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脉法][맥법]
泄瀉, 脈緩時小結者生, 浮大數者死[正傳].
설사할 때 맥이 완(緩)하면서 때때로 소결(小結)하면 살고, 부대삭(浮大數)하면 죽는다(정전).
病泄脈洪而大爲逆[靈樞].
설사병에 맥이 홍(洪)하면서 대(大)한 것은 역증이다(영추).
泄而脫血脈實者難治[內經].
설사를 하면서 피를 몹시 흘렸는데 맥이 실(實)하면 치료하기가 어렵다(내경).
泄瀉脈多沈, 傷風則浮, 傷寒則沈細, 傷暑則沈微, 傷濕則沈緩[醫鑑].
설사의 맥은 대개 침(沈)하다.
그러나 풍(風)에 상한 맥은 부(浮)하고 한(寒)에 상한 맥은 침세(沈細)하며
더위[暑]에 상한 맥은 침미(沈微)하며 습(濕)에 상한 맥은 침완(沈緩)하다(의감).
瀉脈自沈, 沈遲寒侵, 沈數火熱, 沈虛滑脫, 暑濕緩弱, 多在夏月[回春].
설사 맥은 침(沈)한데, 침하면서 지(遲)하면 한(寒)의 침범을 받은 것이고,
침하면서 삭(數)하면 화열(火熱)의 침범을 받은 것이고,
침허활탈(沈虛滑脫)하면 더위와 습에 상한 것이다.
완약(緩弱)한 맥은 대개 여름철 설사에 나타난다(회춘).
腸澼下膿血, 脈沈小留連者生, 數疾且大有熱者死[脈經].
장벽(腸澼)으로 피고름이 나오는데,
맥이 침소(沈小)하지만 끊어지지 않고 계속 이어지면 살고,
맥이 삭질(數疾)하면서 대(大)하고 열이 있으면 죽는다(맥경).
下痢, 脈微弱數者爲欲自止, 雖發熱不死[仲景].
이질[下痢]에 맥이 미약(微弱)하면서 삭(數)한 것은
병이 저절로 나으려고 하는 것으로, 몸에 열이 있어도 죽지 않는다(중경).
下痢, 脈大者爲未止[仲景].
이질 맥이 대(大)하면 이질이 그치질 않는다(중경).
下痢日十餘行, 脈反實者死[仲景].
이질을 하루에 10여 차례 하였는데 맥이 도리어 실(實)하면 죽는다(중경).
下痢宜微小, 不宜洪大[得效].
이질 맥은 미소(微小)하여야지 홍대(洪大)하면 안 된다(득효).
下痢微小, 却爲生. 脈大浮洪, 無差日[脈訣].
이질에 맥이 미소하면 오히려 살 수 있지만, 맥이 대부홍(大浮洪)하면 낫지 않는다(맥결).
無積不痢, 脈宜滑大, 浮弦急死, 沈細無害[脈訣].
적(積)이 없으면 이질은 생기지 않는다.
맥은 활대(滑大)하여야 하는데,
맥이 부현(浮弦)하면 갑자기 죽게 되고 침세(沈細)한 맥이면 괜찮다(맥결).
凡痢, 身凉脈細者生, 身熱脈大者死[丹心].
대체로 이질에 몸이 싸늘하고[身凉] 맥이 세(細)하면 살 수 있지만,
몸에 열이 있고 맥이 대(大)하면 죽는다(단심).
下痢, 脈微小吉, 浮洪者難治[濟生].
이질에 맥이 미소(微小)하면 좋지만 부홍(浮洪)하면 치료하기 어렵다(제생).
大便閉結, 脾脈沈數, 下連於尺爲陽結.
二尺脈虛, 或沈細而遲爲陰結.
右尺脈浮爲風結[醫鑑].
대변이 막혔을 때 비맥(脾脈)이 침삭(沈數)하면서
아래쪽의 척(尺) 부위까지 이어지면 양결(陽結)이고,
양쪽의 척맥이 허(虛)하거나 침세(沈細)하면서 지(遲)하면 음결(陰結)이고,
오른쪽 척 부위의 맥이 부(浮)한 것은 풍결(風結)이다(의감).
燥結之脈, 沈伏勿疑, 熱結沈數, 虛結沈遲, 若是風燥, 右尺浮肥[回春].
조결(燥結) 맥은 확실히 침복(沈伏)하며, 열결(熱結) 맥은 침삭(沈數)하며,
허결(虛結)하면 맥이 침지(沈遲)하다.
만약 풍조가 있으면 오른쪽 척맥이 부(浮)하면서 두툼하게[肥] 온다(회춘).
老人虛人閉結, 脈雀啄者, 不治[醫鑑].
노인이나 허약한 사람이 대변이 막혔을 때 작탁맥(雀啄脈)이 나타나면 치료 할 수 없다(의감).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瀉諸證][설사제증] (0) | 2019.12.24 |
---|---|
[泄證有五][설증유오] (0) | 2019.12.24 |
[辨便色][변변색] (0) | 2019.12.24 |
[大便病因][대변병인] (0) | 2019.12.24 |
[大便原委][대변원위] (0) | 2017.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