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歷節風治法][역절풍치법]
痛風 多屬血虛

血虛然後 寒熱得以侵之

多用芎歸 佐以桃仁 紅花 薄桂 威靈仙 或用趂痛散(東垣)
통풍(痛風)은 흔히 혈(血)이 허(虛)한데 속한다.

이 병은 혈이 허해졌을 때에 한(寒)과 열(熱)이 침범하면 생긴다.

이런 데는 궁궁이(천궁), 당귀를 많이 쓰고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박계(薄桂), 으아리(위령선) 등을 보조약으로 쓴다.

그리고 진통산을 쓰기도 한다[동원].
丹溪 治痛風法 主血熱 血虛 血汚 或挾痰 皆不離

四物潛行 黃栢 牛膝 生甘草 桃仁 陳皮 蒼朮 薑汁 隨證加減 可謂 發前人之未發也(綱目).
단계(丹溪)는 통풍을 치료할 때 혈열(血熱), 혈허(血虛), 혈오(血汚), 담(痰)까지 겸한 것은

사물탕이나 잠행산으로 주로 치료했는데

여기에 황백, 쇠무릎(우슬), 감초(생것), 복숭아씨(도인), 귤껍질(陳皮), 삽주(창출),

생강즙 등을 증상에 맞게 가감하여 썼다.

이것은 옛날 사람들이 밝히지 못한 것을 처음으로 밝힌 것이다[강목].
治痛風大法 蒼朮 南星 川芎 白芷 當歸 酒芩,

在上 加羗活 威靈仙 桂枝 桔梗,

在下 加牛膝 防己 木通 黃栢(丹心).
통풍을 치료하는 처방은 천남성,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당귀,

속썩은풀(황금, 술에 법제한 것)로 되어 있는데

병이 윗도리에 있으면 강호리(강활), 으아리(위령선), 계지, 도라지(길경)를 더 넣어 쓰고

병이 아랫도리에 있으면 쇠무릎(우슬), 황백, 으름덩굴(목통), 방기를 더 넣어 쓴다[단심].
薄桂 治痛風 無味而薄者 能橫行手臂領 南星 蒼朮等 至痛處(丹心).
박계로는 통풍을 치료한다. 맛이 없는 박계의 기운은 손과 팔로 가는데

이때에 천남성, 삽주(창출) 등의 약 기운을 이끌고 아픈 곳으로 간다[단심].
風寒濕 入於經絡 以致氣血凝滯 津液稽留 久則怫鬱 堅牢阻碍 榮衛難行 正邪交戰 故作痛也

須氣味辛烈 暴悍之藥 開鬱行氣 破血豁痰 則怫鬱開 榮衛行 而病方已也(方廣).
풍(風), 한(寒), 습(濕)의 3가지 사기가 경락(經絡)에 들어가면

기혈(氣血)이 엉키고 진액(津液)이 머물러 있게 된다.

이것이 오래되면 속이 답답하고 경락에 기혈(氣血)이 몰려 뜬뜬해지며

영위(榮衛)가 잘 돌지 못하고 정기(正氣)와 사기(邪氣)가 서로 싸우게 되므로 아프다.

이때에는 맛이 맵고 성질이 몹시 세고 빠른 약으로 몰린 것을 헤쳐 주고 기를 잘 돌게 하며

어혈(瘀血)을 풀어 주고 담을 삭여야 속이 답답하뎐 것이 풀리고

영위(榮衛)가 잘 돌아가면서 병이 낫는다[방광].
痛風 宜用大羗活湯 蒼朮復煎散 防風天麻散 踈風活血湯

四妙散 麻黃散 潛行散 二妙散 龍虎丹 活絡丹 五靈丸
통풍(痛風) 때에는 대강활탕, 창출부전산, 방풍천마산, 소풍활혈탕,

사묘산, 마황산, 잠행산, 이묘산, 용호단, 활락단, 오령환 등을 쓴다.
歷節風 宜用神通飮 定痛散 虎骨散 加減虎骨散 麝香元 乳香黑虎丹 乳香定痛丸 捉虎丹
역절풍(歷節風) 때에는 신통음, 정통산, 호골산, 가감호골산,

