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破傷風病因][파상풍병인]
破傷風者 多由亡血 筋無所管
故邪得以襲之 所以傷寒汗下過多 與夫病瘡人 及産後致斯病者 槩可見矣(三因).
파상풍은 흔히 피를 흘려서 힘줄을 영양하지 못할 때에 사기가 침습하면 생긴다.
그러므로 상한(傷寒) 때에는 지나치게 땀을 내거나 설사시키지 말아야 한다.
상처가 있는 사람과 몸 푼 뒤에 생기는 것을 볼 수 있다[삼인].
破傷風者 初因擊破皮肉 視爲尋常 殊不知 風邪乘虛 而襲變爲惡候
或諸瘡 久不合口 風邪內襲 或用湯淋洗
或着艾焚灸 其火毒之氣 逆與破傷風 邪無異也.
其證 寒熱間作 甚則口噤 目斜 身體强直 如角弓反張之狀 死在朝夕(正傳).
파상풍(破傷風)은 처음 피부가 살이 상했을 때 심상하게 여긴 탓으로
풍사(風邪)가 허한 틈을 타서 침습하여 나쁜 증으로 변하였거나
모든 상처가 오래도록 아물지 않아서 풍사(風邪)가 속으로 들어가면 생기게 된다.
더운물에 씻거나 뜸뜰 때 생기는 화독(火毒)의 기운도 역시 파상풍의 사기(邪氣)와 다름이 없다.
그 증상은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심하면 이를 악물고 눈이 비뚤어지며
몸이 뻣뻣해지면서 뒤로 잦혀지는 것인데 하루도 못 가서 죽는다[정전].
痓病 皆是難治也 多是血氣內虛 風痰盛而成痓病.
凡傷寒雜病 汗吐後 入風亦成痓 發瘡家汗 亦成痓
産後去血多 亦成痓 有跌磕打傷 瘡口未合 貫風者 亦成痓 此名破傷風也(回春).
치병( 病)은 치료하기 어렵다.
흔히 속에 혈기(血氣)가 허(虛)하고 풍담(風痰)이 성(盛)하면 치병이 된다.
대체로 상한이나 잡병 때 땀을 내거나 토하게 한 다음에 풍사가 들어가도
치병이 생기고 습(濕)이 많은 환자가 땀을 내어도 치병이 생기며 상처가 있는
환자가 땀을 내어도 또한 치병이 생기고 몸 푼 뒤에 지나치게 피를 흘려도
또한 치병이 생기며 타박을 당한 뒤 상처가 아물지 못하였는데
풍사를 받아도 역시 치병이 생긴다.
이것들을 파상풍이라고 한다[회춘].
破傷風 有四因,
一者 卒暴傷損 風邪襲虛,
二者 諸瘡湯洗 艾灸逼毒 妄行,
三者 瘡口不合 貼膏留孔 風襲,
四者 熱鬱遍身 白痂瘡口 閉塞 氣難通泄 傳播經絡(入門).
파상풍의 원인에는 4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갑자기 심한 상처를 입은 뒤에 풍사(風邪)가 허한 틈을 타서 침범한 것이고
둘째는 여러 가지 상처를 더운 물로 씻거나 뜸을 떠서 독을 모아 퍼지게 한 것이며
셋째는 상처가 아물지 않아 고약을 붙여 두어 풍사가 침범한 것이고
넷째는 온몸에 열이 나면서 흰딱지가 앉아 상처구멍을 막아서
병기운이 잘 빠져나가지 못하고 경락(經絡)으로 퍼져들어간 것 등이다[입문].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破傷風形證][파상풍형증] (0) | 2020.05.12 |
---|---|
[痓與痙通稱破傷風][치여경통칭파상풍] (0) | 2020.05.12 |
[禁忌法][금기법] (0) | 2020.05.12 |
[歷節風治法][역절풍치법] (0) | 2020.05.12 |
[歷節風證狀][역절풍증상] (0) | 202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