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久泄][구설]
厥陰經動, 下痢不止, 其脈沈遲, 手足厥逆, 涕唾膿血, 此證難治.
法曰, 風邪縮於內, 宜散之. 用桂枝麻黃湯 方見寒門汗之[易老].
궐음경이 동(動)하여 설사가 그치지 않고, 맥이 침지(沈遲)하며 손발이 싸늘하고
콧물과 침에 피고름[膿血]이 섞여나오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법(法)에서는 "풍사가 속에 움츠리고 있는 것은 흩어지게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계지마황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땀을 낸다(역로).
凡久瀉之由, 多因眞陰虛損, 元氣下陷, 遂成久泄, 若非補中益氣湯 方見內傷,
四神丸, 滋其本源, 則後必胸痞腹脹, 小便淋澁, 多致不起[回春].
오래된 설사[久泄]는 대개 진음(眞陰)이 허약하고
원기(元氣)가 아래로 깔아졌기 때문에 마침내 구설이 된 것이다.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이나 사신환으로 본래의 근원[本源]을 자양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나중에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팽팽히 불러오며 오줌이 껄끄럽게 나오는데,
그러면 대개 살리지 못한다(회춘).
久泄是風邪內縮, 宜發其汗. 此證係風邪縮於內,
宜麻黃升麻湯以發之, 散邪於四肢, 布於經絡, 外無其邪, 則藏氣安矣[丹溪].
구설은 풍사가 속에 움츠리고 있는 것으로, 땀을 내야 한다.
이 증상은 풍사가 속에 움츠리고 있는 것이므로 마황승마탕으로 땀을 내어
팔다리에서 사기(邪氣)를 몰아내고 경락에서 흩뜨려야 한다.
겉에 사기가 없으면 장기(臟氣)는 편안하게 된다(단계).
虛滑久不愈, 多傳變爲痢, 宜厚朴枳實湯[保命].
허하여서 생긴 활설(滑泄)이 오랫동안 낫지 않으면 대개 이질[痢]로 변하는데,
이럴 때는 후박지실탕을 쓴다(보명).
久泄不止, 用破故紙肉豆蔲山藥則止[丹心].
오랫동안 설사가 그치지 않을 때는 파고지·육두구·산약을 쓰면 그친다(단심).
久泄洞泄屬於肝經, 木剋土而成, 亦是腸澼.
澼者, 腸中有積水也[子和].
구설(久泄)과 통설(洞泄)은 간경(肝經)에 원인이 있는데,
목(木)이 토(土)를 억눌러서[剋] 이루어진 것이다.
이것을 장벽(腸澼)이라고도 하는데, '벽(澼)'은 장(腸) 속에 물[水]이 쌓여 있는 것이다(자화).
久泄, 宜參朮健脾丸, 除濕健脾湯, 溫脾散, 訶子散.
구설에는 삼출건비환, 제습건비탕, 온비산, 가자산을 쓴다.
飮食不節, 起居不時, 損其胃氣, 則上升精微之氣反下降,
泄久則太陰傳少陰, 而爲腸澼[東垣].
음식을 먹는데 절도가 없고, 생활이 불규칙하여 위기(胃氣)를 손상하게 되면
위로 올라가야 할 정미로운 기운이 도리어 내려가서 설사를 하게 된다.
설사가 오래되면 태음(太陰)에서 소음(少陰)으로 전해져 장벽이 된다(동원).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與痢不同][사여이부동] (0) | 2019.12.26 |
---|---|
[泄瀉宜用升陽之藥]설사의용승양지약] (0) | 2019.12.26 |
[暴泄][폭설] (0) | 2019.12.25 |
[腎泄][신설] (0) | 2019.12.24 |
[脾泄][비설] (0) | 2019.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