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泄痢易治難治辨][설리역치난치변]
太陰脾經受濕而爲水泄,

久則傳變而爲膿血痢, 是脾傳腎, 謂之賊邪, 故難愈.

若先痢而後瀉, 是腎傳脾, 謂之微邪, 故易愈[易老].

태음비경(太陰脾經)이 습(濕)을 받아서 수설(水泄)이 되었는데,

이것이 오래되면 변하여 농혈리가 된다.

이것은 비병(脾病)이 신(腎)으로 전해진 것으로 적사(賊邪)라고 하는데, 낫기가 어렵다.

만약 이질을 먼저 앓은 다음에 설사를 한다면

신병(腎病)이 비(脾)로 전해진 것으로 미사(微邪)라고 하는데, 쉽게 낫는다(역로).  

飱泄, 脈大手足寒, 難已.

脈小手足溫, 易已[脈經].

삭지 않은 설사[飱泄]에 맥이 대(大)하면서 손발이 차면 낫기 어렵고,

맥이 소(小)하면서 손발이 따뜻하면 쉽게 낫는다(맥경).

下痢, 有微熱而渴, 脈弱者, 自愈.

이질에 약간 열이 있고 갈증이 나면서 맥이 약한 것은 저절로 낫는다.

下痢, 脈數, 有微熱汗出, 令自愈[脈經].

이질에 맥이 삭(數)하고 약간 열이 있으면서 땀이 나는 것은

따로 치료하지 말고 저절로 낫게 한다(맥경).

下痢, 脈大者, 爲未止[脈經].

이질에 맥이 대(大)하면 설사가 그치지 않는다(맥경).

下痢, 手足溫, 易治. 手足寒, 難治[直指].

이질에 손발이 따뜻하면 치료하기 쉽고, 손발이 차면 치료하기 어렵다(직지).

下痢, 嘔噦發呃, 煩躁身熱者, 難治[醫鑑].

이질에 구역질이 나고 딸꾹질을 하며 가슴이 뛰면서 답답하고[煩燥]

몸에 열이 나면 치료하기 어렵다(의감).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痢不治證][이불치증]   (0) 2019.12.30
[泄痢吉凶證][설리길흉증]   (0) 2019.12.30
[痢疾通治藥][이질통치약]   (0) 2019.12.30
[治痢要訣][치이요결]   (0) 2019.12.30
[痢疾宜下][이질의하]  (0) 2019.12.30

[痢疾通治藥][이질통치약]
痢疾諸證, 臍腹疼痛, 或下鮮血, 或下瘀血, 或下紫黑血, 或下白膿, 或赤白相雜,

或如黑豆汁, 或如魚腦, 或如茅屋漏水, 皆裏急後重, 頻欲登厠, 日夜無度.

通用水煮木香膏, 六神丸, 香連丸 方見上,

加味香連丸, 白朮安胃散, 百中散, 和中飮, 易簡斷下湯, 寧胃散 方見上, 救命延年丸.

이질의 여러 증상은 배꼽 주위가 아프면서 설사할 때 맑은 피가 나오거나

어혈이 나오거나 검고 자주색의 피가 나오기도 하고 흰 고름이 나오기도 하고

피고름이 섞여나오기도 하고 혹은 검은콩의 즙 같은 것이 나오기도 하며

물고기 골[魚腦] 같은 것이 나오기도 하며

초가 지붕에서 흐르는 물 같은 것이 나오기도 하는데,

모두 뱃속이 당기듯 아프고 뒤가 무직하여 화장실에 자주 가고 싶어서 밤낮으로 수없이 간다.

수자목향고, 육신환, 향련환(처방은 앞에 있다), 가미향련환, 백출안위산,

백중산, 화중음, 이간단하탕, 영위산(처방은 앞에 있다), 구명연년환을 두루 쓴다.

瘧後痢, 黃連木香湯. 

학질을 앓은 뒤에 생긴 이질에는 황련목향탕을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痢吉凶證][설리길흉증]   (0) 2019.12.30
[泄痢易治難治辨][설리역치난치변]   (0) 2019.12.30
[治痢要訣][치이요결]   (0) 2019.12.30
[痢疾宜下][이질의하]  (0) 2019.12.30
[痢疾大孔痛][이질대공통]  (0) 2019.12.30

[治痢要訣][치이요결]
行血則便膿自愈, 調氣則後重自除[河間].

