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虛泄][허설]
困倦無力, 遇飮食卽瀉, 或腹不痛, 四君子湯 方見氣門
加 木香, 縮砂, 蓮肉, 陳糯米 爲末, 砂糖湯調下, 空心[入門].
허설은 피곤하면서[困倦] 힘이 없고 먹으면 바로 설사하는 것인데,
배가 아프지 않을 때도 있다.
사군자탕(처방은 기문에 있다)에 목향, 축사인, 연자육, 묵은 찹쌀[陳糯米]을 더 넣고
가루내어 설탕 달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飮食入胃卽下注, 或完穀不化者, 是虛泄, 宜升陽除濕湯[丹心].
음식이 위에 들어오면 바로 설사를 하고 때로는
소화되지 않은 음식이 나오는 것이 허설인데, 승양제습탕을 쓴다(단심).
飮食入胃卽瀉, 水穀不化, 脈微弱, 宜參苓蓮朮散[回春].
음식이 위에 들어오면 바로 설사를 하고,
소화되지 않은 음식이 나오며 맥이 미약(微弱)한 데는 삼령연출산을 쓴다(회춘).
氣虛泄瀉, 四君子湯倍白朮 加 黃芪, 升麻, 柴胡, 防風, 以提之而愈[正傳].
기가 허하여 설사를 할 때는 사군자탕에 백출을 두 배로 하고,
황기, 승마, 시호, 방풍을 더 넣어서 기를 끌어올려 낫게 한다(정전).
虛泄, 養元散, 加味四君子湯皆佳[得效].
허설에는 양원산과 가미사군자탕 모두 좋다(득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