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風病治法][중풍치법]
靈樞曰 眞氣 者所受於天 余穀氣幷而充身者也.
邪氣者 虛風之積 傷人也
虛邪之中人 洒淅動形 起毫毛 而發腠理.
영추에 “진기(眞氣)는 타고난 원기인데 음식을 먹어서 생긴 기와 함께 온몸을 충실하게 한다.
사기(邪氣)란 허풍(虛風)인데 사람에게 침범하여 상하게 한다.
허사가 사람에게 침범하면 으쓱으쓱 추우면서 솜털이 일어서는데
그 허사는 주리( 理)로 퍼진다”고 씌어 있다.
邪之中人 或中於陰 或中於陽 上下左右 無有恒常
人方虛時 及新用力 若飮食汗出腠理開 而中於邪中於面 則下陽明,
中於項 則下太陽, 中於頰則下少陽, 其中於膺配兩脇 亦中其經(思言).
사기는 음과 양 왼쪽이나 오른쪽 위나 아래 할 것 없이 일정한 곳이 없이 침범한다.
그리고 몸이 허약하거나 금방 힘들게 일하였거나
음식을 먹은 뒤에 땀이 나서 주리( 理)가 열려졌을 때에 침범한다.
얼굴에 침범하면 양명경(陽明經)으로 내려가고
목덜미에 침범하면 태양경(太陽經)으로 내려가고
뺨에 침범하면 소양경(少陽經)으로 내려간다.
가슴과 잔등, 양 옆구리로 침범해도 역시 그 해당 경락으로 들어간다[의설].
風有中藏 中府之分 中府者 宜汗之,
中藏者 宜下之 汗亦不可 過多也.
表裏不和 則須汗下之表裏已和 是宜治之 在經也(易老).
풍이 5장에 침범했을 때와 6부에 침범했을 때에는 서로 다른 점이 있다.
풍이 6부에 침범했을 때에는 땀을 내는 것이 좋고
풍이 5장에 침범하였을 때에는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
땀을 낼 때에는 지나치게 내지 말아야 한다.
표(表)와 이(裏)가 조화되지 못하면 땀을 내거나 설사시키고
표와 이가 조화되면 해당한 경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역로].
風者 百病之始也 善行而數變 行者 動也
治須少汗 亦宜, 少下汗 下得宜然後 可治(易老).
풍(風)은 모든 병의 시초가 되고 잘 돌아다니며 자주 변한다.
돌아다닌다는 것은 움직인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약간 땀을 내고 약간 설사시키는 것이 좋다.
땀을 내고 설사시키는 것을 알맞게 하면 잘 낫는다[역로].
大率 治風 主氣 血虛 有痰.
氣虛者 獨參湯方見氣門 加竹瀝 薑汁,
血虛者 四物湯方見血門 地黃薑汁浸炒 加竹瀝 薑汁,
肥人 多濕 少加附子 烏頭 行經(丹心).
대체로 풍병을 치료할 때에는 기혈(氣血)이 허한 것과 담(痰)이 있는가를 잘 보아야 한다.
기가 허하면 독삼탕(獨蔘湯, 처방은 기문에 있다)에 참대기름(죽력)과 생강즙을 넣어 쓰고
혈이 허하면 사물탕(四物湯, 처방은 혈문에 있다)을 쓰되 생강즙에 담갔다가
볶은 찐지황(숙지황)과 참대기름(죽력), 생강즙을 더 넣어 쓴다.
살이 찐 사람은 습이 많으므로 부자와 오두(천오)를 조금 넣어 써서
경락을 잘 통하게 해야 한다[단심].
凡人 春服 小續命湯 五劑,
夏服 腎瀝湯 三劑,
秋服 黃芪元方見局方1~2劑,
冬服 藥酒兩三劑.
此法 終身常爾 則風病不生矣(得效).
대체로 봄에는 소속명탕 5제를 쓰고 여름에는 신력탕 3제를 쓰며
가을에는 황기원(黃 元, 처방은 국방에 있다) 1-2제를 쓰고 겨울에는 약술 2-3제를 쓴다.
일생 동안 이렇게 하면 풍병(風病)이 생기지 않는다[득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