피를 잘 돌게 하면 고름 섞인 대변이 저절로 낫고,

기를 고르게 하면 뒤가 무지근한 것이 저절로 낫는다(하간).

下痢治法曰, 後重者宜下, 木香檳榔又木香檳榔丸 方見積聚.

이질을 치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뒤가 무직하면 설사를 시켜야 하는데,

목향과 빈랑을 쓰거나 목향빈랑환(처방은 적취문에 있다)을 쓴다.

腹痛者宜和, 芍藥陳皮又芍藥甘草湯 方見腹門.

배가 아프면 화해시켜야 하는데[和],

작약과 진피를 쓰거나 작약감초탕(처방은 복문에 있다)을 쓴다.

身重者除濕, 茯苓澤瀉又五苓散 方見寒門.

몸이 무거우면 습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복령과 택사를 쓰거나 오령산(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

脈弦者去風, 秦艽防風又敗毒散方見寒門.

맥이 현(弦)하면 풍을 없애야 하는데,

진교와 방풍을 쓰거나 패독산(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

膿血稠粘者, 以重藥竭之, 大黃芒硝又大黃湯.

이질에 피고름이 끈적끈적하게 나오면 무거운 약[重藥]으로 없애야 하는데,

대황과 망초를 쓰거나 대황탕을 쓴다.

身冷自汗者, 以熱藥溫之, 附子乾薑又漿水散.
몸이 서늘하고 저절로 땀이 나는 데는 뜨거운 약[熱藥]으로 따뜻하게 하여야 하는데,

부자와 건강을 쓰거나 장수산을 쓴다.
風邪內縮者, 宜汗之, 麻黃  , 白芷, 乾葛

又麻黃升麻湯 方見血門.

풍사(風邪)가 안으로 움츠리고 있는 경우에는 땀을 내야 하는데,

마황, 백지, 갈근을 쓰거나 마황승마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을 쓴다.

鶩溏爲痢者宜溫之, 肉桂, 木香, 又 水煮木香丸 已上[易老].

오리똥[鶩溏] 같은 대변을 누는 이질은 따뜻하게 하여야 하는데,

육계와 목향을 쓰거나 수자목향환을 쓴다(역로).

又曰, 在表者發之, 在裏者下之, 在上者涌之,

在下者竭之, 身表熱者內踈之, 小便澁者分利之[易老].

또한 병이 겉에 있으면 발산시키고 병이 속에 있으면 설사시키며,

병이 상초에 있으면 토하게 하고[涌之],

병이 하초에 있으면 설사시켜 말리며[竭之],

몸의 표면에 열이 있으면 속에서 흩어져 나오게 하고,

오줌이 껄끄럽게 나오면 나누어 잘 나오게[分利] 하여야 한다(역로).

又曰, 盛者和之, 去者送之, 過者止之[易老].

또한 지나치게 왕성한 것은 고르게[和之] 하고, 나갈 것[去者]은 내보내야 하고[送之],

지나쳐 나가는 것[過者]은 그치게 하여야 한다[止之](역로).
治痢藥法, 色黑大黃, 色紫地楡, 色紅黃芩, 色淡生薑,

色白肉桂, 色黃山査. 水泄粟殼, 痛甚木香梔子[入門].

이질을 치료할 때 약을 쓰는 방법은 대변의 색이 검으면 대황을 쓰고,

대변의 색이 자주색이면 지유를 쓰고,

대변의 색이 붉으면 황금을 쓰며, 대변의 색이 연하면 생강을 쓰고,

대변의 색이 희면 육계를 쓰고, 대변의 색이 누르면 산사를 쓰고,

물처럼 설사하면 앵속각을 쓰며, 통증이 심하면 목향과 치자를 쓴다(입문).

凡痢之初, 宜立效散.

一服卽愈. 或木香導氣湯以撤其毒, 皆良法也[醫鑑].

이질의 초기에 입효산을 한 번만 먹으면 바로 낫는다.

또 목향도기탕으로 그 독을 없애기도 하는데 모두 좋은 방법이다(의감).

治痢者, 必用寒以勝熱, 苦以燥濕.

微加辛熱佐之, 以爲發散開通之用, 固無不效矣[河間].

이질을 치료할 때는 반드시 찬 성질의 약으로 열을 내리고,

쓴맛[苦]으로 습을 말리며[燥濕], 신열(辛熱)한 약을 좌약(佐藥)으로

약간 넣어서 발산시키고 잘 통하게 하면 실로 효과를 보지 않는 것이 없다(하간).

