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久泄成痢][구설성리]
太陰經受濕, 而爲水泄虛滑, 身重微滿, 不知穀味, 久則傳變而爲膿血痢[機要].

태음경이 습사(濕邪)를 받아서 물 같은 설사[水泄]가 힘없이 줄줄 나오면

몸이 무겁고 뱃속이 약간 그득하며 밥맛을 모르는데, 오래되면 변하여 농혈리가 된다(기요).
夫痢者, 皆由榮衛不和, 腸胃虛弱, 冷熱之氣乘虛, 客於腸胃之間, 泄而爲痢也[類聚].

이질은 영위(榮衛)가 고르지 못하고 장위(腸胃)가 허약하여 생기는데,

냉기나 열기가 그 허한 틈을 타 장위로 침입하게 되면 설사를 하여 이질이 된다(유취).
飮食不節, 起居不時, 損其胃氣, 則上乘精微之氣反下降, 是爲飱泄,

久則太陰傳少陰而爲腸澼[東垣].

음식을 먹는데 절도가 없고 생활이 불규칙하여 위기를 손상하게 되면

위로 올라가야 할 정미로운 기운이 도리어 아래로 내려가서 손설(飱泄)이 된다.

이것이 오래되면 태음(太陰)에서 소음(少陰)으로 전해져 장벽(腸澼)이 된다(동원).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痢][풍리]   (0) 2019.12.27
[痢疾諸證][이질제증]   (0) 2019.12.26
[瀉與痢不同][사여이부동]   (0) 2019.12.26
[泄瀉宜用升陽之藥]설사의용승양지약]  (0) 2019.12.26
[久泄][구설]  (0) 2019.12.25

[瀉與痢不同][사여이부동]
泄瀉之證, 水穀或化或不化, 幷無努責, 惟覺困倦.

若滯下則不然, 或膿或血, 或膿血相雜, 或腸垢, 或無糟粕, 或糟粕相雜,

雖有痛不痛之異, 而皆裏急後重, 逼迫惱人, 赤白交下爲異[丹心].
설사의 병증은 음식물이 소화가 되었거나 소화가 되지 않았거나

설사를 할 때 힘들이지 않고 나오면서 피곤함과 나른함만 느낀다.

그러나 이질[滯下]은 그렇지 않아서 이질에 고름[膿]이나 피, 피고름이 섞여나오며

혹은 점액 같은 곱이 나오기도 하고,

혹은 설사에 찌꺼기가 없거나 찌꺼기가 섞여나오기도 하고,

아프기도 하고 아프지 않기도 한 차이는 있지만,

이질은 모두 아랫배가 무지근하고 뒤가 무직하며

자꾸 대변을 보고 싶어 괴롭고 피고름이 번갈아 나오는 점이 다르다(단심).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痢疾諸證][이질제증]   (0) 2019.12.26
[久泄成痢][구설성리]   (0) 2019.12.26
[泄瀉宜用升陽之藥]설사의용승양지약]  (0) 2019.12.26
[久泄][구설]  (0) 2019.12.25
[暴泄][폭설]   (0) 2019.12.25

[泄瀉宜用升陽之藥]설사의용승양지약]
暑月霖雨時, 人多病泄瀉, 乃濕多成五泄故也.

內經曰, 在下者, 引而竭之.

又曰, 治濕不利小便, 非其治也.

法當以淡滲之劑利之, 然客邪寒濕之勝, 自外入裏而甚暴,

若用利小便之藥, 則是降之又降, 復益其陰, 而重竭其陽也.

以升陽之藥, 是爲宜耳.
羌活, 獨活, 升麻 各一錢半, 防風, 甘草 灸 各一錢.
右剉, 水煎服, 卽愈.

大法曰, 寒濕之勝, 助風以平之.

又曰, 下者擧之. 正謂此也[東垣].
여름 장마철에 사람들이 설사를 많이 하는 것은 습(濕)이 많아서 오설(五泄)이 생기기 때문이다.

