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痺][오비]
帝曰 其有五者 何也?
岐伯曰 以冬遇此者 爲骨痺
以春遇此者 爲筋痺
以夏遇此者 爲脈痺.
以至陰遇此者 爲肌痺
以秋遇此者 爲皮痺(內經 痺論篇第四十三).
황제가 “5가지 비증이라는 것은 어떤 것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비증(痺證)이 겨울에 생긴 것은 골비(骨痺)가 되고
봄에 생긴 것은 근비(筋痺)가 되며
여름에 생긴 것은 맥비(脈痺)가 되고
늦은 여름에 생긴 것은 기비(肌痺)가 되며
가을에 생긴 것은 피비(皮痺)가 된다”고 대답하였다[내경].
帝曰 內舍五藏六府 何氣使然?
岐伯曰 五藏 皆有合病 久而不去者 內舍於其合也
故
骨痺 不已復感 於邪內舍瘀腎.
筋痺 不已復感 於邪內舍於肝.
脈痺 不已復感 於邪內舍於心.
肌痺 不已復感 於邪內舍於脾.
皮痺 不已復感 於邪內舍於肺.
所謂 痺者 各以其時 重感於風 寒 濕之氣也(內經痺論篇第四十三).
황제는 “비증이 5장 6부로 들어가서 자리잡게 하는 것은 어떤 기운이 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5장은 다 배합되는 기관이 있는데
병이 오래도록 낫지 않으면 그 배합되는 장부로 들어가서 자리잡는다.
그리고
골비(骨痺)가 낫지 않았는데
다시 사기에 감촉되면 그것이 속으로 들어가서 신(腎)에 자리잡고
근비(筋痺)가 낫지 않았는데
다시 사기에 감촉되면 속으로 들어가서 간(肝)에 자리잡으며
맥비(脈痺)가 낫지 않았는데
다시 사기에 감촉되면 속으로 들어가서 심(心)에 자리잡는다.
기비(肌痺)가 낫지 않았는데
다시 사기에 감촉되면 그것이 속으로 들어가서 비에 자리잡으며
피비(皮痺)가 낫지 않았는데
다시 사기에 감촉되면 속으로 들어가서 폐(肺)에 자리잡는다”고 대답하였다.
비라는 것은 비증이 각기 생기는 시기에
다시 풍(風), 한(寒), 습(濕)의 사기에 감촉됐다는 것이다[내경].
帝曰 其客於六府者 何也?
岐伯曰 此亦其飮食 居處 爲其病本也.
六府 亦各有兪 而食飮應之 循兪而入各舍 其府也(內經痺論篇).
황제가 “6부에 병이 생긴다는 것은 어떻게 생긴다는 것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그것은 음식과 거처하는 것을 적당하게 하지 못한 것이 병의 원인이 된다.
6부도 역시 각각 유혈(兪穴)이 있는데 음식을 잘못 먹은 것이 유혈을 따라
각각 해당한 6부로 들어가면 병이 생긴다”고 대답하였다[내경].
淫氣 喘息 痺聚在肺 淫氣憂思 痺聚在心 淫氣遺尿 痺聚在腎
淫氣乏竭 痺聚在肝 淫氣肌絶 痺聚在脾, 諸痺不已 亦益內也.
註曰淫氣謂氣之妄行者也從外不去則益深而至於身內(內經痺論篇).
음기(淫氣)로 숨이 찬 것은 폐(肺)에 비증이 몰린 것이고
음기로 지나치게 근심하고 생각하는 것은 심(心)에 비증이 몰린 것이며
음기로 자기도 모르게 오줌을 누는 것은 신(腎)에 비증이 몰린 것이다.
음기로 진액이 줄어드는 것은 간(肝)에 비증이 몰린 것이며
음기로 살이 빠지는 것은 비(脾)에 비증이 몰린 것이다.
여러 가지 비증이 낫지 않으면 병이 속으로 더 들어간다.
주해에 “음기(淫氣)라는 것은 기운이 제멋대로 돌아다니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이 겉에서 없어지지 않으면 더욱 심해져서 몸 속으로 들어간다”고 씌어 있다[내경].
宜用五痺湯 增味五痺湯 行濕流氣散.
오비탕, 증미오비탕, 행습류기산을 쓴다.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痺病形證][비병형증] (0) | 2020.05.11 |
---|---|
[痺脈][비맥] (0) | 2020.05.11 |
[三痺][삼비] (0) | 2020.05.11 |
[風痺之始][풍비지시] (0) | 2020.05.11 |
[諸風通治][제풍통치] (0) | 2020.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