痢疾, 宜以阿膠珠當歸靑皮赤茯苓黃連作劑,

入烏梅濃蜜同煎, 最能蕩滌惡穢, 積滯旣去, 則遍數自踈矣[直指].

이질에 아교주, 당귀, 청피, 적복령, 황련으로 약을 짓고,

오매와 진한 꿀을 넣어 함께 달여 먹으면 더러운 찌꺼기[惡穢]를 씻어내는 데 가장 좋다.

쌓여 막힌 것[積滯]이 없어지고 나면 이질의 횟수도 줄어든다(직지).

大要, 以散風邪, 行滯氣, 開胃脘爲先, 不可遽用豆蔲訶子白朮輩, 以補住邪氣.

及粟殼龍骨牡蠣輩以閉澁腸胃, 必爲日久淹延之疾.

待其腹痛後重皆除, 然後乃用斷下之藥.

큰 요점은 풍사(風邪)를 흩어지게 하고 막힌 기[滯氣]를 잘 돌게 하며

위완(胃脘)을 열어주는 것이 우선이다.

절대로 육두구, 가자, 백출과 같은 약을 급하게 써서 사기를 보하여

머물러 있게 하여서는 안 되며, 앵속각이나 용골, 모려와 같은 약으로

장위(腸胃)를 막으면 더 오랫동안 앓게 되므로,

배가 아프고 뒤가 무직한 것이 없어진 다음에 설사를 멎게 하는 약을 쓴다.     

[痢疾宜下][이질의하]
痢初得一二日間, 元氣未虛, 必推蕩之,

此通因通用之法, 用大承氣湯, 或調胃承氣湯, 下後看氣血調理.

五日後不可下, 脾胃虛故也[丹心].

처음 이질에 걸려 하루 이틀 사이에는 원기가 아직 허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반드시 설사시켜서 씻어내는 것이 좋다.

이것이 통인통용(通因通用)하는 법으로,

대승기탕이나 조위승기탕으로 설사시키는데,

그런 다음 기와 혈을 조리하여야 한다.

 이질이 걸린 지 닷새 후에는 설사시키지 말아야 하는데,

이는 비위(脾胃)가 허해졌기 때문이다(단심).

此亦大槩言之, 氣血弱者, 雖一二日不可下.

實者, 十餘日後亦可下之[正傳].

이것은 대체적으로 말한 것이며, 기

혈이 허약하면 하루 이틀밖에 되지 않았더라도 설사시키지 말아야 하고,

실(實)한 사람이라면 열흘이 지난 후에도 설사시켜도 된다(정전).

下痢腹滿爲實, 當下之[脈經].

이질에 배가 그득한 것은 실한 것이므로 반드시 설사시켜야 한다(맥경).

下痢, 脈反滑者, 當有所去, 下之乃愈[仲景].

이질에 맥이 오히려 활(滑)하다면 없애야 할 것이 있는 것이므로 설사시켜야 낫는다(중경).

下痢已差, 至其年月日時復發者, 以病不盡故也.

當下之, 宜大承氣湯[仲景].

이질이 다 나았다가 다음해 그날 그때 다시 발병하는 것은 병이 다 낫지 않았기 때문이다.

설사시켜야 하는데, 대승기탕을 쓴다(중경).

仲景治痢, 可下者, 悉用承氣等湯加減下之.

大黃之寒, 其性善走.

佐以厚朴之溫, 善行滯氣. 緩以甘草之甘.

飮以湯液, 灌滌腸胃, 滋潤輕快, 積行卽止.

局方例以熱藥爲主, 澁藥爲佐.

用之於下痢淸白者猶可.

其裏急後重, 經所謂下迫者, 皆屬火熱所爲, 加以澁熱, 非殺之而何[丹溪].

중경에 이질을 치료할 때 설사시킬 경우에는 모두 승기탕류에 가감하여 설사시켰다.

대황의 성질은 한(寒)하여 빨리 나가게 하는데[走],

이를 후박의 온(溫)한 성질로 보좌[佐]하여서 막힌 기를 잘 풀어주고

다시 감초의 감미(甘味)로 완화[緩]시킨다.

 이 약을 달여 마시면 장위(腸胃)를 잘 씻어내고[灌滌],

장을 촉촉하고[滋潤] 가볍게 해주며 적(積)이 없어져서 곧 낫는다.

