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久泄成痢][구설성리]
太陰經受濕, 而爲水泄虛滑, 身重微滿, 不知穀味, 久則傳變而爲膿血痢[機要].

태음경이 습사(濕邪)를 받아서 물 같은 설사[水泄]가 힘없이 줄줄 나오면

몸이 무겁고 뱃속이 약간 그득하며 밥맛을 모르는데, 오래되면 변하여 농혈리가 된다(기요).
夫痢者, 皆由榮衛不和, 腸胃虛弱, 冷熱之氣乘虛, 客於腸胃之間, 泄而爲痢也[類聚].

이질은 영위(榮衛)가 고르지 못하고 장위(腸胃)가 허약하여 생기는데,

냉기나 열기가 그 허한 틈을 타 장위로 침입하게 되면 설사를 하여 이질이 된다(유취).
飮食不節, 起居不時, 損其胃氣, 則上乘精微之氣反下降, 是爲飱泄,

久則太陰傳少陰而爲腸澼[東垣].

음식을 먹는데 절도가 없고 생활이 불규칙하여 위기를 손상하게 되면

위로 올라가야 할 정미로운 기운이 도리어 아래로 내려가서 손설(飱泄)이 된다.

이것이 오래되면 태음(太陰)에서 소음(少陰)으로 전해져 장벽(腸澼)이 된다(동원).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痢][풍리]   (0) 2019.12.27
[痢疾諸證][이질제증]   (0) 2019.12.26
[瀉與痢不同][사여이부동]   (0) 2019.12.26
[泄瀉宜用升陽之藥]설사의용승양지약]  (0) 2019.12.26
[久泄][구설]  (0) 2019.12.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