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聖散][독성산]

治黑陷 氣欲絶

穿山甲 取前足及嘴上者炒

硏爲末 木香煎湯 入酒少許 調五分服

入麝香少許尤妙[入門]

흑함으로 숨이 끊어지려고 하는 것을 치료한다.

천산갑(앞발과 주둥이 것을 쓴다)을 닦아

갈아서 가루를 낸 다음 2g씩 술을 조금 둔 목향 달인 물에 타 먹인다.

사향을 조금 넣으면 더욱 좋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六一散][가미육일산]  (0) 2023.11.03
[無比散][무비산]  (2) 2023.11.02
[胡荽酒][호유주]  (1) 2023.10.31
[加味四聖散][가미사성산]  (2) 2023.10.31
[四聖散][사성산]  (0) 2023.10.30

[胡荽酒][호유주]

治痘不快出

胡涿莖 犫二兩 以淸酒二升 同煎

令沸 便以物盖定 勿泄氣 候溫去滓

噴一身令遍 勿噴頭面 以衣溫覆 須臾 痘子快出 神效

無莖則用子[本草]

구슬이 시원히 내돋지 않을 치료한다.

고수줄기[胡 莖]를 썰어서 80g을 술 2되와 함께 달인 다음

뚜껑을 덮어서 약기운이 새 나가지 않게 하였다가 따뜻해지면 짜서 찌꺼기를 버리고 쓰되

머리와 얼굴을 내놓고 온몸에 고루 뿜어 준 다음 덥게 덮어 주면 구슬이 아주 잘 내돋는다.

줄기가 없으면 씨를 쓴다[본초].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無比散][무비산]  (2) 2023.11.02
[獨聖散][독성산]  (0) 2023.11.01
[加味四聖散][가미사성산]  (2) 2023.10.31
[四聖散][사성산]  (0) 2023.10.30
[龍腦膏子][용뇌고자]  (2) 2023.10.29

[加味四聖散][가미사성산]

治痘出不快 或陷伏倒櫏 一切惡候

紫草茸, 木通, 木香, 黃妉, 川芎, 人參, 甘草 各四分

蟬殼二分

右犫作一貼 入姎米百粒 水煎服 能養而發之[入門]

구슬이 시원히 내돋지 않거나 속으로 꺼져 들어가는 일체 좋지 못한 증후를 치료한다.

자초용, 으름덩굴, 목향, 단너삼(황기), 궁궁이(천궁), 인삼, 감초 각각 1.6g,

매미허물(선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100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이면 원기를 보해서 구슬이 잘 돋게 한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獨聖散][독성산]  (0) 2023.11.01
[胡荽酒][호유주]  (1) 2023.10.31
[四聖散][사성산]  (0) 2023.10.30
[龍腦膏子][용뇌고자]  (2) 2023.10.29
[回生散][회생산]  (0) 2023.10.28

[四聖散][사성산]

治痘瘡出不快 及倒櫏

紫草茸, 木通, 枳殼, 甘草 各等分

右爲㵋末 每一錢 水煎服[錢乙]

疹痘 最要 大小分解 錢氏四聖散 用木通 枳殼極好[綱目]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못한 것과 나왔다가 꺼져 들어가는 것을 치료한다.

자초용, 으름덩굴, 지각,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물에 달여 먹인다[전을].

마마 때에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데

이때는 전씨사성산에 으름덩굴과 지각을 넣어 쓴 것은 아주 잘 된 처방이다[강목].

 

治岤嵤用白蛇散取轉後用此補之

海藻, 石決明禭, 羌活, 瞿麥 各一兩

右爲末 每二錢 米飮調下 日三服下 淸水盡爲妙[得效]

나력을 치료하는데 백사산(白蛇散)을 먹은 다음 이 약을 먹어서 보해야 한다.

듬북(해조), 전복껍질(석결명, 닦은 것), 강호리(강활), 패랭이꽃(구맥)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세번 미음에 타서 먹는데 멀건 물을 설사하면 좋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胡荽酒][호유주]  (1) 2023.10.31
[加味四聖散][가미사성산]  (2) 2023.10.31
[龍腦膏子][용뇌고자]  (2) 2023.10.29
[回生散][회생산]  (0) 2023.10.28
[加味宣風散][가미선풍산]  (0) 2023.10.27

[龍腦膏子][용뇌고자]

治痘瘡 未透心煩狂躁 氣喘妄語

或見鬼神 或已發而倒櫏黑陷

不速治則毒入藏 必死

梅花腦子一錢

硏細滴猪心血和丸 如豆子大 每服一丸 井華水化下

心煩狂躁 紫草湯化下

黑陷溫淡酒化下 服畢少時

心神便定 得睡 瘡復透活

一名, [猪心龍腦膏][活人]

구슬이 잘 내돋지 않아서 가슴이 답답하고 미친 듯이 날치며[] 숨이 차하고 헛소리하며

혹 헛것이 보이는 것 같다 하고 혹 이미 구슬이 내돋아서 도엽과 흑함이 된 것을 치료한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독이 5장에 들어가서 반드시 죽는다.

용뇌 4g.

위의 약을 보드랍게 갈아서 돼지염통 피로 반죽한 다음 콩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깨끗한 물로 먹인다.

가슴이 답답하여 미친 듯이 날뛰는 데는 지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

흑함이 된 데는 따뜻하게 데운 약한 술에 풀어 먹이면 조금 있다가

정신이 안정되고 잠이 들면서 구슬이 다시 나온다.

