈散][인삼청격산]  (0) 2023.09.15
[固眞湯][고진탕]  (0) 2023.09.13

[煩渴][번갈]

痘瘡 煩渴飮水 渴轉甚者 乃脾胃虛 津液少也 宜木香散方見上.

마마 때 번갈이 나서 물을 마시면 갈증이 점점 더 심해지는 것은

비위(脾胃)가 허()하고 진액(津液)이 적은 것인데 이때는 목향산(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

 

一云 脹渴 瀉渴 驚悸渴

寒戰渴 咬牙渴 亦多屬熱 不可不察

若誤用則禍如反掌.

또는 배가 불러 오르면서 나는 갈증과 설사하면서 나는 갈증, 놀란 것처럼 가슴이 뛰면서 나는 갈증,

추워 떨면서 나는 갈증, 이를 갈면서 나는 갈증은 열에 속하는 것이 많으므로 잘 살펴야 한다.

만일 약을 잘못 쓰면 잠시 동안에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

 

當靨而不靨 煩渴 腹脹

泄瀉 頭溫足冷 速與 木香散方見上泄瀉條 救之.

구슬에 딱지가 앉아야 하겠는데 딱지가 앉지 않고 번갈이 나며 배가 불러 오르고

설사하며 머리는 덥고 발이 싸늘한 데는 빨리 목향산으로 치료해야 한다.

 

痘瘡 煩渴 切不可 與冷水喫 亦不宜 與蜜水 紅柿 西瓜 梨 橘等 冷物.

若冷毒內攻 腹脹 喘悶 寒戰 咬牙則難治(綱目).

마마 때 번갈이 나는 데는 절대로 찬물을 먹이지 말며 또 꿀물, 홍시, 수박, , 귤 등 찬 것들을 주는 것도 좋지 않다.

만일 냉독(冷毒)이 속으로 들어가서 배가 불러 오르고 숨이 차며 가슴이 답답하고 떨며 이를 갈면 치료하기 어렵다[강목].

 

痘瘡首尾 不可飮冷水 少與滾熟水則可

若飮水過多 濕損脾胃 則氣血凝滯不散 故瘡痂遲落 而生癰腫也.

마마 때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찬물을 먹이지 말고 끓인 물을 조금씩 먹이는 것이 좋다. 만일 물을 너무 마셔서 습기가 비위를 상하면 기혈(氣血)이 엉켜서 흩어지지 않으므로

구슬에 딱지가 더디게 앉아 떨어지고 헌데가 생긴다.

 

痘瘡發渴 乃氣弱而津液枯竭也 宜保元湯方見上 通治加麥門冬 五味子煎湯,

若不止 參苓白朮散方見內傷加乾葛 天花粉 五味子煎服卽止(醫鑒).

마마 때 갈증이 나는 것은 기가 약하고 진액이 고갈되기 때문이다.

이때는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에 맥문동과 오미자를 더 넣어 달여 먹이는 것이 좋다.

만일 갈증이 멎지 않으면 삼령백출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칡뿌리(갈근),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오미자 등을 더 넣어 달여 먹이면 멎는다[의감].

 

痘渴 宜紅花子湯 鼠粘子煎服 雖口中如烟起卽解 切不可用棗湯

若大渴者 定中湯方見上 嘔吐 和砂糖服 立止(回春).

마마 때 갈증이 나는 데는 홍화자탕(紅花子湯)에 우엉씨(대력자)를 더 넣어 달여 먹이면 입 안에 연기가 이는 것 같던 것도 곧 풀린다.

절대로 대추 달인 물을 먹이지 말아야 한다.

갈증이 몹시 나는 데는 정중탕(定中湯, 처방은 위에 있다)에 사탕을 풀어 먹이면 곧 멎는다[회춘].

 

痘瘡煩渴 乃毒火炎上也 宜烏梅湯 甘草湯.