사향원, 유향흑호단, 유향정통환, 착호단 등을 쓴다.
肢節腫痛 宜用靈仙除痛飮.
팔다리의 뼈마디가 부으면서 아프면 영선제통음을 쓴다.
痰飮注痛 宜用芎夏湯 控涎丹 消痰茯苓丸 半夏芩朮湯.
담음(痰飮)이 왔다갔다하면서 아프면 궁하탕, 공연단(控涎丹,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소담복령환(消痰茯 丸, 처방은 손문에 있다), 반하금출탕 등을 쓴다.
痛風 熨烙 宜用拈痛散 當歸散
통풍이 생겨 찜질할 때에는 점통산, 당귀산을 쓴다.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破傷風病因][파상풍병인]   (0) 2020.05.12
[禁忌法][금기법]   (0) 2020.05.12
[歷節風證狀][역절풍증상]   (0) 2020.05.12
[歷節風病因][역절풍병인]   (0) 2020.05.12
[痺證病名及用藥][비증병명급용약]   (0) 2020.05.12

[歷節風證狀][역절풍증상]
歷節風之狀 短氣 自汗 頭眩 欲吐 手指攣曲

身體瘣(疒畾) 其腫如脫 漸至摧落 其痛如掣 不能屈伸.

盖由飮酒 當風汗出入水 或體虛膚空 掩護不謹

以致風寒濕之邪 遍歷關節 與血氣搏 而有斯疾也.

其痛如掣者 爲寒多, 其腫如脫者 爲濕多, 肢節間 黃汗出者 爲風多 遍身走注 徹骨疼痛.

晝靜夜劇 狀如虎咬者 謂之白虎歷節 久不治

令人骨節蹉跌 須當大作湯丸 不可拘以尋常 淺近之劑(得效). 
역절풍(歷節風)의 증상은 숨이 가쁘고 저절로 땀이 나며 머리가 어지럽고 토할 것 같으며

손가락이 가드라들고 몸이 울퉁불퉁하게 부으면서 빠져 나가는 것 같다가 점차 떨어져

나가는 것같으며 땅기는 것같이 아파서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것은 술을 마시고 바람을 맞았거나 땀이 날 때에 물에 들어갔거나 몸이 허하여

피부가 들떴을 때 몸을 잘 보호하지 못하여 풍(風), 한(寒), 습(濕)의 사기가 온몸의 뼈마디로

돌아다니면서 혈기(血氣)와 부딪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끌어당기는 것같이 아픈 것은 한사(寒邪)가 많기 때문이고 부어서 빠질 것같이 아픈 것은

습사(濕邪)가 많기 때문이며 팔다리에서 누런 땀[黃汗]이 나오는 것은

풍사(風邪)가 많기 때문이다.

온몸으로 왔다갔다하면서 뼛속까지 아픈 것이 낮에는 덜해졌다가

밤에는 더 심해지면서 범이 무는 것같이 아파지는 것은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이다.

오랫동안 치료하지 않으면 뼈마디가 어긋난다.

이때에는 반드시 달임약이나 알약을 양을 많이 하여 써야지

보통 양으로 치료하여서는 안 된다[득효].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禁忌法][금기법]   (0) 2020.05.12
[歷節風治法][역절풍치법]   (0) 2020.05.12
[歷節風病因][역절풍병인]   (0) 2020.05.12
[痺證病名及用藥][비증병명급용약]   (0) 2020.05.12
[痺病治法][비병치법]   (0) 2020.05.11

[歷節風病因][역절풍병인]
歷節之痛 皆由汗出入水 或飮酒汗出 當風所致(仲景).
역절풍 때의 통증은 땀이 날 때에 물에 들어갔거나

술을 마시고 땀이 날 때에 바람을 쏘였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중경].   
歷節風 古方 謂之痛痺 今人謂之 痛風也(綱目).  
옛 의학책에는 역절풍을 통비(痛痺)라고 하였고 요즘 사람들은 통풍(痛風)이라고 한다[강목].
痛風者 大率 因血受熱已 自沸騰其後 或涉冷水 或立濕地 或坐臥當風

