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脉法][맥법]
泄瀉, 脈緩時小結者生, 浮大數者死[正傳].
설사할 때 맥이 완(緩)하면서 때때로 소결(小結)하면 살고, 부대삭(浮大數)하면 죽는다(정전).
病泄脈洪而大爲逆[靈樞].

설사병에 맥이 홍(洪)하면서 대(大)한 것은 역증이다(영추).
泄而脫血脈實者難治[內經].

설사를 하면서 피를 몹시 흘렸는데 맥이 실(實)하면 치료하기가 어렵다(내경).
泄瀉脈多沈, 傷風則浮, 傷寒則沈細, 傷暑則沈微, 傷濕則沈緩[醫鑑].

설사의 맥은 대개 침(沈)하다.

그러나 풍(風)에 상한 맥은 부(浮)하고 한(寒)에 상한 맥은 침세(沈細)하며

더위[暑]에 상한 맥은 침미(沈微)하며 습(濕)에 상한 맥은 침완(沈緩)하다(의감).
瀉脈自沈, 沈遲寒侵, 沈數火熱, 沈虛滑脫, 暑濕緩弱, 多在夏月[回春].

설사 맥은 침(沈)한데, 침하면서 지(遲)하면 한(寒)의 침범을 받은 것이고,

침하면서 삭(數)하면 화열(火熱)의 침범을 받은 것이고,

침허활탈(沈虛滑脫)하면 더위와 습에 상한 것이다.

완약(緩弱)한 맥은 대개 여름철 설사에 나타난다(회춘).
腸澼下膿血, 脈沈小留連者生, 數疾且大有熱者死[脈經].

장벽(腸澼)으로 피고름이 나오는데,

맥이 침소(沈小)하지만 끊어지지 않고 계속 이어지면 살고,

맥이 삭질(數疾)하면서 대(大)하고 열이 있으면 죽는다(맥경).
下痢, 脈微弱數者爲欲自止, 雖發熱不死[仲景].

이질[下痢]에 맥이 미약(微弱)하면서 삭(數)한 것은

병이 저절로 나으려고 하는 것으로, 몸에 열이 있어도 죽지 않는다(중경).
下痢, 脈大者爲未止[仲景].

이질 맥이 대(大)하면 이질이 그치질 않는다(중경).
下痢日十餘行, 脈反實者死[仲景].

이질을 하루에 10여 차례 하였는데 맥이 도리어 실(實)하면 죽는다(중경).
下痢宜微小, 不宜洪大[得效].

이질 맥은 미소(微小)하여야지 홍대(洪大)하면 안 된다(득효).
下痢微小, 却爲生. 脈大浮洪, 無差日[脈訣].

이질에 맥이 미소하면 오히려 살 수 있지만, 맥이 대부홍(大浮洪)하면 낫지 않는다(맥결).
無積不痢, 脈宜滑大, 浮弦急死, 沈細無害[脈訣].

적(積)이 없으면 이질은 생기지 않는다. 

맥은 활대(滑大)하여야 하는데,

맥이 부현(浮弦)하면 갑자기 죽게 되고 침세(沈細)한 맥이면 괜찮다(맥결).
凡痢, 身凉脈細者生, 身熱脈大者死[丹心].

대체로 이질에 몸이 싸늘하고[身凉] 맥이 세(細)하면 살 수 있지만,

몸에 열이 있고 맥이 대(大)하면 죽는다(단심).
下痢, 脈微小吉, 浮洪者難治[濟生].

이질에 맥이 미소(微小)하면 좋지만 부홍(浮洪)하면 치료하기 어렵다(제생).
大便閉結, 脾脈沈數, 下連於尺爲陽結.

二尺脈虛, 或沈細而遲爲陰結.

右尺脈浮爲風結[醫鑑].

대변이 막혔을 때 비맥(脾脈)이 침삭(沈數)하면서

아래쪽의 척(尺) 부위까지 이어지면 양결(陽結)이고,

양쪽의 척맥이 허(虛)하거나 침세(沈細)하면서 지(遲)하면 음결(陰結)이고,

오른쪽 척 부위의 맥이 부(浮)한 것은 풍결(風結)이다(의감).
燥結之脈, 沈伏勿疑, 熱結沈數, 虛結沈遲, 若是風燥, 右尺浮肥[回春].

조결(燥結) 맥은 확실히 침복(沈伏)하며, 열결(熱結) 맥은 침삭(沈數)하며,

허결(虛結)하면 맥이 침지(沈遲)하다.

만약 풍조가 있으면 오른쪽 척맥이 부(浮)하면서 두툼하게[肥] 온다(회춘).
老人虛人閉結, 脈雀啄者, 不治[醫鑑].