국방에서는 성질이 뜨거운 약을 주된 약으로 하고,

삽(澁)한 약을 좌약(佐藥)으로 하였기 때문에 묽고 말간 설사에는 오히려 쓸 수 있다.

그러나 뱃속이 당기듯이 아프고 뒤가 무직한 것에 대하여

내경에서는 "뒤가 급한 것은 모두 화열(火熱)이 만든 것에 속한다"고 하였는데,

삽(澁)하거나 열(熱)한 약으로 삽과 열을 더 생기게 하면

어찌 사람을 죽이지 않을 수 있겠는가(단심).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痢疾通治藥][이질통치약]   (0) 2019.12.30
[治痢要訣][치이요결]   (0) 2019.12.30
[痢疾大孔痛][이질대공통]  (0) 2019.12.30
[痢疾裏急後重][이질리급후중]   (0) 2019.12.30
[痢疾腹痛]이질복통]   (0) 2019.12.29

[痢疾大孔痛][이질대공통]
下痢大孔痛, 因熱流于下, 用 木香, 檳榔, 芩連, 加炒乾薑煎服[綱目].

이질[下痢]로 항문이 아픈 것[大孔痛]은 열이 아래로 내려갔기 때문인데,

목향, 빈랑, 황금, 황련에 건강(볶은 것)을 넣고 달여 먹는다(강목).
下痢大孔痛, 宜溫煖之[仲景].

이질로 항문이 아프면 따뜻하게 하여야 한다(중경).
下痢大孔痛, 一曰溫之, 一曰淸之.

如久病身冷, 脈沈小, 宜溫之.

如暴病身熱, 脈浮洪, 宜淸之[丹心].

이질로 항문이 아프면 어떤 경우에는 따뜻하게 하고, 어떤 경우에는 열을 내려야 한다.

만약 이질이 오래되어 몸이 차고 맥이 침소(沈小)하면 따뜻하게 하여야 하고,

갑작스레 이질을 앓아 몸에 열이 나고 맥이 부홍(浮洪)하면 열을 내려야 한다(단심).
作痛, 熱流於下也[醫鑑].

항문이 아픈 것은 열이 아래로 내려갔기 때문이다(의감).
下痢大便不禁, 大孔開如空洞, 用葱椒末爛擣, 塞穀道中,

倂服酸澁固腸之劑, 如御米殼, 訶子皮之類收之[綱目].

이질에 대변을 참지 못하고 항문이 뻥 뚫린 것같이 벌어져 있으면

파와 후춧가루를 문드러지게 찧어 항문[穀道]을 막고 아울러 시고 떫은[酸澁]

앵속각이나 가자피같이 장을 굳게[固腸] 하는 약으로 수렴시킨다(강목).
下痢大孔痛, 此大虛也. 瓦片圓如銅錢大, 燒紅投童尿中,

急取令乾, 紙褁安痛處. 以人蔘當歸陳皮濃煎飮之[綱目].

이질로 항문이 아픈 것은 크게 허하기 때문인데,

동전 크기만 한 기와 조각을 발갛게 달구어 동변[童尿]에 담갔다가

바로 꺼내어 말린 뒤 종이에 싸서 아픈 곳에 붙이면 된다.

이어서 인삼, 당귀, 진피를 진하게 달여 먹는다(강목).
又灸枳實熨之, 炒鹽熨之.

又熟艾黃蠟訶子燒烟熏之妙[綱目].
또 지실을 구어 찜질을 하거나 소금을 볶아 찜질을 한다.

또 찐 쑥과 황랍·가자를 태워 그 연기를 쏘여도 효과가 있다(강목).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痢要訣][치이요결]   (0) 2019.12.30
[痢疾宜下][이질의하]  (0) 2019.12.30
[痢疾裏急後重][이질리급후중]   (0) 2019.12.30
[痢疾腹痛]이질복통]   (0) 2019.12.29
[八痢危證][팔리위증]   (0) 2019.12.29

[痢疾裏急後重][이질리급후중]
裏急, 窘迫急痛是也.

後重者, 大腸墜重而下也.

其證不一, 有因火熱者, 謂火性急速而能燥物是也.

有因氣滯者, 此大腸之氣壅而不宣通也.

有因積滯壅盛者, 是有物結墜也.