取凉熱血 得寒汚濁凝澁所以 作痛 夜則痛甚 行於陰也

治宜辛溫之劑 流散寒濕 開發腠理 血行氣和 其病自安(丹心).  
통풍은 대체로 혈(血)이 열(熱)을 받아 더워질 때 금방 찬물을 건너가거나

습한 곳에 서 있거나 앉거나 누워서 서늘하게 바람을 쏘이면

더워졌던 혈이 차지고[寒] 흐려지면서 잘 돌지 못하게 되어 생기는 것인데

밤에 몹시 아픈 것은 사기(邪氣)가 음으로 돌기 때문이다.

이때의 치료는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한습(寒濕)을 헤치고 주리( 理)를 열어 주어야 한다.

혈이 잘 돌고 기가 고르면 병은 저절로 낫는다[단심].
古之痛痺 卽今之痛風也

諸書又謂之 白虎歷節風 以其走痛於四肢骨節 如虎咬之狀而名之也(正傳).
옛날에 통비라고 한 것이 요즘 통풍이라는 것이다.

여러 의학책에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이라고 한 것은 팔다리의 뼈마디가 왔다갔다하면서

아픈 것이 마치 범이 우는 것 같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정전].
痛風之證 以其循曆遍身 曰歷節風 甚如虎咬 曰白虎風痛 必夜甚 行於陰也(入門).
통풍의 증상이 온몸의 여기저기가 아픈 것이기 때문에 역절풍이라고 하는데

심해지면 범이 우는 것과 같이 몹시 아프기 때문에 백호풍(白虎風)이라고도 한다.

아픈 것이 꼭 밤에 더 심한 것은 이때에 사기가 음으로 돌아가기 때문이다[입문].
白虎歷節風 亦是風寒濕三氣乘之

或飮酒 當風汗出入水 亦成斯疾 久而不已 令人骨節蹉跌(醫鑑).
백호역절풍도 역시 풍, 한, 습 이 3가지 사기가 성하면 생기는데

혹 술을 마시고 바람을 맞거나 땀이 날 때에 물에 들어 가도 이 병이 생긴다.

오래도록 낫지 않으면 뼈마디가 어긋난다[의감].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歷節風治法][역절풍치법]   (0) 2020.05.12
[歷節風證狀][역절풍증상]   (0) 2020.05.12
[痺證病名及用藥][비증병명급용약]   (0) 2020.05.12
[痺病治法][비병치법]   (0) 2020.05.11
[痺病難治][비병난치]   (0) 2020.05.11

[痺證病名及用藥][비증병명급용약]
風痺 濕痺 寒痺 俱宜附子湯.

冷痺 宜蠲痺湯, 周痺 宜大豆蘗散,

骨痺 筋痺 脈痺 肌痺 皮痺 行痺 痛痺 着痺 俱宜三痺湯方見上

三痺 五痺湯方見上 五痺 增味五痺湯方見上 五痺 行濕流氣散 方見上

五痺防風湯方見上 三痺 茯苓湯方見上 三痺 川窮茯苓湯七方並見上,

方見上 三痺熱痺 宜升麻湯, 血痺 宜五物湯 
풍비(風痺), 습비(濕痺), 한비(寒痺) 때에는 부자탕을 쓰고

냉비(冷痺) 때에는 견비탕을 쓰며 주비(周痺) 때에는 대두얼산을 쓴다.

골비(骨痺), 근비(筋痺), 맥비(脈痺), 기비(肌痺),

피비(皮痺), 행비(行痺), 통비(痛痺), 착비(着痺) 때에는

삼비탕, 오비탕, 증미오비탕, 행습유기산, 방풍탕, 복령탕,

천궁복령탕(川芎茯 湯, 이 7가지 처방은 모두 위에 있다)을 쓴다.