마마 때 번갈이 나는 것은 독과 열이 타오르는 것인데

이때는 오매탕(烏梅湯)이나 감초탕(甘草湯)이 좋다.

 

飮水過多 而尿少 恐濕漬脾土成癰腫 宜益元散方見上滲之.

물을 많이 마시면서 오줌이 적으면 습()이 비토(脾土)에 들어가서 옹종(癰腫)이 생길 염려가 있으므로

익원산(처방은 더위문에 있다)으로 오줌을 잘 나가게 하는 것이 좋다.

 

血虛痘黑 火動 發渴者 難治.

凡虛證 見渴者 皆死(入門).

()이 허()하여 구슬이 검어지고 화()가 동()하여 갈증이 나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대체로 허증에 갈증이 나타나면 다 죽을 수 있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自汗][자한]  (0) 2023.09.28
[腹脹][복창]  (0) 2023.09.27
[痰喘][담천]  (0) 2023.09.14
[泄瀉][설사]  (0) 2023.09.08
[嘔吐][구토]  (0) 2023.09.06

[前胡枳殼湯][전호지각탕]

前胡, 枳殼, 大黃, 赤茯苓, 甘草 各3g

剉作一貼 水煎服(綱目).

전호, 지각, 대황,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0) 2023.09.20
[保元湯][보원탕]  (0) 2023.09.19
[人參淸膈散][인삼청격산]  (0) 2023.09.15
[固眞湯][고진탕]  (0) 2023.09.13
[木香散][목향산]  (0) 2023.09.12

[人參淸膈散][인삼청격산]

白朮, 黃妉, 紫泸, 地骨皮, 滑石 各三分

石膏, 桔梗, 甘草 各二分

人參, 黃芩, 桑白皮, 前胡, 當歸, 白芍藥, 知母, 赤茯巔 各一分

右犫作一貼 水煎服[綱目]

흰삽주(백출), 단너삼(황기), 자원, 지골피, 곱돌(활석) 각각 1.2g,

석고,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0.8g,

인삼, 속썩은풀(황금),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전호,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지모,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元湯][보원탕]  (0) 2023.09.19
[前胡枳殼湯][전호지각탕]  (0) 2023.09.17
[固眞湯][고진탕]  (0) 2023.09.13
[木香散][목향산]  (0) 2023.09.12
[異功散][이공산]  (0) 2023.09.11

[痰喘][담천]

痘出後痰盛 喘急 宜人參淸膈散 前胡枳殼湯(綱目).

구슬이 내돋은 뒤에 담이 성()하여 숨이 찬 데는

인삼청격산, 전호지각탕이 좋다[강목].

 

痘紫黑陷伏而痰盛 先用抱龍丸方見上 急驚風降痰(醫鑒).

구슬이 짙은 자줏빛이 되면서 꺼져 들어가며 담이 성한 데는

먼저 포룡환(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서 담을 내린다[의감].

 

痘痰 用白附子 杏仁煎水磨服 切不可用二陳湯方見痰飮 燥胃中津液.

貫膿時咳逆 及胃氣上越 欲絶故也.

眞黃土 鼻邊聞之 立止(回春).

마마 때 담이 성한 데는 백부자를 살구씨 달인 물로 갈아 먹이되

절대로 이진탕(처방은 담문에 있다)을 써서 위 속의 진액을 마르게 해서는 안 된다.

구슬에 고름이 잡힐 때에 딸꾹질하는 것은 위기가 위로 넘쳐서 없어지려는 것이므로

좋은 누른 흙의 냄새를 코로 맡게 하면 멎는다[회춘].

 

痘疹 咳嗽氣喘 乃毒攻肺脹也 胸高聲啞者 死.

천연두와 홍역 때 기침하고 숨이 찬 것은 독이 폐를 침범하여

답답하고 더부룩해져서 가슴이 두드러져 올라오고 목이 쉬면 죽을 수 있다.

 

凡無痰 而喘急不得臥者 亦死(入門).