내경에서는 "아래에 있는 것은 끌어올려 말려야 한다"고 하였고,

또 "습(濕)을 치료하였는데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 올바른 치료 방법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따라서 올바른 치료 방법은 마땅히 삼습(滲濕)하는 약으로 오줌을 잘 나가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습(寒濕)의 왕성한 사기가 침입하여 밖에서 안으로 들어와서 설사가 갑자기

심하게 날 때 오줌을 잘 나가게 하는 약을 쓰면 이것은 내려가는 것을 더욱 내려보내고

음(陰)을 다시 더하여 양(陽)을 더욱 마르게 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양(陽)을 끌어올리는[升陽] 약을 쓰는 것이 마땅하다.
강활·독활·승마 각 한 돈 반, 방풍, 감초(구운 것)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물에 달여 먹으면 바로 낫는다.

대법에서 "한습(寒濕)이 왕성할 때는 풍(風)을 도와주어 한습을 다스려야 한다"고

한 것과 "내려간 것은 끌어올려야 한다"고 한 것이 바로 이 말이다(동원).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久泄成痢][구설성리]   (0) 2019.12.26
[瀉與痢不同][사여이부동]   (0) 2019.12.26
[久泄][구설]  (0) 2019.12.25
[暴泄][폭설]   (0) 2019.12.25
[腎泄][신설]  (0) 2019.12.24

[久泄][구설]
厥陰經動, 下痢不止, 其脈沈遲, 手足厥逆, 涕唾膿血, 此證難治.

法曰, 風邪縮於內, 宜散之. 用桂枝麻黃湯 方見寒門汗之[易老].

궐음경이 동(動)하여 설사가 그치지 않고, 맥이 침지(沈遲)하며 손발이 싸늘하고

콧물과 침에 피고름[膿血]이 섞여나오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법(法)에서는 "풍사가 속에 움츠리고 있는 것은 흩어지게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계지마황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땀을 낸다(역로).
凡久瀉之由, 多因眞陰虛損, 元氣下陷, 遂成久泄, 若非補中益氣湯 方見內傷,

四神丸, 滋其本源, 則後必胸痞腹脹, 小便淋澁, 多致不起[回春].

오래된 설사[久泄]는 대개 진음(眞陰)이 허약하고

원기(元氣)가 아래로 깔아졌기 때문에 마침내 구설이 된 것이다.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이나 사신환으로 본래의 근원[本源]을 자양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나중에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팽팽히 불러오며 오줌이 껄끄럽게 나오는데,

그러면 대개 살리지 못한다(회춘).
久泄是風邪內縮, 宜發其汗. 此證係風邪縮於內,

宜麻黃升麻湯以發之, 散邪於四肢, 布於經絡, 外無其邪, 則藏氣安矣[丹溪].

구설은 풍사가 속에 움츠리고 있는 것으로, 땀을 내야 한다.

이 증상은 풍사가 속에 움츠리고 있는 것이므로 마황승마탕으로 땀을 내어

팔다리에서 사기(邪氣)를 몰아내고 경락에서 흩뜨려야 한다.

겉에 사기가 없으면 장기(臟氣)는 편안하게 된다(단계).
虛滑久不愈, 多傳變爲痢, 宜厚朴枳實湯[保命].

허하여서 생긴 활설(滑泄)이 오랫동안 낫지 않으면 대개 이질[痢]로 변하는데,

이럴 때는 후박지실탕을 쓴다(보명).
久泄不止, 用破故紙肉豆蔲山藥則止[丹心].

오랫동안 설사가 그치지 않을 때는 파고지·육두구·산약을 쓰면 그친다(단심).
久泄洞泄屬於肝經, 木剋土而成, 亦是腸澼.

者, 腸中有積水也[子和].

구설(久泄)과 통설(洞泄)은 간경(肝經)에 원인이 있는데,

목(木)이 토(土)를 억눌러서[剋] 이루어진 것이다.

이것을 장벽(腸澼)이라고도 하는데, '벽(澼)'은 장(腸) 속에 물[水]이 쌓여 있는 것이다(자화).
久泄, 宜參朮健脾丸, 除濕健脾湯, 溫脾散, 訶子散.