열비(熱痺) 때에는 승마탕을 쓰고 혈비(血痺) 때에는 오물탕을 쓴다.
筋痺 宜用羚羊角湯
근비(筋痺) 때에는 영양각탕을 쓴다.
風寒痺 宜用烏藥順氣散方見上 諸風通治 踈通氣道.
풍, 한, 비증 때에는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으로 기가 잘 돌아가게 해야 한다.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歷節風證狀][역절풍증상]   (0) 2020.05.12
[歷節風病因][역절풍병인]   (0) 2020.05.12
[痺病治法][비병치법]   (0) 2020.05.11
[痺病難治][비병난치]   (0) 2020.05.11
[風痺與痿相類][풍비여위상유]   (0) 2020.05.11

[痺病治法][비병치법]
痺之初起 驟用參·芪·歸·地 則氣血滯 而邪鬱不散 只以行濕流氣散方見上 五痺主之(入門).
비증이 처음 생겼을 때에 빨리 인삼, 단너삼(황기), 당귀, 찐지황(숙지황)을 쓰면

기혈(氣血)이 막히고 사기가 몰려서 흩어지지 못하게 되는데

이런 데는 오직 행습유기산을 써야 한다[입문].
三氣 襲人經絡 久而不已 則入五藏

或入六府髓 其藏府之兪 合以施鍼灸 仍服 逐三氣 發散等藥 則病自愈矣(玉機). 
풍, 한, 습의 3가지 사기가 경락(經絡)에 침범하여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으면 사기가 5장이나 6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런 때에는 그 5장 6부의 유혈(兪血)과 합혈(合血)에 침뜸을 놓고

이어 풍, 한, 습의 3가지 사기를 몰아내고 발산시키는 약을 먹어야 병이 저절로 낫는다[옥기].
痺證 因虛而感風寒濕之邪 旣着體不去 則須製對證藥 日夜飮之.

雖留連不愈 能守病 今不令 入藏 庶可扶持也.

錢仲陽 取茯苓 其大逾斗者 以法啖之閱 月乃盡

由此雖偏閉而氣骨堅悍 如無疾者 壽八十二而終 惜乎 其方無傳(玉機).
비증은 허할 때에 풍, 한, 습의 사기에 감촉되면 생기는 병이기 때문에

반드시 그 증상에 맞는 약을 늘 지어 먹어야 한다.

그래야 병이 다 낫지는 않아도 5장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그러면 생명을 연장할 수 있다. 전중양(錢仲陽)은 1말 이상 되는 흰솔풍령(백복령)을

1달 이상 위의 방법대로 먹었기 때문에 비록 몸 한쪽을 쓰지 못하게 되었으나

기골이 건장하여 병이 없는 사람처럼 82살까지 살았다.

그러나 그 처방은 전해지지 않는다[옥기].   

[痺病難治][비병난치]
痺之爲證 有筋攣不伸 肌肉不仁 與風節相似 故世俗與風痿 通治 此千古之弊也.
大抵 固當分其所因 風則陽受之 痺則陰受之 爲病 多重痛沈着 患者難易 得去
錢仲陽 爲宋之一代名醫 自患 周痺止能移於手足爲之偏廢 不能盡去 可見其爲難治也(玉機).
비증의 증상은 힘줄이 가드라들어 펴지 못하는 것과 힘살에 감각이 없는 것인데

중풍과 아주 비슷하다.
때문에 민간에서는 중풍(中風)과 위증( 證)을 함께 치료하는데

이것은 몇천 년 동안 내려온 잘못된 치료방법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병의 원인을 갈라보아야 한다.
중풍은 사기를 양(陽)이 받아서 된 것이고 비증은 사기를 음(陰)이 받아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음이 받아서 된 병은 흔히 더 아픈데 오래된 환자는 잘 치료되지 않는다.
전중양(錢仲陽)은 송나라의 첫째가는 명의인데 주비(周痺)를 앓게 되었다.
그런데 제가 병이 손발에만 머물러 있게 치료해서 몸 한쪽을 쓰지 못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그도 병을 완전하게 치료하지 못한 것으로 보아

치료하기 어려운 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옥기].