노인이나 허약한 사람이 대변이 막혔을 때 작탁맥(雀啄脈)이 나타나면 치료 할 수 없다(의감).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泄證有五][설증유오]  (0) 2019.12.24
[辨便色][변변색]   (0) 2019.12.24
[大便病因][대변병인]   (0) 2019.12.24
[大便原委][대변원위]   (0) 2017.05.19

[辨便色][변변색]
腸中寒, 則腸鳴飱泄.

腸中熱, 則出黃如糜[靈樞].

장(腸) 속이 차면 장에서 소리가 나고 삭지 않은 설사를 하며,

장 속에 열이 있으면 누런 죽과 같은 변이 나온다(영추).

瀉白爲寒, 靑黃紅赤黑皆爲熱也.

或以痢色靑爲寒者, 誤也.

傷寒少陰病, 下痢純靑水者, 熱在裏也.

小兒急驚, 利色多靑, 爲熱明矣.

痢色黃者, 脾熱也.

痢色紅者, 爲熱, 心火之色.

或赤者, 熱之甚也.

色黑者, 由火熱亢極, 則反兼水化, 故色黑也[原病].

허연 것을 설사하면 속이 차기 때문이며,

푸르거나 누렇거나 붉거나 검은 것은 모두 열 때문이다.

설사가 푸른 것은 속이 차기 때문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틀린 것이다.

상한 소음병에 퍼런 물 설사를 하는 것은 속에 열이 있기 때문이며,

어린아이가 갑자기 경풍(驚風)이 생겨 설사를 하면 대개 푸른빛인데,

이는 열 때문에 생긴 것이 분명하다.

설사가 누런색이면 비(脾)에 열이 있는 것이고, 설사가 붉은색[紅]이면 열 때문인데,

이는 심화(心火)의 색이다.

때로 짙은 뻘건색[赤]이 나는 것은 열이 심하기 때문이다.

검은색은 화열(火熱)이 극심하여 도리어 수(水)로 변하였기 때문에 검은빛을 띠는 것이다(원병).

血寒則凝, 痢色必紫黑成塊, 或雜膿血. 盖膿爲陳積也, 血爲新積也[入門].

혈(血)이 차면 뭉치므로 설사의 색은 반드시 검고 자주색이면서 덩어리가 지며

때로는 피고름이 섞여나온다.

이때 고름은 오랫동안 쌓여 있던 것이고, 혈은 쌓인 지 얼마 안 된 것이다(입문).

濕多成五泄如水傾下[入門].

습이 많으면 다섯 가지 설사[五泄]를 하는데 마치 물이 쏟아지듯 한다(입문).

熱痢紫黑色, 寒痢白如鴨溏, 濕痢下如黑豆汁,

風痢純下靑水, 氣痢狀如蟹浡, 積痢色黃或如魚腦,

虛痢色白如鼻涕凍膠, 蠱疰痢黑如雞肝[入門].

열리(熱痢)는 검고 자주색이며,

한리(寒痢)는 흰 것이 오리 똥 같으며,

습리(濕痢)는 검은콩의 즙같이 나오고,

풍리(風痢)는 퍼런 물 설사를 하며,

기리(氣痢)는 게거품 같고,

적리(積痢)는 누렇거나 물고기의 골과 같으며,

허리(虛痢)는 색이 하얀데 콧물이나 엉긴 풀 같고,

고주리(蠱疰痢)는 검은데 닭의 간 색과 같다(입문).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泄證有五][설증유오]  (0) 2019.12.24
[脉法][맥법]   (0) 2019.12.24
[大便病因][대변병인]   (0) 2019.12.24
[大便原委][대변원위]   (0) 2017.05.19

[大便病因][대변병인]
犯賊風虛邪者, 陽受之.

食飮不節起居不時者, 陰受之.

陽受之則入六府, 陰受之則入五藏.

入六府則身熱不時臥, 上爲喘呼.

入五藏則滿閉塞, 下爲飱泄, 久爲腸澼 腸澼謂痢疾[內經].

허사적풍(虛邪賊風)이 침범하면 양(陽)이 이를 받게 되고,

음식에 절도가 없거나 생활이 때에 맞지 않으면 음(陰)이 사기를 받게 된다.

양이 받게 되면 사기가 육부(六腑)로 들어가고, 음이 받게 되면 오장(五臟)으로 들어간다.

사기가 육부로 들어가면 몸에 열이 나고 때도 없이 눕기를 좋아하고

위로 밭은기침이 나와 숨이 차게 된다.

사기가 오장으로 들어가면 배가 그득히 차서 막히게 되어 아래로 삭지 않은 설사를 하는데,

오래되면 장벽(腸澼, 이질을 말한다)이 된다(내경).

春傷於風夏必飱泄.

봄에 풍(風)에 상하면 여름에 반드시 손설(飱泄)이 생긴다.

春傷於風, 邪氣留連, 乃爲洞泄.

봄에 풍에 상하면 사기가 머물러 있다가 물 설사[洞泄]를 하게 된다.