有氣虛者, 此大腸氣降而不能升也.

有血虛者, 所謂虛坐努責是也.

治法火熱者淸之, 氣滯者調之, 積滯者去之, 氣虛者升之, 血虛者補之[玉機].
이급(裏急)은 대변이 급하게 몰려오면서 당기듯이 아픈 것이다.

후중(後重)은 대장이 묵직하게 아래로 빠져나오는 것 같은 것이다.

이급후중의 증상은 똑같지 않아서 화열(火熱)로 인한 경우에

불[火]의 성질이 급하고 빨라서 사물을 바싹 마르게 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기가 막힌 것이 원인인 경우[氣滯]가 있는데,

이는 대장의 기운이 막혀서 잘 통하지 않는 것이다.

적체(積滯)로 심하게 막힌 경우에는 뭉친 것이 있어서 떨어진다.

기가 허한 경우에는 대장의 기가 내려가기만 하고 올라오지 못한다.

혈이 허한 경우에는 '헛되이 앉아 힘만 준다'고 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치료 방법은 화열(火熱)로 생겼으면 열을 내려야 하고[淸之],

기가 막혀 생겼으면[氣滯] 조화시켜야 하고[調之],

적체로 생겼으면 적체를 없애야 하고[去之],

기가 허하여 생겼으면 기를 끌어올려야 하고[升之],

혈이 허하여 생겼으면 혈을 보하여야[補之] 한다(옥기).
後重者, 本因邪壓大腸而墜下,

故大腸不能升上而重, 用大黃檳榔輩, 瀉其所壓之邪, 今邪旣瀉,

而其重因在者, 知大腸虛滑不能自收而重, 用御米殼等澁劑固其滑, 收其氣亦愈也[丹心].
뒤가 무직한 것은[後重] 본래 사기가 대장의 기운을 눌러 떨어뜨리기 때문에

대장의 기가 위로 올라가지 못하여 무직한 것이다.

대황이나 빈랑과 같은 약을 써서 누르고 있는 사기를 쏟아버려야[瀉] 한다.

그런데 사기가 이미 나갔는데도 계속 무직한 것은

대장이 허하여 줄줄 새서[虛滑] 스스로 수렴하지 못하기 때문에 무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는 앵속각과 같은 수렴제[澁劑]를 써서

줄줄 새는 것[滑]을 굳히고 기를 수렴시키면 낫는다(단심).
下墜異常, 積中有紫黑血, 而又痛甚, 此爲死血, 用挑仁泥滑石行之[丹心].
보통때와 다르게 아래로 쏟아지고 대변[積] 속에

검고 자주색의 피가 섞여 있으면서 몹시 아픈 것은 죽은 피[死血]가 있기 때문이다.

잘 찧은 도인과 활석을 써서 [피를] 잘 돌게 한다[行之](단심).
後重窘迫, 當和氣, 宜木香檳榔[易老].
뒤가 무직하고 급한 것은 기를 고르게 하여야 하는데, 목향과 빈랑을 쓴다(『역로』).
自古治裏急後重, 但用木香檳榔調氣, 及大黃下積.

至丹溪始用桃仁滑石活死血, 其效如鼓應桴[綱目].
옛부터 뱃속이 당기듯 아프면서 뒤가 무직한 데는

그저 목향과 빈랑으로 기를 고르게 하고, 대황으로 적(積)을 내려보냈을 뿐이다.

그런데 주진형이 비로소 도인과 활석으로 죽은 피를 잘 돌게 하였는데,

그 효과가 마치 북채로 북을 치면 소리가 나는 것처럼 빠르고 확실하다(강목).
氣行血和積少, 但虛坐努責, 此爲亡血證.

倍用當歸身尾却, 以生地黃, 生芍藥 , 生挑仁佐之,

陳皮和之, 血生自安.

血虛則裏急, 故用當歸身[丹心].
주진형은 "기가 잘 돌고 혈이 고르고 적(積)도 적어졌지만

헛되이 앉아서 힘만 주고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은 망혈증이다.

당귀신(당귀미는 버린다)을 두 배로 하고,

생지황과 작약(날것), 도인(날것)을 좌약(佐藥)으로 하고,

진피로 조화롭게 하면 혈이 생겨 저절로 낫게 된다"고 하였다.

혈이 허하면 뱃속이 당기듯 아프기 때문에 당귀신을 쓴 것이다(단심).
裏急者, 腹中不寬快也.