구설에는 삼출건비환, 제습건비탕, 온비산, 가자산을 쓴다.
飮食不節, 起居不時, 損其胃氣, 則上升精微之氣反下降,

泄久則太陰傳少陰, 而爲腸澼[東垣].

음식을 먹는데 절도가 없고, 생활이 불규칙하여 위기(胃氣)를 손상하게 되면

위로 올라가야 할 정미로운 기운이 도리어 내려가서 설사를 하게 된다.

설사가 오래되면 태음(太陰)에서 소음(少陰)으로 전해져 장벽이 된다(동원).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與痢不同][사여이부동]   (0) 2019.12.26
[泄瀉宜用升陽之藥]설사의용승양지약]  (0) 2019.12.26
[暴泄][폭설]   (0) 2019.12.25
[腎泄][신설]  (0) 2019.12.24
[脾泄][비설]   (0) 2019.12.24

[暴泄][폭설]
太陽傳太陰, 下痢爲鶩溏, 大腸不能禁固, 卒然而下, 大便如水,

其中有小結糞硬物, 欲起而又下, 欲了而不了, 小便多淸, 此寒也.

宜溫之, 理中湯 方見寒門, 漿水散[易老].

태양에서 태음으로 전해져 오리 똥과 같은 설사를 하고,

대장이 잘 가둬두지 못하여 갑자기 설사를 하는데 대변이 물과 같고

그 속에 작은 대변 덩어리가 섞여나오며,

일어나려 하면 또 나오고 멈추려고 하여도 멈출 수가 없으며, 오줌은 대개 맑다.

이것은 차서[寒] 생긴 것으로 따뜻하게 하여야 하는데,

이중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이나 장수산을 쓴다(역로).
有暴下無聲, 身冷自汗, 小便淸利, 大便不禁, 氣難布息, 脈微嘔吐, 此爲寒泄.

急以重藥溫之, 宜漿水散[易老].

갑자기 설사를 하는데 소리는 나지 않으며 몸이 차고 저절로 땀이 나고,

오줌은 맑게 잘 나오는데 대변을 참지 못하며 크게 숨쉬기가 힘들고

맥은 미(微)하고 토하는 것이 한설(寒泄)이다.

한설은 급히 무거운 약[重藥]으로 데워야 하는데 장수산을 쓴다(역로).
暴泄, 宜漿水散, 朝眞丹.
폭설에는 장수산과 조진단을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瀉宜用升陽之藥]설사의용승양지약]  (0) 2019.12.26
[久泄][구설]  (0) 2019.12.25
[腎泄][신설]  (0) 2019.12.24
[脾泄][비설]   (0) 2019.12.24
[酒泄][주설]  (0) 2019.12.24

[腎泄][신설]
一名晨泄, 一名瀼泄.

每五更溏泄一次, 此腎虛感陰氣而然, 宜五味子散[本事].

신설(腎泄)은 신설(晨泄) 또는 양설(瀼泄)이라고도 하는데,

오경만 되면 묽은 설사를 한차례 한다.

이는 신(腎)이 허한 데 음기(陰氣)가 침입하여 그러한 것으로 오미자산을 쓴다(본사).

每日五更初洞泄, 服他藥無效, 此名脾腎泄, 宜二神丸, 四神丸[入門].

매일 오경 초만 되면 걷잡을 수 없이 설사를 하여 다른 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는 것을

비신설(脾腎泄)이라고 하는데, 이신환, 사신환을 쓴다(입문).

老人脾腎虛泄, 宜猪藏丸[入門].

노인이 비(脾)와 신(腎)이 허하여 설사하는 데는 저장환을 쓴다(입문).

腎虛, 色慾所傷, 多足冷, 久則肉削, 五鼓臍下絞痛, 或只微響溏泄一次.

宜二神丸, 四神丸, 五味子散[入門].

신(腎)이 허한데 지나친 성생활로 상하게 되면 대개 발이 차고,

오래되면 살이 마르며 오경에 배꼽 아래가 쥐어짜듯이 아프고,

때로 배가 약간 끓으면서 진흙 같은 설사[溏泄]를 한 번씩 한다.

