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百花膏] [백화고]
白蜜略用湯和 時時以雞羽 刷身上(正傳).
꿀을 끓인 물에 타서 때때로 닭의 깃으로 몸에 발라 준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硝膽膏][초담고] (0) | 2023.10.04 |
---|---|
[敗草散][패초산] (0) | 2023.10.03 |
[小活血散][소활혈산] (0) | 2023.09.30 |
[益元散][익원산] (9) | 2023.09.26 |
[升麻鱉甲湯][승마별갑탕] (0) | 2023.09.25 |
[百花膏] [백화고]
白蜜略用湯和 時時以雞羽 刷身上(正傳).
꿀을 끓인 물에 타서 때때로 닭의 깃으로 몸에 발라 준다[정전].
[硝膽膏][초담고] (0) | 2023.10.04 |
---|---|
[敗草散][패초산] (0) | 2023.10.03 |
[小活血散][소활혈산] (0) | 2023.09.30 |
[益元散][익원산] (9) | 2023.09.26 |
[升麻鱉甲湯][승마별갑탕] (0) | 2023.09.25 |
[小活血散][소활혈산]
痘疹出多 身痛叫喚 及煩躁脹痛
白芍藥 爲細末 每4g 淡酒調下(正傳).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약한 술에 타 먹인다[정전].
[敗草散][패초산] (0) | 2023.10.03 |
---|---|
[百花膏] [백화고] (0) | 2023.10.01 |
[益元散][익원산] (9) | 2023.09.26 |
[升麻鱉甲湯][승마별갑탕] (0) | 2023.09.25 |
[甘草湯][감초탕] (0) | 2023.09.24 |
[痒痛][양통]
血不榮肌腠所以痒 血和肌潤 痒自不作(丹心).
혈이 살과 피부를 잘 영양[榮]해 주지 못하기 때문에 가려운 것이다.
그러나 혈이 고르고 살에 윤기가 있으면 가려운 증이 저절로 없어진다[단심].
手足常搖動者 將發痒也.
因食毒物及食塩而痒 四君子湯方見氣門 加酒炒芩連 大黃微潤之.
손발을 늘 흔드는 것은 가려운 증이 생기려는 것이다.
독 있는 음식물을 먹은 것으로 하여 가렵거나 소금을 먹어서 가려운 데는
사군자탕(처방은 기문에 있다)에 속썩은풀(황금, 술로 축여 볶은 것),
황련, 대황 등을 더 넣어 대변을 약간 무르게 할 것이다.
痘疹出多 身痛叫喚 及煩躁脹痛 宜小活血散.
구슬이 많이 돋고 몸이 아파서 외치면서 울고 번조해 하며
배가 불러 오르고 아픈 데는 소활혈산(小活血散)이 좋다.
痘痒 通用蟬退湯 痒甚水楊湯方見上浴之.
마마 때에 가려운 데는 선퇴탕(蟬退湯)을 두루 쓰고 몹시 가려우면
수양탕(처방은 위에 있다)에 목욕시킨다.
又法 塩和百草霜 水拌略炒 燒烟熏之 痒立止.
又 蜜水 調滑石末 雞羽潤瘡上 亦止.
또 한 가지 방법은 소금을 백초상(百草霜)에 섞어서 물로 반죽한 다음
약간 닦아서[炒] 불에 태워 연기를 쏘이면 가려운 증이 멎는다.
또는 꿀물에 곱돌(활석)가루를 타서 닭의 깃으로 마마 구슬에 발라
눅눅하게 해 주면 가려운 증이 멎는다.
痛乃痘之善證 初出時 宜參蘇飮方見寒門
輕者 消毒飮方見上 痘瘡治法 起脹貫膿時 作痛不妨(入門).
아픈 것은 마마의 증상이므로 구슬이 돋아 나올 초기에는
삼소음(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 좋고
경한 데는 소독음(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
구슬이 부풀어 오르거나 고름이 잡힐 때에 아픈 것은 괜찮다[입문].
凡痘痛不爲外寒 所折而痛 則必皮腠厚密 難出爲痛
寒折 宜參蘇飮方見上 腰腹痛 肉腠密 宜小活血散
대개 마마 때 한(寒)에 상한 일이 없이 아픈 것은
반드시 피부와 주리가 두텁고 치밀하여 구슬이 나오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에 상하여 아픈 데는 삼소음이 좋고 살과 주리가 치밀하여 아픈 데는
소활혈산(小活血散)이 좋다.
因食毒物作痒 宜蟬退湯方見上 腰腹痛百花膏(正傳).
독 있는 음식을 먹은 탓으로 가려운 데는
선퇴탕(처방은 위에 있다)이나 백화고(百花膏)가 좋다[정전] .
