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痺病形證][비병형증]
黃帝曰 痺 或痛或不痛 或不仁 或寒或熱 或燥或濕 其故何也?
岐伯曰 痛者 寒氣多也 有寒故 痛也,

其不痛 不仁者 病久入深 榮衛之行澁 經絡時踈 故 不痛 皮膚不營 故爲不仁,

其寒者 陽氣少 陰氣多 與病相益 故寒也.

氣熱者 陽氣多 陰氣少 病氣勝陽乘陰 故爲痺爲熱 其多汗而濡者 此其逢濕甚也

陽氣少 陰氣盛 兩氣相感 故汗出而濡也.
내경에 “황제가 ‘비증(痺證)이 생겨 아프기도 하고

혹 차기도[寒] 하며 열이 있기도 하고

혹 마르기도 하며 습하기도 한 것은 무슨 까닭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아픈 것은 한기(寒氣)가 많기 때문이고 아프지 않은 것과

감각을 알지 못하는 것은 병이 생긴 지 오래되어 깊이 들어가서

영위(榮衛)가 잘 돌지 못하고 경락(經絡)이 때로 성글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아프지 않고 피부가 자기 기능을 잘 하지 못하게 되어 감각을 모른다.

찬 것은 양기(陽氣)가 적고 음기(陰氣)가 많아서 병을 더 도와주기 때문이다.

열이 있는 것은 양기가 많고 음기는 적어서 병기운이 세어진 것인데

이것은 양기가 음기를 억누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비증 때에도 열이 난다.

땀이 축축하게 많이 나는 것은 습을 몹시 받았기 때문이다.

양기가 적고 음기가 성한데 찬 기운과 습한 기운에 감촉되면 땀이 나서 축축하게 된다’고

대답하였다”고 씌어 있다.
病在筋 筋攣絶痛 不可以行 名曰筋痺 病在肌膚 肌膚盡痛 名曰肌痺

病在骨 骨重不可擧 骨髓痠疼寒氣至 名曰骨痺(內經 痺論篇第四十三).
병이 힘줄에 생기면 힘줄이 가드라들고 뼈마디가 아프면서 잘 걷지 못한다.

이런 것을 근비(筋痺)라고 하고 병이 살과 피부에 생기면 살과 피부가 다 아프다.

이런 것을 기비(肌痺)라고 한다.

병이 뼈에 생기면 뼈마디가 무거워지면서 잘 움직이지 못하며

뼈가 시고 아프며 찬 기운이 생긴다.

이런 것을 골비(骨痺)라고 한다[내경].
帝曰 痺之爲病 不痛何也?
岐伯曰 痺在骨 則重在於脈 則血凝而不流 在於筋 則屈而不伸 在於肉 則不仁 在皮則寒

故具此五者則不痛也.

凡痺之類 逢寒則急 逢熱則縱(內經 痺論篇第四十三).
황제가 “비증 때에 아프지 않은 것은 어떤 이유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비증이 뼈에 생기면 무겁고 맥에 생기면 혈이 엉키어 잘 돌아가지 못하며

힘줄에 생기면 굽혔다가 잘 펴지 못하고 살에 생기면 감각이 없으며 피부에 생기면 차다.

이 5가지가 다 생기면 아프지 않다.

대체로 비증과 같은 병 때에는 찬 것을 만나면

가드라들고 더운 것을 만나면 늘어진다”고 대답하였다[내경].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痺病多兼麻木][비병다겸마목]   (0) 2020.05.11
[痺病吉凶][비병길흉]   (0) 2020.05.11
[痺脈][비맥]   (0) 2020.05.11
[五痺][오비]   (0) 2020.05.11
[三痺][삼비]   (0) 2020.05.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