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異功散][이공산]

治 脾胃虛弱 不思飮食 腹痛自利

人蔘, 白朮, 白茯苓, 陳皮, 甘草 各4g.

剉作一貼 生薑三片 大棗二枚 同煎服(東垣).

비위가 허약하여 음식 생각이 없고 배가 아프면서 설사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넣고 달여 먹는다[동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固眞湯][고진탕]  (0) 2023.09.13
[木香散][목향산]  (0) 2023.09.12
[黃芪湯][황기탕]  (0) 2023.09.10
[肉荳구丸][육두구환]  (0) 2023.09.09
[定中湯][정중탕]  (0) 2023.09.07

[黃芪湯][황기탕]

治慢驚風 大便泄靑色

黃芪二錢, 人參一錢, 甘草灸五分

右作一貼 水煎服 加 白芍藥一錢 尤妙

此證 風木 旺必剋 脾土

宜先實 其土後瀉 其木是 爲神治之法

一名 [保元湯](東垣).

만경풍으로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인삼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4g을 넣어 쓰면 더욱 좋다.

이 증에 풍목(風木)이 왕성하면 반드시 비토(脾土)를 억누르므로

먼저 그 비토를 실하게 하고 그 다음 간목(肝木)을 사하여야 한다.

이것이 좋은 치료법이다.

일명 보원탕(保元湯)이라고도 한다[동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散][목향산]  (0) 2023.09.12
[異功散][이공산]  (0) 2023.09.11
[肉荳구丸][육두구환]  (0) 2023.09.09
[定中湯][정중탕]  (0) 2023.09.07
[龍腦膏子][용뇌고자]  (0) 2023.09.05

[肉荳][육두구환]

治痘疹泄瀉

赤石脂 白礬枯 各30g

白龍骨 肉荳蔲煨 訶子肉 各20g

木香 縮砂 各12g

爲末 麪糊和 丸黍米大 溫水飮 呑下 一歲兒30, 三歲兒100(綱目).

마마 때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적석지, 백반(구운 것) 각각 30g,

백용골,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가자육 각각 20g,

목향, 사인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30, 3살 난 어린이에게는 100알씩 따뜻한 미음으로 먹인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異功散][이공산]  (0) 2023.09.11
[黃芪湯][황기탕]  (0) 2023.09.10
[定中湯][정중탕]  (0) 2023.09.07
[龍腦膏子][용뇌고자]  (0) 2023.09.05
[導赤散][도적산]  (1) 2023.09.04

[泄瀉][설사]

痘出後 極忌泄瀉 起脹時尤忌.

구슬이 내돋은 뒤에 설사하는 것은 아주 좋지 않다.

물이 실릴[起脹] 때에 설사하는 것은 더욱 좋지 않다.

 

痘瀉 急用保元湯方見上 加肉桂 白芍藥煎服

腸滑者 肉荳蔲煨一箇 乳香一豆大 爲末 糯米飮調下(入門)

마마 때 설사하는 데는 빨리 보원탕(처방은 위에 있다)에 육계와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더 넣어 달여 먹인다.

대변이 줄줄 나가는 데는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1개와 유향(콩알만큼 한 것) 1개를 가루를 내어 찹쌀 미음에 타 먹인다[입문].

 

痘出 不光澤不起發 根窠不紅

或瀉而渴 或腹脹 或氣促 是表裏俱虛 宜異功散煎水 呑下 肉豆埼丸

구슬이 돋아 나와 윤택하지 못하고 부풀어 오르지 않거나 구슬 밑둥이 붉지 않거나

설사하면서 갈증이 나거나 배가 불러 오르거나 숨이 찬 것은 겉과 속이 다 허한 것인데 이때는 이공산 달인 물로 육두구환을 먹인다.

 

腹脹 瀉渴 乃胃中 津液少也 宜用木香散[綱目]

배가 불러 오르고 설사하며 갈증이 나는 것은 위 속에 진액이 적은 것인데

이때는 목향산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泄瀉頻多 津液內耗 血氣不榮

其痘雖起發 必不能櫏 宜木香散救之[丹心]

설사를 자주 해서 진액이 안으로 소모되고 혈기가 부족하면

구슬이 내돋기는 하나 반드시 딱지가 잘 앉지 못한다.

이때는 목향산으로 치료하는 것이 좋다[단심].

 

起脹時 泄瀉則 內氣虛脫 瘡必陷伏 宜用固眞湯[醫鑑]

물이 실릴 때에 설사하면 속으로 기가 허탈되어서 구슬이 반드시 꺼져 들어가는데

이때는 고진탕을 쓰는 것이 좋다[의감].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煩渴][번갈]  (0) 2023.09.18
[痰喘][담천]  (0) 2023.09.14
[嘔吐][구토]  (0) 2023.09.06
[腰腹痛][요복통]  (0) 2023.08.25
[咽喉痛][인후통]  (0) 2023.08.23

[定中湯][정중탕]

收歛胃氣 止吐瀉 神妙

取眞正黃色土不雜砂石者一塊 置碗內

以百沸湯泡之 以盖合定 候溫左用

兩酒盞和 水飛朱砂末2g

水飛雄黃末4g 少加砂糖 溫服 二服立止(回春).

위기(胃氣)를 수렴(收斂)하며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잘 멎게 한다.

