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歷節風治法][역절풍치법]
痛風 多屬血虛
血虛然後 寒熱得以侵之
多用芎歸 佐以桃仁 紅花 薄桂 威靈仙 或用趂痛散(東垣)
통풍(痛風)은 흔히 혈(血)이 허(虛)한데 속한다.
이 병은 혈이 허해졌을 때에 한(寒)과 열(熱)이 침범하면 생긴다.
이런 데는 궁궁이(천궁), 당귀를 많이 쓰고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박계(薄桂), 으아리(위령선) 등을 보조약으로 쓴다.
그리고 진통산을 쓰기도 한다[동원].
丹溪 治痛風法 主血熱 血虛 血汚 或挾痰 皆不離
四物潛行 黃栢 牛膝 生甘草 桃仁 陳皮 蒼朮 薑汁 隨證加減 可謂 發前人之未發也(綱目).
단계(丹溪)는 통풍을 치료할 때 혈열(血熱), 혈허(血虛), 혈오(血汚), 담(痰)까지 겸한 것은
사물탕이나 잠행산으로 주로 치료했는데
여기에 황백, 쇠무릎(우슬), 감초(생것), 복숭아씨(도인), 귤껍질(陳皮), 삽주(창출),
생강즙 등을 증상에 맞게 가감하여 썼다.
이것은 옛날 사람들이 밝히지 못한 것을 처음으로 밝힌 것이다[강목].
治痛風大法 蒼朮 南星 川芎 白芷 當歸 酒芩,
在上 加羗活 威靈仙 桂枝 桔梗,
在下 加牛膝 防己 木通 黃栢(丹心).
통풍을 치료하는 처방은 천남성,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당귀,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것)로 되어 있는데
병이 윗도리에 있으면 강호리(강활), 으아리(위령선), 계지, 도라지(길경)를 더 넣어 쓰고
병이 아랫도리에 있으면 쇠무릎(우슬), 황백, 으름덩굴(목통), 방기를 더 넣어 쓴다[단심].
薄桂 治痛風 無味而薄者 能橫行手臂領 南星 蒼朮等 至痛處(丹心).
박계로는 통풍을 치료한다. 맛이 없는 박계의 기운은 손과 팔로 가는데
이때에 천남성, 삽주(창출) 등의 약 기운을 이끌고 아픈 곳으로 간다[단심].
風寒濕 入於經絡 以致氣血凝滯 津液稽留 久則怫鬱 堅牢阻碍 榮衛難行 正邪交戰 故作痛也
須氣味辛烈 暴悍之藥 開鬱行氣 破血豁痰 則怫鬱開 榮衛行 而病方已也(方廣).
풍(風), 한(寒), 습(濕)의 3가지 사기가 경락(經絡)에 들어가면
기혈(氣血)이 엉키고 진액(津液)이 머물러 있게 된다.
이것이 오래되면 속이 답답하고 경락에 기혈(氣血)이 몰려 뜬뜬해지며
영위(榮衛)가 잘 돌지 못하고 정기(正氣)와 사기(邪氣)가 서로 싸우게 되므로 아프다.
이때에는 맛이 맵고 성질이 몹시 세고 빠른 약으로 몰린 것을 헤쳐 주고 기를 잘 돌게 하며
어혈(瘀血)을 풀어 주고 담을 삭여야 속이 답답하뎐 것이 풀리고
영위(榮衛)가 잘 돌아가면서 병이 낫는다[방광].
痛風 宜用大羗活湯 蒼朮復煎散 防風天麻散 踈風活血湯
四妙散 麻黃散 潛行散 二妙散 龍虎丹 活絡丹 五靈丸
통풍(痛風) 때에는 대강활탕, 창출부전산, 방풍천마산, 소풍활혈탕,
사묘산, 마황산, 잠행산, 이묘산, 용호단, 활락단, 오령환 등을 쓴다.
歷節風 宜用神通飮 定痛散 虎骨散 加減虎骨散 麝香元 乳香黑虎丹 乳香定痛丸 捉虎丹
역절풍(歷節風) 때에는 신통음, 정통산, 호골산, 가감호골산,
사향원, 유향흑호단, 유향정통환, 착호단 등을 쓴다.
肢節腫痛 宜用靈仙除痛飮.
팔다리의 뼈마디가 부으면서 아프면 영선제통음을 쓴다.
痰飮注痛 宜用芎夏湯 控涎丹 消痰茯苓丸 半夏芩朮湯.
담음(痰飮)이 왔다갔다하면서 아프면 궁하탕, 공연단(控涎丹,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소담복령환(消痰茯 丸, 처방은 손문에 있다), 반하금출탕 등을 쓴다.
痛風 熨烙 宜用拈痛散 當歸散
통풍이 생겨 찜질할 때에는 점통산, 당귀산을 쓴다.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破傷風病因][파상풍병인] (0) | 2020.05.12 |
---|---|
[禁忌法][금기법] (0) | 2020.05.12 |
[歷節風證狀][역절풍증상] (0) | 2020.05.12 |
[歷節風病因][역절풍병인] (0) | 2020.05.12 |
[痺證病名及用藥][비증병명급용약] (0) | 202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