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暴泄][폭설]
太陽傳太陰, 下痢爲鶩溏, 大腸不能禁固, 卒然而下, 大便如水,
其中有小結糞硬物, 欲起而又下, 欲了而不了, 小便多淸, 此寒也.
宜溫之, 理中湯 方見寒門, 漿水散[易老].
태양에서 태음으로 전해져 오리 똥과 같은 설사를 하고,
대장이 잘 가둬두지 못하여 갑자기 설사를 하는데 대변이 물과 같고
그 속에 작은 대변 덩어리가 섞여나오며,
일어나려 하면 또 나오고 멈추려고 하여도 멈출 수가 없으며, 오줌은 대개 맑다.
이것은 차서[寒] 생긴 것으로 따뜻하게 하여야 하는데,
이중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이나 장수산을 쓴다(역로).
有暴下無聲, 身冷自汗, 小便淸利, 大便不禁, 氣難布息, 脈微嘔吐, 此爲寒泄.
急以重藥溫之, 宜漿水散[易老].
갑자기 설사를 하는데 소리는 나지 않으며 몸이 차고 저절로 땀이 나고,
오줌은 맑게 잘 나오는데 대변을 참지 못하며 크게 숨쉬기가 힘들고
맥은 미(微)하고 토하는 것이 한설(寒泄)이다.
한설은 급히 무거운 약[重藥]으로 데워야 하는데 장수산을 쓴다(역로).
暴泄, 宜漿水散, 朝眞丹.
폭설에는 장수산과 조진단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