모래와 돌이 섞이지 않은 누런 진흙 1덩이를 끓인 물과 같이 사발에 넣고

뚜껑을 덮어 두었다가 따뜻하게 된 때

그 물을 2잔에 갈라서 주사(朱砂, 수비한 것) 2g,

석웅황(웅황, 수비한 것) 4g과 사탕을 조금 넣고

따뜻하게 두번만 먹이면 낫는다[회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芪湯][황기탕]  (0) 2023.09.10
[肉荳구丸][육두구환]  (0) 2023.09.09
[龍腦膏子][용뇌고자]  (0) 2023.09.05
[導赤散][도적산]  (1) 2023.09.04
[瀉靑丸][사청환]  (0) 2023.09.03

[嘔吐][구토]

凡顯痘疹 若自吐瀉者 不可妄治而多吉 謂邪氣上下皆出也(易老).

마마와 홍역 때 구슬과 꽃이 내돋았는데 만일 저절로 토하고 설사하면 함부로 치료해서는 안 된다.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그것은 사기(邪氣)가 아래위로 다 나가기 때문이다[역로].

 

痘 初熱吐瀉無妨 痘出後忌之.

마마 초기에 열이 나면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은 괜찮고 구슬이 나온 다음에는 좋지 않다.

 

吐瀉喘渴 蚘虫已出 目直視 大便流 腸垢者 死(入門).

토하고 설사하며 숨이 차고 갈증이 있으며 회충이 나오고

눈을 곧추 떠보며 대변에 곱이 섞여 나오는 것은 죽을 수 있다[입문].

 

痘出而吐者 毒盛乘火 宜神功散方見上

解毒吐瀉並作 宜用 定中湯(回春).

구슬이 내돋으면서 토하는 것은 독이 심한 데다 화를 겸한 것인데

이때는 신공산(처방은 위에 있다)이 좋다.

구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같이 나타날 때는 정중탕을 쓰는 것이 좋다[회춘].

 

寒甚腹痛 嘔逆 下利 宜 理中湯方見寒門 加木香 丁香 肉荳蔲(醫鑒).

한사(寒邪)가 심하여 배가 아프고 구역이 나며 설사를 하는 데는

이중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목향(木香), 정향(丁香),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를 더 넣어 쓴다[의감].

'[雜病篇] > [小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痰喘][담천]  (0) 2023.09.14
[泄瀉][설사]  (0) 2023.09.08
[腰腹痛][요복통]  (0) 2023.08.25
[咽喉痛][인후통]  (0) 2023.08.23
[聲音][음성]  (0) 2023.08.22

[龍腦膏子][용뇌고자]

治痘瘡 未透心煩狂躁 氣喘妄語

或見鬼神, 或已發而倒櫏黑陷

不速治則毒入藏 必死

梅花腦子一錢

硏細 滴猪心血和 丸如豆子大

每服一丸 井華水化下

心煩狂躁 紫草湯化下

黑陷溫淡酒化下 服畢少時 心神便定得睡 瘡復透活

一名, [猪心龍腦膏] [活人]

구슬이 잘 내돋지 않아서 가슴이 답답하고 미친 듯이 날치며[] 숨이 차하고 헛소리하며

혹 헛것이 보이는 것 같다 하고 혹 이미 구슬이 내돋아서 도엽과 흑함이 된 것을 치료한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독이 5장에 들어가서 반드시 죽는다.

용뇌 4g.

위의 약을 보드랍게 갈아서 돼지염통 피로 반죽한 다음 콩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깨끗한 물로 먹인다.

가슴이 답답하여 미친 듯이 날뛰는 데는 지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

흑함이 된 데는 따뜻하게 데운 약한 술에 풀어 먹이면 조금 있다가 정신이 안정되고 잠이 들면서 구슬이 다시 나온다.

일명 저심용뇌고(猪心龍腦膏)라고도 한다[활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肉荳구丸][육두구환]  (0) 2023.09.09
[定中湯][정중탕]  (0) 2023.09.07
[導赤散][도적산]  (1) 2023.09.04
[瀉靑丸][사청환]  (0) 2023.09.03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0) 2023.09.02

[導赤散][도적산]

治小腸熱 小便不利

生地黃 木通 甘草 各3.75g

右剉 入靑竹葉 七片 同煎服.(錢乙).

소장에 열이 있어서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으름덩굴(목통),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푸른 참대잎(청죽엽) 7개와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定中湯][정중탕]  (0) 2023.09.07
[龍腦膏子][용뇌고자]  (0) 2023.09.05
[瀉靑丸][사청환]  (0) 2023.09.03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0) 2023.09.02
[驚搐][경휵]  (0) 2023.09.01

[瀉靑丸][사청환]

治肝實.

當歸, 草龍膽, 川芎, 梔子, 大黃煨, 羌活, 防風 各等分

上爲末 蜜丸芡實大 每一丸 竹葉湯 同砂糖 溫水化下(綱目).

간이 실()한 것을 치료한다.

당귀, 용담초, 천궁, 산치자,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강활, 방풍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참대잎(竹葉)을 달인 물과 더운 사탕물을 섞은 데 풀어 먹는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龍腦膏子][용뇌고자]  (0) 2023.09.05
[導赤散][도적산]  (1) 2023.09.04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0) 2023.09.02
[驚搐][경휵]  (0) 2023.09.01
[蟬退湯][선퇴탕]  (0) 2023.08.31

[加減紅綿散][가감홍면산]

麻黃 荊芥穗 全蝎 天麻 薄荷 紫草茸 蟬殼 各2g

爲剉作一貼 入葱白一莖 同煎服(入門).

마황, 형개수, 전갈, 천마, 박하, 자초용, 매미허물(선각)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파밑(총백) 1대를 넣어 달여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導赤散][도적산]  (1) 2023.09.04
[瀉靑丸][사청환]  (0) 2023.09.03
[驚搐][경휵]  (0) 2023.09.01
[蟬退湯][선퇴탕]  (0) 2023.08.31
[手捻散][수념산]  (0) 2023.08.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