대체로 담이 없이 숨차 하고 눕지 못하여도 죽을 수 있다[입문].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腹脹][복창]  (0) 2023.09.27
[煩渴][번갈]  (0) 2023.09.18
[泄瀉][설사]  (0) 2023.09.08
[嘔吐][구토]  (0) 2023.09.06
[腰腹痛][요복통]  (0) 2023.08.25

[固眞湯][고진탕]

治痘瘡泄瀉

黃芪 人參 白朮 白茯苓 白芍藥炒

木香 陳皮 訶子皮 肉荳蔲煨 甘草灸 各1g

剉作一貼 入糯米50粒 同水煎服.

糯米 止泄瀉 養胃氣 最好(醫鑒).

마마 때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닦은 것), 목향, 귤껍질(陳皮), 가자피,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50알과 함께 달여 먹인다.

찹쌀은 설사를 멎게 하고 위기(胃氣)를 보하는 데 제일 좋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前胡枳殼湯][전호지각탕]  (0) 2023.09.17
[人參淸膈散][인삼청격산]  (0) 2023.09.15
[木香散][목향산]  (0) 2023.09.12
[異功散][이공산]  (0) 2023.09.11
[黃芪湯][황기탕]  (0) 2023.09.10

 

풍성한 김장배추를 꿈꾸며 심었건만 게어른 농부보다 부지런한 호랑나비 애벌레가 먼저 시식을 했군요. 

'[갈지산자락] > [사랑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수같은 바다에서 달이 . . .  (0) 2023.06.04
[사과를 만나다]  (0) 2023.05.30
[甘露寺次韻](감로사차운)  (0) 2022.10.11
[四時](사시)  (0) 2022.10.10
[尋隱者不遇](심은자불우)  (0) 2022.10.10

[木香散][목향산]

治臧寒滑泄 米穀不化 上熱下冷 口瘡瘦瘁

木香 破故紙炒 各40g

良薑 縮砂 厚朴 各30g

赤芍藥 陳皮 肉桂 白朮 各20g

吳茱萸 胡椒 各10g

肉豆蔲煨四箇 檳榔一箇

爲末 每12g 猪肝16g

批開重重糝藥 槳水一椀 入醋少許 盖覆煮 熟入鹽

葱白三莖 生薑彈子大 同煮水穀盡 空心 作一服 冷食之

初微溏不妨 經年滑泄 與冷痢 只一服效 渴則飮粥湯(得效).

속이 차서[藏寒] 걷잡을 수 없이 설사하고 음식이 소화되지 않으면서

상초에는 열이 있고 하초는 냉하며 입이 헐고 몸이 몹시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목향, 보골지(닦은 것) 각각 40g,

양강, 사인, 후박 각각 30g,

함박꽃뿌리(작약), 귤껍질(陳皮), 육계, 흰삽주(백출) 각각 20g,

오수유, 후추(호초) 각각 10g,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4, 빈랑 1.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매() 12g마다 돼지간 160g을 여러 쪽으로 쪼갠 데 뿌린다.

이것을 신좁쌀죽웃물(藥漿水) 1사발에 식초를 좀 섞은 데 넣고

뚜껑을 덮어서 끓인다.

여기에 소금과 파밑(총백) 3, 생강 달걀 노른자위만한 것을 넣고

다시 물이 거의 졸아들 때까지 달인 다음 꺼내서 식혀 빈속에 먹는다.

그러면 처음에는 약간 묽은 대변[]이 나가는데 염려할 것은 없다.

몇 년 동안 계속되는 활설과 냉리(冷痢) 때에도 이 약을 한번 먹으면 낫는다.

목이 마르면 죽을 먹어야 한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參淸膈散][인삼청격산]  (0) 2023.09.15
[固眞湯][고진탕]  (0) 2023.09.13
[異功散][이공산]  (0) 2023.09.11
[黃芪湯][황기탕]  (0) 2023.09.10
[肉荳구丸][육두구환]  (0) 2023.09.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