이신환, 사신환, 오미자산을 쓴다(입문).

腎泄者, 腹痛無定處, 似痢, 骨弱面黧, 脚下時冷, 尺脈虛弱者是也.

當以破故紙生乾薑肉桂木香當歸主之[直指].

신설은 배가 여기저기 아프고 이질 같기도 하며,

뼈가 약해지고 얼굴빛이 거무스름해지고 다리가 때로 시리고 척맥이 허약한 것이다.

이때는 반드시 파고지·생강·건강·육계·목향·당귀가 주치한다(직지).

脾腎虛晨泄, 宜三神丸, 調中健脾丸, 六神湯, 香薑散, 木香散. 

비(脾)와 신(腎)이 허하여 새벽에 설사하는 데는

삼신환, 조중건비환, 육신탕, 향강산, 목향산을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久泄][구설]  (0) 2019.12.25
[暴泄][폭설]   (0) 2019.12.25
[脾泄][비설]   (0) 2019.12.24
[酒泄][주설]  (0) 2019.12.24
[食積泄][식적설]   (0) 2019.12.24

[脾泄][비설]
脾泄者, 肢體重着, 中脘有妨, 面色萎黃, 腹肚微滿.

宜用蒼白朮厚朴木香乾薑生肉豆蔲輩[直指].

비설은 팔다리와 몸이 무겁고 명치가 막힌 듯하며 얼굴색이 누렇게 뜨고

배가 약간 그득한 것인데, 창출, 백출, 후박, 목향, 건강, 생육두구와 같은 것을 쓴다(직지).

脾泄者, 食後倒飽, 瀉去卽寬, 脈細. 宜香砂六君子湯[回春].

비설은 식사 후에 헛배가 부르다가 설사를 하고 나면 편안해지며 맥이 세(細)한데,

향사육군자탕을 쓴다(회춘).

脾泄, 多老人腎虛, 謂之水土同化. 宜吳茱萸湯[得效].

비설은 대개 노인이 신(腎)이 허하여 생기는데,

이는 수(水)와 토(土)가 같이 변화한 것[水土同化]이라고 한다.

오수유탕을 쓴다(득효).

脾泄久, 傳腎爲腸澼, 經年不愈者.

宜調中健脾丸[入門].

비설이 오래되면 신(腎)으로 전해져 장벽(腸澼)이 되는데, 몇 해가 지나도 낫지 않는다.

조중건비환을 쓴다(입문).

脾泄已久, 大腸不禁, 此脾氣已脫, 宜急澁之.

用 赤石脂, 肉豆蔲, 乾薑之類[丹心].

비설이 이미 오래되어 설사를 참지 못하는 것은 비기(脾氣)가 이미 없어졌기 때문이다.

적석지, 육두구, 건강 등과 같은 약으로 급히 수렴하여야 한다(단심).

脾泄, 宜服固中丸[綱目].

비설에는 고중환을 먹는다(강목).

老人奉養太過, 飮食傷脾, 常常泄瀉, 亦是脾泄.

宜用山査麴朮丸[入門].

노인을 모시는 것이 지나쳐 음식으로 비(脾)를 상하면 늘 설사를 하게 되는데,

이것 또한 비설이다.

산사국출환을 쓴다(입문).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暴泄][폭설]   (0) 2019.12.25
[腎泄][신설]  (0) 2019.12.24
[酒泄][주설]  (0) 2019.12.24
[食積泄][식적설]   (0) 2019.12.24
[痰泄][담설]   (0) 2019.12.24

[酒泄][주설]
飮食過傷, 遂成酒泄, 骨立不能食, 但飮一二盃, 經年不愈.

宜香茸丸[得效].

술과 음식을 지나치게 먹으면 마침내 주설이 되는데,

뼈만 남을 정도로 야위고 음식을 먹지 못한다.

술을 한두 잔만 마셔도 설사하는데, 몇 년이 지나도 낫지 않는다.

향용환을 쓴다(득효).

患酒泄, 飮酒後特甚.

