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風能食][중풍능식]
中風 人多能食 盖甲己化土 脾盛 故能多食
此脾氣愈盛 下克腎水 腎水虧 則病增極 宜廣服藥 不欲多食 病能自愈.
풍을 맞은 사람은 대체로 음식을 많이 먹는데
그것은 갑기(甲己)가 작용하여 비(脾)가 왕성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음식을 많이 먹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비기(脾氣)가 더 왕성해지면서 아래로 내려가 신수(腎水)를 억누르게 된다.
신수가 억눌려서 약해지면 병이 더 심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약을 먹어 음식을 많이 먹지 않게 해야 병이 저절로 낫는다.
中風多食者 風木盛也
木盛則克脾 脾受敵求助于食.
經曰實 則夢與 虛則夢取 當瀉肝木 治風安 脾 脾安則食少 是其養矣(資生).
중풍 때 많이 먹는 것은 풍목(風木)이 성하기 때문이다.
풍목이 성하면 비(脾)를 억누르게 되는데
비가 억눌리면 음식을 더 먹어서 도움을 받으려고 한다.
내경에는 “실(實)하면 주는 꿈을 꾸고 허(虛)하면 받는 꿈을 꾼다”고 씌어 있다.
이런 때에는 반드시 간목(肝木)을 사(瀉)해서 풍을 치료하고 비를 고르게 해야 한다.
비가 고르게 되면 적게 먹는다.
이것이 양생하는 방법이다[보감].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病治法][중풍치법] (0) | 2020.05.10 |
---|---|
[傷風證][상풍증] (0) | 2020.05.10 |
[諸風病名][제풍병명] (0) | 2020.05.10 |
[小中不須深治][소중풍불수심치] (0) | 2020.05.10 |
[風病須防再發][풍병수방재발] (0) | 2020.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