虛坐而大便不行者, 血虛也.

後重者, 虛氣墜下也[回春].
뱃속이 당기듯이 아픈 것은 뱃속이 시원하게 뚫리지 않기 때문이다.

헛되이 앉아 힘만 주고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은 혈이 허한 것이다.

뒤가 무직한 것은 기가 허하여서 아래로 처졌기 때문이다(회춘).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痢疾宜下][이질의하]  (0) 2019.12.30
[痢疾大孔痛][이질대공통]  (0) 2019.12.30
[痢疾腹痛]이질복통]   (0) 2019.12.29
[八痢危證][팔리위증]   (0) 2019.12.29
[五色痢][오색리]   (0) 2019.12.29

[痢疾腹痛]이질복통]
下痢腹痛者, 肺經之氣鬱在大腸之間. 實者下之, 虛者以苦梗發之[丹心].
이질로 배가 아픈 것은 폐경(肺經)의 기가 대장에 뭉쳐 있기 때문인데,

실(實)하면 설사시키고 허(虛)하면 길경으로 발산시켜야 한다(단심).
下痢腹痛, 不可用參芪[丹心].
이질로 배가 아픈 데는 인삼이나 황기를 써서는 안 된다(단심).
凡痢腹痛, 以白芍藥甘草爲君, 當歸白朮爲佐, 惡寒者加桂, 惡熱者加黃柏[丹心].
이질로 배가 아픈 데는 백작약과 감초를 군약(君藥)으로 하고,

당귀와 백출을 좌약(佐藥)으로 한다.

오한(惡寒)이 나면 계지를 넣고, 오열(惡熱)이 있으면 황백을 넣고 쓴다(단심).
或食粥及肉稍多作痛, 宜以白朮陳皮煎湯服之.

且宜奪食, 奪食者減其粥食, 絶其肉味也[丹心].
혹, 죽이나 고기를 점점 많이 먹어서 배가 아프게 된 데는 백출과 진피를 달여 먹는다.

또 굶겨야 하는데, 여기에서 굶긴다는 것은 죽을 줄여 먹고,

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는 말이다(단심).
下痢膿血, 腹痛不止, 調胃承氣湯, 加薑棗, 煎服 方見寒門.

瀉訖, 以五苓散煎水, 益元散調下.
이질로 피고름이 나오고 배가 아픈 것이 그치지 않으면

조위승기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에 생강과 대추를 넣고 달여 먹는다.

설사가 그친 다음에는 오령산 달인 물에 익원산을 타서 먹는다.
痢疾腹痛, 宜香連丸, 薑茶湯 方見上, 神效越桃散.
이질로 배가 아프면 향련환, 강다탕(처방은 앞에 있다), 신효월도산을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痢疾大孔痛][이질대공통]  (0) 2019.12.30
[痢疾裏急後重][이질리급후중]   (0) 2019.12.30
[八痢危證][팔리위증]   (0) 2019.12.29
[五色痢][오색리]   (0) 2019.12.29
[蠱疰痢][고주리]   (0) 2019.12.29

[八痢危證][팔리위증]
一曰熱赤, 二曰冷白, 三曰冷熱相加赤白,

四曰食積酸臭, 五曰驚靑, 六曰脾虛不化,

七曰時行有血, 八曰疳卽瀼瀉[類聚].

여덟 가지 이질의 위험한 증후의

첫 번째는 열로 인하여 붉은 피고름이 섞여나오는 이질이다.

두 번째는 냉으로 흰 고름이 나오는 이질이다.

세 번째는 냉열이 서로 섞여서 피고름과 흰 고름이 섞여나오는 이질이다.

네 번째는 식적으로 신 냄새[酸臭]가 나는 이질이다.

다섯 번째는 놀라서 푸른빛을 띤 것이 섞여나오는 이질이다.

여섯 번째는 비(脾)가 허하여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나오는 이질이다.

일곱 번째는 돌림병[時行]으로 피가 섞여나오는 이질이다.

여덟 번째는 감리(疳痢)로, 이는 물이 쏟아지듯 나오는 이질이다(유취).

一曰冷痢白積, 二曰熱痢赤積, 三曰冷熱不調積下赤白,

四曰疳痢黃白積或見五色, 五曰驚痢靑積不臭, 六曰休息痢糞黑如魚腸,

七曰醲痢腹脹便臭肛痛, 八曰蠱疰痢下紫黑血如猪肝[入門].