일명 저심용뇌고(猪心龍腦膏)라고도 한다[활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四聖散][가미사성산]  (2) 2023.10.31
[四聖散][사성산]  (0) 2023.10.30
[回生散][회생산]  (0) 2023.10.28
[加味宣風散][가미선풍산]  (0) 2023.10.27
[宣風散][선풍산]  (0) 2023.10.26

[回生散][회생산]

治囍亂 吐瀉 過多但一點 胃氣存者 服之回生

藿香, 陳皮 各五錢

右犫作一貼 水煎溫服[入門]

곽란으로 몹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위기(胃氣)가 조금이라도 있을 때 먹어야 한다.

곽향, 귤껍질(陳皮)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聖散][사성산]  (0) 2023.10.30
[龍腦膏子][용뇌고자]  (2) 2023.10.29
[加味宣風散][가미선풍산]  (0) 2023.10.27
[宣風散][선풍산]  (0) 2023.10.26
[棗變百祥丸][조변백상환]  (1) 2023.10.25

[加味宣風散][가미선풍산]

治同上卽

宜風散加靑皮二錢半也依上法服之先下

黑糞 次下褐糞 後 以四君子湯(方見氣門) 加 厚朴 木香 姎米煎服 和胃

良久 糞黃 瘡自微出

又以胡棠酒(方見上) 噴身 卽發起[得效]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선풍산에 선귤껍질(靑皮) 10g을 더 넣은 것이다.

위의 방법대로 먹인다.

먼저 검은 똥을 누게 한 다음 갈색빛의 똥을 누게 한 뒤에

사군자탕(처방은 기문에 있다)에 후박, 목향, 찹쌀 등을 더 넣어 달여 먹여

위를 편안하게 하면 조금 있다가 대변이 누렇게 되고 구슬이 저절로 약간 내돋는다.

또는 호유주(처방은 위에 있다)를 몸에 뿜어 주면 꺼져 들어갔던 것이 곧 부풀어 오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龍腦膏子][용뇌고자]  (2) 2023.10.29
[回生散][회생산]  (0) 2023.10.28
[宣風散][선풍산]  (0) 2023.10.26
[棗變百祥丸][조변백상환]  (1) 2023.10.25
[百祥丸][백상환]  (2) 2023.10.24

[宣風散][선풍산]

治痘靑乾黑陷 煩渴腹脹而喘 二便赤澁 乃熱蓄於內 宜服

黑丑四兩取頭末一兩半生半炒 陳皮 甘草各二錢半 檳峹兩箇

右細末 二三歲兒服五分 四五歲已上兒一錢 蜜湯下[錢氏]

구슬이 푸르고 마르며 거멓게 꺼져 들어가면서 번갈이 나고

배가 불러 오르며 숨이 차고 대소변이 붉고 잘 나오지 않는 것 등을 치료한다.

이것은 속에 열이 쌓인 것이므로 이 약을 쓰는 것이 좋다.

나팔꽃검은씨(흑축, 맏물가루를 낸 것 40g에서 20g은 생것, 20g은 닦은 것) 160g,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10g, 빈랑 2.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2-3살 어린이에게는 2g씩 먹이고

4-5살 이상의 어린이에게는 4g씩 꿀물로 먹인다[전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回生散][회생산]  (0) 2023.10.28
[加味宣風散][가미선풍산]  (0) 2023.10.27
[棗變百祥丸][조변백상환]  (1) 2023.10.25
[百祥丸][백상환]  (2) 2023.10.24
[四齒散][사치산]  (2) 2023.10.23

[棗變百祥丸][조변백상환]

棗變百祥丸

治痘黑陷 及大便秘結

紅芽大戟去骨一兩 大棗去核二十枚 右水二盞

同煎水盡爲度 去大戟不用 將棗肉作丸 如上法 服之

盖大戟性峻以棗變者 緩其性也[海藏]

구슬이 거멓게 꺼져 들어간 것과 변비를 치료한다.

버들옻(대극, 심을 뺀 것) 40g, 대추(大棗, 씨를 뺀 것) 20.

위의 약들을 물 2잔에 달여 물이 다 줄면 버들옻을 버리고

대추살만으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먹이는 법은 위와 같다.

대개 버들옻은 성질이 세므로 대추로써 그 센 성질을 완화시킨 것이다[해장].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宣風散][가미선풍산]  (0) 2023.10.27
[宣風散][선풍산]  (0) 2023.10.26
[百祥丸][백상환]  (2) 2023.10.24
[四齒散][사치산]  (2) 2023.10.23
[調解散][조해산]  (2) 2023.10.19

[百祥丸][백상환]

治痘紫黑陷伏 寒戰口夝 棰齒危證

紅芽大戟 不以多少 陰乾漿水煮軟 去骨望乾

復納汁中煮汁盡 焙乾爲末

右水丸黍米大 每一二十丸

硏脂麻湯下 此方太峻 宜代以棗變百祥丸 加味宣風散[錢乙]

구슬이 짙은 자줏빛이 되면서 꺼져 들어가며 추워 떨고 이를 악물며 이를 가는 등 위험한 증을 치료한다.

버들옻(대극) 적당한 양을 그늘에 말려 신좁쌀죽웃물에 넣고 무르게 달인 다음 심을 빼버리고 볕에 말린다.

그 다음 다시 신좁쌀죽웃물에 넣고 물이 다 줄어들 때까지 졸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이것을 가루를 내어 물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참깨 달인 물로 먹인다.

이 약의 성질은 너무 세므로 조변백상환이나 가미선풍산을 대용하는 것이 좋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宣風散][선풍산]  (0) 2023.10.26
[棗變百祥丸][조변백상환]  (1) 2023.10.25
[四齒散][사치산]  (2) 2023.10.23
[調解散][조해산]  (2) 2023.10.19
[蜜皂丸][밀조환]  (0) 2023.10.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