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飱泄][손설]
飱泄者, 米穀不化而泄出也[綱目].
손설이란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은 채로 나오는 것이다(강목).
夕食謂之飱, 以食之難化者, 尤重於夕, 故食不化泄出者, 謂之飱泄[聖濟].
저녁 식사를 '손(飱)'이라 하는데,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는 것은 저녁에 더욱 심하므로
음식이 소화되지 않은 채로 설사를 하는 것을 손설이라고 한 것이다(성제).
內經曰, 淸氣在下則生飱泄.
註曰, 淸氣陽氣也, 陽爲熱, 熱氣在下則穀不化, 故爲飱泄也.
내경에서는 "청기가 하초에 있으면 손설이 생긴다"고 하였고,
주석에서는 "청기는 양기(陽氣)이다.
양(陽)은 열(熱)이니 열기가 하초에 있으면 곡식이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손설이 된다"고 하였다.
又曰, 久風入中, 則爲腸風飱泄.
夫脾胃冲和之氣, 以化爲事, 今淸氣下降, 或風邪久而干胃, 是木賊土也.
故冲和之氣不能化, 而令物完出, 謂之飱泄.
或飮食太過, 腸胃受傷, 亦致米穀不化, 俗呼爲水穀痢也. 加減木香散主之[衛生].
또한 "오래된 풍사가 속에 들어가면 장풍(腸風)이나 손설이 된다"고 하였다.
비위(脾胃)의 조화로운 기[冲和之氣]는 소화시키는 일을 한다.
그런데 청기가 아래로 내려가거나 풍사가 오래되어 위(胃)를 침범하는 것은
목(木)이 토(土)를 해치는 것이다.
따라서 비위의 조화로운 기가 소화를 시키지 못하여 음식물이 그대로 나가게 되는데,
이를 손설이라고 한다.
또한 음식을 지나치게 먹어서 장위(腸胃)가 상하면 역시 소화가 안 된 설사를 한다.
민간에서는 수곡리(水穀痢)라고 하는데, 가감목향산이 주치한다(위생).
飱泄之證, 奪食則一日可止.
夫奪食之理, 爲胃弱不能剋化, 食則爲泄. 如食不下, 何以作泄.
更當以藥, 如養元散八仙糕之類, 滋養元氣.
候泄漸止, 少與食, 胃勝則安矣[東垣].
손설은 굶기면 하룻동안은 그친다.
굶기는 것은 위가 약하여 소화를 시키지 못하므로 먹기만 하면 설사가 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먹은 것이 없는데 어떻게 설사가 나오겠는가.
그런 다음 양원산(養元散)이나 팔선고(八仙糕)와 같은 약으로 원기를 자양(滋養)한다.
설사가 점차 멎으면 음식을 조금씩 먹이는데, 위가 소화를 시킬 수 있으면 낫는다(동원).
飱泄, 宜防風芍藥湯, 蒼朮防風湯.
손설에는 방풍작약탕과 창출방풍탕을 쓴다.
一人病飱泄, 腹中雷鳴泄注, 米穀不化, 小便澁滯.
以桂枝麻黃湯 方見寒門 加薑棗煎, 大劑連進三服, 汗出終日而卽愈[子和].
어떤 사람이 손설을 앓아 배가 꾸룩거리면서[雷鳴] 걷잡을 수 없이 설사를 하는데,
삭지 않은 음식이 나오고 오줌이 껄끄러워 시원하게 나오지 않았다.
계지마황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에 생강과 대추를 넣고 달여서 약의 양을 크게
하여서[大劑] 잇달아 3번을 먹였더니 하루 종일 땀이 난 다음 곧 나았다(자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