[風痺與痿相類][풍비여위상유]
靈樞 (壽夭剛柔 第六(法律))曰

病在陽者 命曰風, 病在陰者 命曰痺, 陰陽俱病 命曰風痺
陽者 表與上也.

陰者 裏與下也.
영추에 “병이 양(陽)에 있으면 풍병(風病)이라고 하고

음(陰)에 있으면 비증(痺證)이라고 하며 음과 양에 다 병이 있으면 풍비(風痺)라고 한다.

양이라는 것은 겉과 위이고 음이라는 것은 속과 아래이다”고 씌어 있다.
痺者 氣閉塞不通流也

或痛或痒 或麻痺或手足緩弱 與痿相類 但痿 因血虛火盛 肺焦而成,

痺 因風寒濕氣 侵入而成 又痺 爲中風之一 但純乎 中風則陽受之

痺兼風寒濕三氣 則陰受之 所以爲病 更重(入門). 
비증(痺證)이라는 것은 기가 막혀[閉塞] 돌아가지 못하는 것인데

이때에는 아프기도 하고 가렵기도 하며 저리기도 하고 손발이 늘어지고 약해진다.

그러므로 위증과 비슷하게 된다.
위증이라는 것은 혈(血)이 허하고 화가 성하여 폐(肺)가 조(燥)해져서 된 것이고

비증이라는 것은 풍, 한, 습 이 3가지 사기가 침범해서 된 것이다.

또한 비증은 중풍의 한 가지이다.
풍(風)만 맞았으면 양(陽)이 받는다.
그러나 비증은 풍, 한, 습 3가지 사기가 겸한 것이기 때문에 음(陰)이 받는다.

그러므로 병은 더욱 중하다[입문].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痺病治法][비병치법]   (0) 2020.05.11
[痺病難治][비병난치]   (0) 2020.05.11
[痺病多兼麻木][비병다겸마목]   (0) 2020.05.11
[痺病吉凶][비병길흉]   (0) 2020.05.11
[痺病形證][비병형증]   (0) 2020.05.11

[痺病多兼麻木][비병다겸마목]
麻 是氣虛 木是濕痰 死血.

盖麻 猶痺也.

雖不知痛痒 尙覺氣微流行 在手 多兼風濕 在足 多兼寒濕,

木則非 惟不知痛痒 氣亦不覺流行(入門).
마(麻)는 기(氣)가 허(虛)하여 되는 것이고 목(木)은 습담(濕痰)과 어혈(瘀血)로 되는 것이다.
마는 비증과 비슷하다.

이때에는 비록 아프고 가려운 것을 알지 못하나 기운이 약간 돌아가는 것만은 느껴진다.
손에 생기면 흔히 풍습(風濕)을 겸하고 발에 생기면 흔히 한습(寒濕)을 겸한다.
목 때에는 아프고 가려운 것을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기운이 돌아가는 것도 느껴지지 않는다[입문].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痺病難治][비병난치]   (0) 2020.05.11
[風痺與痿相類][풍비여위상유]   (0) 2020.05.11
[痺病吉凶][비병길흉]   (0) 2020.05.11
[痺病形證][비병형증]   (0) 2020.05.11
[痺脈][비맥]   (0) 2020.05.11

[痺病吉凶][비병길흉]
內經(痺論篇第四十三)曰 帝曰 痺 其時有死者 或疼久者 或易已者 其故何也?
岐伯曰 其入藏者 死 其留筋骨間者 疼久 其留皮膚間者 易已
내경에 “황제가 ‘비증(痺證)으로 때로 죽는 것도 있고 오랫동안 아픈 것도 있으며

쉽게 낫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무엇 때문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비증이 5장에 들어가면 죽고 힘줄과 뼈짬에 머물러 있으면