痘痒難任 宜糝 敗草散方見下 斑爛條
蕎麥粉 亦好(綱目).
마마 때 가려워서 참을 수 없는 데는
패초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뿌려 주는 것이 좋다.
메밀가루도 좋다[강목].
因虛發痒 遍身爪破
宜內托散方見上 起脹三朝 去桂 倍白芷 當歸 木香 氣行血運 其痒自止(醫鑒).
허해서 가려운 증이 나서 온몸을 긁어서 헤진 데는
내탁산(처방은 위에 있다)에서 계피를 빼고 구릿대(백지), 당귀, 목향 등을
곱절 넣어 기혈을 잘 돌게 하면 가려운 것이 저절로 멎는다[의감].
痘瘡煩痛 宜硝膽膏方見下 斑爛條 仍用眞黃土 細末 糝之 良.
마마 때 답답해 하면서 아픈 데는
초담고(처방은 아래에 있다)가 좋으며 누런 진흙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뿌려 주는 것도 좋다.
痘將靨乾硬而痛 宜塗酥油潤之 猪脂亦好(海藏).
구슬에 딱지가 앉으려고 할 때 건조하고 딴딴해서 아픈 데는
연유이나 기름을 발라서 눅여 주는 것이 좋다. 돼지기름도 좋다[해장].
收靨時 遍身發痒 爪破無膿 如豆殼者 死(醫鑒).
딱지가 앉을 때에 온몸이 가려워서 긁어 터뜨려도
고름이 없고 콩깍지와 같은 것은 죽을 수 있다[의감].
[自汗][자한]
痘瘡初起 自汗不妨 盖濕熱熏蒸而起 故也.
甚者 當以參芪止之 防其難靨(丹心).
마마 초기에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은 해롭지 않다.
이것은 습열(濕熱)이 훈증(熏蒸)되어 생기기 때문이다.
심한 것은 반드시 인삼과 단너삼(황기)을 써서 멎게 하고
딱지가 앉을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단심].
痘出後 切忌汗多 必難貫膿 收靨 急用保元湯方見上 止之(入門).
구슬이 내돋은 뒤에 땀이 많이 나는 것은 아주 좋지 않다.
땀이 많이 나면 고름이 잡히는 것과 딱지가 앉기 어렵기 때문에
빨리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써서 멎게 해야 한다[입문].
[腹脹][복창]
腹脹 由脾胃虛 氣攻作也
又脾虛 則腹脹 飮水多 則亦作腹脹(錢乙).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은 비위(脾胃)가 허(虛)하여 기가 몰려서[攻] 되는 것이다.
비(脾)가 허해도 배가 불러 오르고 물을 많이 마셔도 배가 불러 오른다[전을].
痘瘡 泄瀉 毒陷腹脹 酒調人齒散方見下服之
마마 때 설사하거나 독이 속으로 들어가서 배가 불러 오르는 데는
인치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술에 타 먹인다[의감].
痘瘡 腹脹有二 傷生冷而脹
宜木香散方見上泄瀉毒氣內陷而脹 宜人齒散.
마마로 배가 불러 오르는 병에는 2가지가 있다. 생것과 찬 것에 상하여 불러 오르는 것이 있는데
이때는 목향산(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고 독기가 속으로 들어가서 배가 불러 오르는 것이 있는데 이때는 인치산이 좋다.
腹脹不食 神昏者 死(入門).
배가 불러 오르고 먹지 못하며 정신이 혼미한 것은 죽을 수 있다[입문].
[益元散][익원산]
治 中暑 身熱吐瀉 腸澼 下痢 赤白癃閉 盪胃中積聚
寒熱宣積氣 通九竅六府 生津液 去留結 消蓄水
止渴除煩 大養脾腎之氣 解百藥 酒食邪毒
滑石225g, 甘草灸37.5g
上細 末每12g 溫蜜 水調服欲冷飮者 井水調下(宣明)
더위먹어[中暑] 몸에서 열이 나며 토하고 설사하며
적백이질(赤白痢疾)이 있고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위 속의 적취(積聚)와 한열(寒熱)을 씻어내며 뭉친 기[積氣]를 헤치고
9규(九竅)와 6부(六府)를 통하게 하며 진액을 생기게 하고
맺힌 것[留結]을 헤치며[消] 쌓인 물[蓄水]을 삭아지게[止] 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답답증[煩]을 없애고 비신(脾腎)의 기를 크게 보하며
여러 가지 약, 술, 음식 등의 중독을 풀어 준다.
곱돌(활석) 240g, 감초(닦은 것) 4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따뜻한 꿀물에 타 먹는다.
찬 것을 먹고 싶으면 찬물에 타 먹는다[선명].