平胃散 加 丁香, 縮砂, 乾葛, 麥芽, 神麴 爲末.

空心, 米飮調下二錢, 立愈[得效].

주설을 앓으면 술을 마신 뒤 설사가 유독 심한데,

평위산에 정향, 축사인, 건갈, 맥아, 신곡 등을 더 넣고 가루낸 다음,

두 돈씩 미음에 타서 빈속에 먹으면 바로 낫는다(득효).

傷酒, 晨起必泄.

宜理中湯加生薑乾葛煎水, 酒蒸黃蓮丸 方見血門, 空心呑下二錢爲妙[丹心].

술에 상하면 새벽에 반드시 설사가 나는데, 이중탕에 생강과 갈근을 더 넣고

달인 물로 주증황련환(처방은 혈문에 있다) 두 돈을 빈속에 먹으면 좋다(단심).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腎泄][신설]  (0) 2019.12.24
[脾泄][비설]   (0) 2019.12.24
[食積泄][식적설]   (0) 2019.12.24
[痰泄][담설]   (0) 2019.12.24
[飱泄][손설]   (0) 2019.12.24

[食積泄][식적설]
泄而腹痛甚, 瀉後痛減, 臭如抱壞雞子, 噫氣作酸.

平胃散 方見五藏 加香附縮砂草果山査子麥芽煎服[入門].

식적설은 설사가 나면서 배가 몹시 아프다가 설사 후에는 통증이 줄어들고,

마치 달걀 썩는 듯한 냄새가 나고 신트림이 난다.

평위산(처방은 오장문)에 향부자, 축사인, 초과, 산사자, 맥아를 더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腹痛甚而瀉, 瀉後痛減, 脈弦而滑, 宜香砂平胃散 方見內傷 去枳實加白朮白茯苓[回春].

식적설은 배가 몹시 아프다가 설사를 하는데,

설사 후에는 통증이 줄어들고 맥은 현(弦)하면서 활(滑)하다.

향사평위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서 지실을 빼고 백출·백복령을 더 넣어 쓴다(회춘).

傷食積而泄, 糞白可驗[得效].

식적으로 인한 설사는 대변의 색이 허연 것으로 알 수 있다(득효).

凡積滯泄瀉, 腹必耕痛, 方泄者是也.

或肚腹滿, 按之堅者, 亦是也.

宜用神麴麥芽山査之類以消之[丹心].

쌓이고 막혀서[積滯] 하는 설사는 반드시 배가 갈아엎듯이 아프면서 바로 설사를 한다.

또한 윗배가 그득하여 눌러보면 단단한 것도 적체이다.

신곡, 맥아, 산사 같은 약으로 삭혀야 한다(단심).

有停飮食數日, 乃瀉, 名曰瀼泄.

宜枳朮丸 方見內傷. 

음식이 며칠씩 막혀 있다가 설사하는 것을 양설이라고 하는데,

지출환(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을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脾泄][비설]   (0) 2019.12.24
[酒泄][주설]  (0) 2019.12.24
[痰泄][담설]   (0) 2019.12.24
[飱泄][손설]   (0) 2019.12.24
[滑泄][활설]   (0) 2019.12.24

[痰泄][담설]
或瀉或不瀉, 或多或少, 二陳湯 方見痰門 加乾葛白朮神麴.

實者海靑丸, 虛者六君子湯 方見痰門[入門].
담설(痰泄)은 설사를 하다 안 하다 하고, 설사를 많이 하다 적게 하다 하는데,
이진탕(처방은 담문에 있다)에 건갈, 백출, 신곡을 더 넣어 쓴다.
실(實)할 때는 해청환을 쓰고, 허할 때는 육군자탕(처방은 담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痰泄脈沈滑, 宜萬病二陳湯[回春]. 
담설에 맥이 침활(沈滑)하면 만병이진탕을 쓴다(회춘).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酒泄][주설]  (0) 2019.12.24
[食積泄][식적설]   (0) 2019.12.24
[飱泄][손설]   (0) 2019.12.24
[滑泄][활설]   (0) 2019.12.24
[虛泄][허설]   (0) 2019.1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