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痘後雜病][두후잡병] [마마를 앓은 뒤의 잡병]
痘疹 愈而再發 或氣虛禀弱 坐臥振搖者 宜用保元湯方見上 方見上 通治
마마가 나았다가 도지거나 타고난 체질이 약한 탓으로
앉으나 누우나 몸이 떨리는 데는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愈後 忽遍身靑黑 口噤搐搦 此氣虛感風 宜用消風散方見頭門.
마마가 나은 뒤에 갑자기 온몸이 검푸르고 이를 악물며 경련이 일어나는 것은
기가 허한 데다 풍에 상한 것이므로 소풍산(처방은 두부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愈後 非時發搐 目竄面赤 乃心熱挾痰 宜用抱龍丸方見上 急驚風(入門).
마마가 나은 뒤에 갑자기 경련이 일고 눈을 치뜨며 얼굴이 붉은 것은
심(心)에 열이 있는 데다 담을 겸한 것이므로 포룡환(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愈後 餘瘡 塞鼻中 不得睡臥 宜用木筆花散(得效).
마마가 나은 뒤에 남은 열로 코 안이 헐고 코가 메어 누워 자지 못하는 데는
목필화산을 쓰는 것이 좋다[득효].
痘愈後 心痛 不可忍 此餘毒歸心 急服乳香散(丹心).
마마가 나은 뒤에 가슴이 아파서 견딜 수 없는 것은 여독이 심(心)에 들어간 것이다.
빨리 유향산을 먹여야 한다[단심].
痘愈後 失音 宜用天花散(正傳).
마마가 나은 뒤에 목이 쉰 데는 천화산(天花散)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痘愈後餘毒 成走馬疳 牙齦爛 宜付搽牙散.
마마가 나은 뒤에 여독으로 주마감아(走馬疳牙)가 되어 잇몸이 짓무른 데는
다아산을 바르는 것이 좋다.
痘愈後咽喉腫痛 宜服七味甘桔湯(醫鑒).
마마가 나은 뒤에 목구멍이 붓고 아픈 데는 칠미감길탕을 먹이는 것이 좋다[의감].
痘餘毒 肝虛則入眼目 肺虛則爲疥癬
或爲癰癤 而發在骨節 腎之虛也. 發在肌肉 脾之虛也
或在筋或在頭 或在面或牙齒疳蝕 或咽喉腫痛
宜服解毒藥 消毒飮方見上 痘瘡治法 三豆飮二方見上之類(海藏).
마마의 여독으로 간(肝)이 허하면 그것이 눈에 들어가고 폐(肺)가 허하면 옴이 된다.
혹 옹절(癰癤)이 뼈마디에 생긴 것은 신(腎)이 허한 것이고 살에 생긴 것은 비(脾)가 허한 것이다.
힘줄이나 머리 혹은 얼굴에 생겼거나 이가 삭았거나 목구멍이 부어 아픈 데는
독을 푸는 약인 소독음, 삼두음(2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 등을 먹이는 것이 좋다[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