오랫동안 아프며 피부(皮膚)에 머물러 있으면 쉽게 낫는다’고 대답하였다”고 씌어 있다.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痺與痿相類][풍비여위상유]   (0) 2020.05.11
[痺病多兼麻木][비병다겸마목]   (0) 2020.05.11
[痺病形證][비병형증]   (0) 2020.05.11
[痺脈][비맥]   (0) 2020.05.11
[五痺][오비]   (0) 2020.05.11

[痺病形證][비병형증]
黃帝曰 痺 或痛或不痛 或不仁 或寒或熱 或燥或濕 其故何也?
岐伯曰 痛者 寒氣多也 有寒故 痛也,

其不痛 不仁者 病久入深 榮衛之行澁 經絡時踈 故 不痛 皮膚不營 故爲不仁,

其寒者 陽氣少 陰氣多 與病相益 故寒也.

氣熱者 陽氣多 陰氣少 病氣勝陽乘陰 故爲痺爲熱 其多汗而濡者 此其逢濕甚也

陽氣少 陰氣盛 兩氣相感 故汗出而濡也.
내경에 “황제가 ‘비증(痺證)이 생겨 아프기도 하고

혹 차기도[寒] 하며 열이 있기도 하고

혹 마르기도 하며 습하기도 한 것은 무슨 까닭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아픈 것은 한기(寒氣)가 많기 때문이고 아프지 않은 것과

감각을 알지 못하는 것은 병이 생긴 지 오래되어 깊이 들어가서

영위(榮衛)가 잘 돌지 못하고 경락(經絡)이 때로 성글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프지 않고 피부가 자기 기능을 잘 하지 못하게 되어 감각을 모른다.

찬 것은 양기(陽氣)가 적고 음기(陰氣)가 많아서 병을 더 도와주기 때문이다.

열이 있는 것은 양기가 많고 음기는 적어서 병기운이 세어진 것인데

이것은 양기가 음기를 억누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비증 때에도 열이 난다.

땀이 축축하게 많이 나는 것은 습을 몹시 받았기 때문이다.

양기가 적고 음기가 성한데 찬 기운과 습한 기운에 감촉되면 땀이 나서 축축하게 된다’고

대답하였다”고 씌어 있다.
病在筋 筋攣絶痛 不可以行 名曰筋痺 病在肌膚 肌膚盡痛 名曰肌痺

病在骨 骨重不可擧 骨髓痠疼寒氣至 名曰骨痺(內經 痺論篇第四十三).
병이 힘줄에 생기면 힘줄이 가드라들고 뼈마디가 아프면서 잘 걷지 못한다.

이런 것을 근비(筋痺)라고 하고 병이 살과 피부에 생기면 살과 피부가 다 아프다.

이런 것을 기비(肌痺)라고 한다.

병이 뼈에 생기면 뼈마디가 무거워지면서 잘 움직이지 못하며

뼈가 시고 아프며 찬 기운이 생긴다.

이런 것을 골비(骨痺)라고 한다[내경].
帝曰 痺之爲病 不痛何也?
岐伯曰 痺在骨 則重在於脈 則血凝而不流 在於筋 則屈而不伸 在於肉 則不仁 在皮則寒

故具此五者則不痛也.

凡痺之類 逢寒則急 逢熱則縱(內經 痺論篇第四十三).
황제가 “비증 때에 아프지 않은 것은 어떤 이유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비증이 뼈에 생기면 무겁고 맥에 생기면 혈이 엉키어 잘 돌아가지 못하며

힘줄에 생기면 굽혔다가 잘 펴지 못하고 살에 생기면 감각이 없으며 피부에 생기면 차다.

이 5가지가 다 생기면 아프지 않다.

대체로 비증과 같은 병 때에는 찬 것을 만나면

가드라들고 더운 것을 만나면 늘어진다”고 대답하였다[내경].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痺病多兼麻木][비병다겸마목]   (0) 2020.05.11
[痺病吉凶][비병길흉]   (0) 2020.05.11
[痺脈][비맥]   (0) 2020.05.11
[五痺][오비]   (0) 2020.05.11
[三痺][삼비]   (0) 2020.05.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