一名, [六一散], [天水散], [神白散]
일명 육일산(六一散), 천수산(天水散) 또는 신백산(神白散)이라고도 한다.
因寒吐瀉反胃 加乾薑20g 名曰 [溫六丸]
찬 탓으로 토하고 설사하며[吐瀉] 반위증(反胃證)이 된 데는
건강 20g을 더 넣는데 이름은 온륙환(溫六丸)이라고 한다.
濕熱泄瀉 加紅麯20g
名曰 [淸六丸] 俱以陳米飯作丸梧子大
白湯呑下 五七十丸(入門).
습열(濕熱)로 설사하면 홍곡 20g을 더 넣는데
이름은 청륙환(淸六丸)이라고 한다.
묵은 쌀밥(陳米飯)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一名 [六一散] 治 囍亂 吐瀉 取此藥 生薑湯調下妙 [丹心]
일명 육일산(六一散)이라고도 한다.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 약을 생강을 달인 물에 타서 먹으면 좋다(처방은 서문에 있다[단심].
[百花膏] [백화고] (0) | 2023.10.01 |
---|---|
[小活血散][소활혈산] (0) | 2023.09.30 |
[升麻鱉甲湯][승마별갑탕] (0) | 2023.09.25 |
[甘草湯][감초탕] (0) | 2023.09.24 |
[烏梅湯][오매탕] (0) | 2023.09.23 |
[甘草湯][감초탕]
治陰毒
甘草灸 升麻 當歸 桂枝 各一錢
雄黃 川椒 各一錢半
鱉甲曧灸三錢右犫作一貼
水煎服毒從汗出未汗再服[入門]
一名 [升麻鱉甲湯][仲景]
음독(陰毒)을 치료한다.
감초(닦은 것), 승마, 당귀, 계지 각각 4g,
석웅황(웅황), 조피열매(천초) 각각 6g,
자라등딱지(별갑, 졸인 젖( )을 잘라 구운 것)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그러면 독이 땀으로 나온다. 땀이 나지 않으면 다시 먹는다[입문].
일명 승마별갑탕(升麻鱉甲湯)이라고도 한다[중경].
[小活血散][소활혈산] (0) | 2023.09.30 |
---|---|
[益元散][익원산] (9) | 2023.09.26 |
[甘草湯][감초탕] (0) | 2023.09.24 |
[烏梅湯][오매탕] (0) | 2023.09.23 |
[紅花子湯][홍화자탕] (0) | 2023.09.22 |
[甘草湯][감초탕]
治陰毒
甘草灸 升麻 當歸 桂枝 各一錢
雄黃 川椒 各一錢半
鱉甲曧灸三錢右犫作一貼
水煎服毒從汗出未汗再服[入門]
一名 [升麻鱉甲湯][仲景]
음독(陰毒)을 치료한다.
감초(닦은 것), 승마, 당귀, 계지 각각 4g,
석웅황(웅황), 조피열매(천초) 각각 6g,
자라등딱지(별갑, 졸인 젖( )을 잘라 구운 것)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그러면 독이 땀으로 나온다. 땀이 나지 않으면 다시 먹는다[입문].
일명 승마별갑탕(升麻鱉甲湯)이라고도 한다[중경].
[益元散][익원산] (9) | 2023.09.26 |
---|---|
[升麻鱉甲湯][승마별갑탕] (0) | 2023.09.25 |
[烏梅湯][오매탕] (0) | 2023.09.23 |
[紅花子湯][홍화자탕] (0) | 2023.09.22 |
[參苓白朮丸][삼령백출환] (0) | 2023.09.21 |
[烏梅湯][오매탕]
治痘渴 及痘不快出
黑豆 菉豆各一合 烏梅3箇
爲水煎服之(入門).
마마 때 갈증이 나는 것과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녹두 각각 1홉, 오매 3개.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입문].
[升麻鱉甲湯][승마별갑탕] (0) | 2023.09.25 |
---|---|
[甘草湯][감초탕] (0) | 2023.09.24 |
[紅花子湯][홍화자탕] (0) | 2023.09.22 |
[參苓白朮丸][삼령백출환] (0) | 2023.09.21 |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0) | 2023.09.20 |
[紅花子湯][홍화자탕]
治痘渴 及痘不快出
紅花子一合 水煎 服之(正傳).
마마 때 갈증이 나는 것과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잇꽃씨(紅花子) 1홉을 물에 달여 먹인다[정전].
[甘草湯][감초탕] (0) | 2023.09.24 |
---|---|
[烏梅湯][오매탕] (0) | 2023.09.23 |
[參苓白朮丸][삼령백출환] (0) | 2023.09.21 |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0) | 2023.09.20 |
[保元湯][보원탕]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