첫 번째는 냉리로, 흰 고름이 뭉쳐나오는 것[白積]이다.

두 번째는 열리로, 붉은 피가 뭉쳐나오는 것[赤積]이다.

세 번째는 냉열이 고르지 못하여 피고름이 섞여서 뭉쳐나오는 것이다.

네 번째는 감리로, 누렇고 흰 것이 뭉쳐나오거나 다섯 가지 색이 섞여나오는 것이다.

다섯 번째는 경리로, 푸른 것이 뭉쳐나오면서 냄새는 나지 않는 것이다.

여섯 번째는 휴식리로, 대변이 물고기의 내장같이 검다.

일곱 번째는 농리인데, 배가 팽팽히 불르고 대변에서 나쁜 냄새가 나며 항문이 아픈 것이다.

여덟 번째는 고주리인데, 돼지의 간(肝)처럼 검고 자주색의 피가 나오는 것이다(입문).

通用小駐車丸, 眞人養藏湯二方見上[入門].

소주거환, 진인양장탕(두 처방은 앞에 있다)을 두루 쓴다(입문).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痢疾裏急後重][이질리급후중]   (0) 2019.12.30
[痢疾腹痛]이질복통]   (0) 2019.12.29
[五色痢][오색리]   (0) 2019.12.29
[蠱疰痢][고주리]   (0) 2019.12.29
[疫痢][역리]  (0) 2019.12.28

[五色痢][오색리]
痢疾五色俱下, 乃脾胃食積, 及四氣相倂.

以茱連丸救之[入門].
이질에 다섯 가지 색이 다 나오는 것은

비위(脾胃)의 식적(食積)에 나머지 네 장[四臟]의 기(氣)가 합해졌기 때문인데,

수련환으로 치료한다(입문).
脾胃爲水穀之海, 無物不受, 常兼四藏, 故痢有五色之相雜, 當先通利[丹心].
비위는 음식물이 모이는 곳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없고

늘 나머지 네 장기의 기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이질에 다섯 가지 색이 섞여나오는 것이다.

먼저 설사[通利]시켜야 한다(단심).
濕毒甚盛, 下痢腹痛, 大便如膿血, 或如爛肉汁,

宜地楡散, 黃蓮阿膠湯 二方見上[活人].
습독(濕毒)이 지나치게 성하여 설사를 하고 배가 아프며

대변에 피고름이나 문드러진 고기즙과 같은 것이 나오는 데는

지유산이나 황련아교탕(처방은 둘 다 앞에 있다)을 쓴다(활인).
五色痢, 宜服秘方養藏湯, 絲瓜散, 神效參香散.
오색리에는 비방양장탕, 사과산, 신효삼향산을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痢疾腹痛]이질복통]   (0) 2019.12.29
[八痢危證][팔리위증]   (0) 2019.12.29
[蠱疰痢][고주리]   (0) 2019.12.29
[疫痢][역리]  (0) 2019.12.28
[久痢][구리]   (0) 2019.12.27

[蠱疰痢][고주리]
久痢不已, 毒氣蝕於藏府, 下血如雞肝, 雜膿瘀者, 名曰蠱疰痢[類聚].
오랫동안 이질이 낫지 않으면 독기가 장부를 좀먹어서 닭의 간과 같은 피를 쏟고,

고름이나 어혈이 이질에 섞여나오는 것을 고주리(蠱疰痢)라고 한다(유취).
蠱疰痢, 下黑血如雞肝, 發渴, 五內切痛.

此因服五石湯丸所致, 其血自百經絡而來, 以茜根丸救之[入門].
고주리는 닭의 간과 같은 검은 피를 쏟고 갈증이 나며 오장의 내부가 끊어질 듯 아픈 것이다.

이는 오석탕이나 오석환을 먹었기 때문이다.

이 피는 모든 경락에서 나오는 것이므로 천근환으로 치료하여야 한다(입문).
蠱疰痢, 宜羚羊角元, 薑墨丸 方見上.
고주리는 영양각원이나 강묵환(처방은 앞에 있다)을 쓴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八痢危證][팔리위증]   (0) 2019.12.29
[五色痢][오색리]   (0) 2019.12.29
[疫痢][역리]  (0) 2019.12.28
[久痢][구리]   (0) 2019.12.27
[積痢][적리]  (0) 2019.12.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