久風入中, 則爲腸風飱泄.

풍이 몸에 들어와 오래되면 장풍(腸風)이나 손설이 된다.

淸氣在下則生飱泄.

청기(淸氣)가 하초에 있으면 손설이 된다.

濕勝則濡泄.

註曰, 濕勝則內攻於脾胃, 脾胃受濕則水穀不分, 故大腸傳導而注瀉也[內經].

습(濕)이 지나치게 왕성하면 물 설사[濡泄]를 한다.

주에서는 "습이 지나치게 왕성하면 안으로 비위를 공격하는데,

비위가 습사(濕邪)를 받으면 수곡(水穀)이 제대로 나뉘지 못하기 때문에

대장이 전달하여 설사를 하게 된다"라고 하였다(내경).

倉廩不藏者, 是門戶不要也.

註曰, 是大腸之門戶不得斂也[內經].

창고에 저장할 수 없는 것은 그 문이 닫히지 않기 때문이다.

주에서는 "이것은 대장의 문[門戶]이 단속(團束)되지 못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내경).
大腸有寒則多鶩溏,

有熱則便腸垢[仲景].

대장에 찬 기운이 있으면 대개 묽은 설사[鶩溏]가 나고,

열이 있으면 장구(腸垢)가 된다(중경).

腸垢者, 腸間積汁垢膩也.

亦曰滯下, 言濕火滯於腸中, 故謂之滯下[入門].

장구는 장(腸) 사이에 쌓여 있는 즙 같은 기름때이다.

체하(滯下)라고도 하는데, 이는 습(濕)과 화(火)가 장(腸) 속에서 막혀[滯]

설사[下]를 하는 것이므로 '체하'라고 한 것이다(입문).

痢因有二. 一者暑月煩渴, 恣食生冷.

二者夜臥失被, 風濕外侵.

二者皆令水穀不化, 鬱而生熱, 熱與濕合,

傷氣分則成白痢, 傷血分則成赤痢, 氣血俱傷則成赤白痢[丹心].

이질의 원인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여름에 갈증이 난다고 날것과 찬 것을 함부로 먹어서 생기며,

두 번째는 밤에 잠을 잘 때 이불을 덮지 않아 풍사와 습사가 침입하여 생긴다.

두 가지 원인 모두 소화가 되지 않고 음식이 쌓이고 뭉쳐서 열을 생기게 하는데,

열과 습이 합쳐져 기분(氣分)을 상하면 백리(白痢)가 되고,

혈분(血分)을 상하면 적리(赤痢)가 되며,

기분과 혈분모두가 상하면 적백리(赤白痢)가 된다(단심).

古人云, 無積不成痢.

皆由暑月多食生冷, 不能剋化, 飮食積滯而成痢也[類聚]

옛사람들은 "쌓인 것이 없으면 이질은 생기지 않는다.

이질은 모두 여름철에 날것과 찬 것을 지나치게 먹어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하여

음식이 쌓이고 기가 막혀 있다가 이질이 된다"고 하였다(유취).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泄證有五][설증유오]  (0) 2019.12.24
[脉法][맥법]   (0) 2019.12.24
[辨便色][변변색]   (0) 2019.12.24
[大便原委][대변원위]   (0) 2017.05.19

[大便原委][대변이 만들어지는 경위]
[難經]曰 大腸 小腸 會爲闌門.
盖胃中水穀腐熟 自胃下口 傳入於小腸上口 自小腸下口
泌別淸濁 水液入膀胱 爲溲尿, 滓穢入大腸 爲大便.
由闌門 而分別 關闌分隔 故名爲闌門也(綱目)
난경에 “대장과 소장이 이어지는 곳을 난문( 門)이라고 한다.
음식은 위(胃)에서 소화되어 위(胃)의 아랫구멍[下口]으로 나가
소장[小腸上口]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소장의 아랫부분[下口]에서 맑고 흐린 것이 갈라져서 수액(水液)은
방광에 들어가서 오줌이 되고 찌꺼기[滓穢]는 대장으로 들어가서 대변이 된다.
이와 같이 난문에서 갈라지는데 여기가 관(關)문의 난간 처럼 되어 있다고 하여
난문이라고 한다”고 씌어 있다[강목].
[內經](靈蘭秘典論篇 第八)曰 大腸者 傳導之官 化物出焉.
[註]曰 化物 謂大便也.
내경에 “대장은 전도지관(傳導之官)으로서 소화된 것을 내보낸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소화된 찌꺼기[化物]가 대변이다”고 씌어 있다.

'[內景篇] > [大便]'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瀉諸證][설사제증]   (0) 2019.12.24
[泄證有五][설증유오]  (0) 2019.12.24
[脉法][맥법]   (0) 2019.12.24
[辨便色][변변색]   (0) 2019.12.24
[大便病因][대변병인]   (0) 2019.1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