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痺病治法][비병치법]
痺之初起 驟用參·芪·歸·地 則氣血滯 而邪鬱不散 只以行濕流氣散方見上 五痺主之(入門).
비증이 처음 생겼을 때에 빨리 인삼, 단너삼(황기), 당귀, 찐지황(숙지황)을 쓰면
기혈(氣血)이 막히고 사기가 몰려서 흩어지지 못하게 되는데
이런 데는 오직 행습유기산을 써야 한다[입문].
三氣 襲人經絡 久而不已 則入五藏
或入六府髓 其藏府之兪 合以施鍼灸 仍服 逐三氣 發散等藥 則病自愈矣(玉機).
풍, 한, 습의 3가지 사기가 경락(經絡)에 침범하여
오랫동안 없어지지 않으면 사기가 5장이나 6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런 때에는 그 5장 6부의 유혈(兪血)과 합혈(合血)에 침뜸을 놓고
이어 풍, 한, 습의 3가지 사기를 몰아내고 발산시키는 약을 먹어야 병이 저절로 낫는다[옥기].
痺證 因虛而感風寒濕之邪 旣着體不去 則須製對證藥 日夜飮之.
雖留連不愈 能守病 今不令 入藏 庶可扶持也.
如 錢仲陽 取茯苓 其大逾斗者 以法啖之閱 月乃盡
由此雖偏閉而氣骨堅悍 如無疾者 壽八十二而終 惜乎 其方無傳(玉機).
비증은 허할 때에 풍, 한, 습의 사기에 감촉되면 생기는 병이기 때문에
반드시 그 증상에 맞는 약을 늘 지어 먹어야 한다.
그래야 병이 다 낫지는 않아도 5장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그러면 생명을 연장할 수 있다. 전중양(錢仲陽)은 1말 이상 되는 흰솔풍령(백복령)을
1달 이상 위의 방법대로 먹었기 때문에 비록 몸 한쪽을 쓰지 못하게 되었으나
기골이 건장하여 병이 없는 사람처럼 82살까지 살았다.
그러나 그 처방은 전해지지 않는다[옥기].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歷節風病因][역절풍병인] (0) | 2020.05.12 |
---|---|
[痺證病名及用藥][비증병명급용약] (0) | 2020.05.12 |
[痺病難治][비병난치] (0) | 2020.05.11 |
[風痺與痿相類][풍비여위상유] (0) | 2020.05.11 |
[痺病多兼麻木][비병다겸마목] (0) | 2020.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