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脈法][맥법]
凡中風 脈無不大者 非熱也 是風脈也(得效).
중풍은 맥이 대(大)하지 않은 때가 없다.

그러니 이것은 열증맥(熱證脈)이 아니라 다 풍증맥(風證脈)이다[득효].
寸口脈浮而緊 緊則爲寒 浮則爲虛

寒虛相搏 邪在皮膚 絡脈空虛 賊邪不瀉

或左或右 邪氣反緩 正氣卽急 正氣引邪 喎噼不遂.

邪在于絡 肌膚不仁.

邪在于經 卽重不勝 邪入于府 卽不識人 邪入于藏舌卽 難言 口吐涎沫(仲景).
촌구맥(寸口脈)이 부(浮)하거나 긴(緊)한데 긴한 것은 한사(寒邪)로 된 것이고

부한 것은 허(虛)해서 된 것이다.

한사(寒邪)와 허한 것이 서로 부딪치면 사기(邪氣)가 피부에 있게 되고

낙맥(絡脈)이 공허해져서 잘 나가지 않는다.

혹 왼쪽이나 오른쪽에 사기가 있으면 늘어지고 정기(正氣)가 있으면 켕긴다.

정기가 사기를 끌어당기면 입과 눈이 비뚤어져 놀리지 못하게 된다.

사기가 낙맥에 있으면 피부에 감각이 없고

사기가 경맥(經脈)에 있으면 몸이 무겁고 부(府)에 있으면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며

사기가 장(藏)에 있으면 혀가 굳어서 말하기 힘들고 입으로 거품침을 흘린다[중경].
中風口噤 遲浮 吉, 急實大數 三魂孤(脈經).
중풍으로 이를 악물었을 때 맥이 지(遲)하고 부(浮)하면 예후가 좋고

급(急), 실(實), 삭(數), 대(大)하면 예후가 나쁘다[맥경].
中風 脈遲浮 可治, 大數而極者 死(丹心).
중풍 때 맥이 지하고 부하면 치료할 수 있고 몹시 대하고 삭하면 치료할 수 없다[단심].
中風 脈浮滑 兼痰氣 其或沈滑 勿以風治

或浮或沈 而微而虛 扶危溫痰 風未加踈(脈訣).
중풍 때 맥이 부하면서 활(滑)한 것은 담기(痰氣)를 겸한 것이다.

맥이 침(沈), 활하면 풍으로 치료하지 말아야 한다.

혹 맥이 부하고 침하면서 미(微)하거나 침하면서 허하면 위태로운 것을 도와주고

담을 따뜻하게 하여 풀리게 하되 풍은 흩어지지 않게 해야 한다[맥결].
大法 浮遲者 吉, 急疾者 凶
대체로 맥이 부하고 지하면 예후가 좋고 급하고 질(疾)하면 예후가 나쁘다.
脈浮而遲者 易治, 大數而急者 死(脈經).
맥이 부하면서 지한 것은 치료하기 쉽고 대하고 삭하면서 급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맥경].
脈浮而大者 曰風
맥이 부하면서 대(大)하면 중풍이다.
脈浮以數 中風使然(仲景).
맥이 부하면서 삭(數)하면 중풍이다[중경].

[中風之名各不同][중풍지명각부동]
其卒然仆倒者 經稱爲擊仆 世稱 爲卒中 乃初中之證也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는 것[昏倒]을 내경에서는 격부(擊 )라고 하였고

민간에서는 졸중(卒中)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중풍 초기에 있는 증상이다.
其口眼窩斜 半身不遂 經稱爲偏枯 世稱爲癱瘓 及腲腿風 乃中倒後之證也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몸 한쪽을 쓰지 못하는 것을

내경에서는 편고(偏枯)라고 하였고 민간에서는 탄환

또는 외퇴풍( 腿風)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졸도한 다음에 생기는 증상이다.
其舌强不言 唇吻不收 經稱 爲痱病 世稱爲風懿 風氣亦中倒後之證也
혀가 뻣뻣하여 말을 하지 못하고 입을 다물지 못하는 것을

내경에서는 풍비라고 하였고 민간에서는 풍의(風懿) 또는 풍기(風氣)라고 하였는데

이것 역시 졸도한 다음에 생기는 증상이다.
凡病偏枯 必先仆倒 故內經連名稱 爲擊仆偏枯也(綱目).
대체로 편고가 된 사람은 반드시 먼저 정신을 잃고 넘어지기 때문에

내경에서는 격부편고(擊 偏枯)라고 하였다[강목].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有中血脈中腑中臟之異][풍유중혈맥중부중장지이]   (0) 2020.05.07
[脈法][맥법]   (0) 2020.05.07
[風痺][풍비]  (0) 2020.05.06
[風懿][풍의]  (0) 2020.05.06
[風痱][풍비]   (0) 2020.05.06

[風痺][풍비]
內經曰 汗出而風吹之 血凝於膚者 則爲痺.

風之爲病 當半身不遂 或但臂不遂者 此爲痺(內經).

邪之所湊 其氣必虛 留而不去 其病則實(內經).

虛邪中人 留而不去 則爲痺 衛氣不行 則爲不仁(內經).

不仁者 何以明之 仁者柔也 不仁謂不柔和也 痛痒不知 灸刺不知 是謂不仁也(類聚).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脈法][맥법]   (0) 2020.05.07
[中風之名各不同][중풍지명각부동]   (0) 2020.05.06
[風懿][풍의]  (0) 2020.05.06
[風痱][풍비]   (0) 2020.05.06
[偏枯][편고]  (0) 2020.05.06

[風懿][풍의]
忽然迷仆 舌强不語 喉中窒塞 噫噫有聲 謂之風懿(直指).
풍의란 갑자기 정신이 아찔해서 넘어지고 혀가 뻣뻣하여 말을 하지 못하며

목구멍이 막혀서 흑흑 흐느끼는 소리가 나는 것이다[직지].
風癔者(一作懿) 卒倒 喎斜 不語 身軟有汗者 生 汗不出 身直者 死,

由痰水制火 閉塞心竅 而不語熱者 牛黃淸心元 虛者 導痰湯.
풍의는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며 눈과 입이 비뚤어지고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때에 몸이 나른하면서 땀이 나면 살고 땀이 나지 않고 몸이 뻣뻣하면 치료하지 못한다.
이것은 담수(痰水)가 화를 억제하고 심규(心竅)를 막아서 말을 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열이 있으면 우황청심환을 쓰고 허했으면 도담탕(導痰湯,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을 쓴다[입문].
風懿者 奄忽不知人 咽中塞窒窒然 舌强不能言 病在藏府

汗出身軟者 生 汗不出 身直者 七日死(得效).
풍의란 갑자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목구멍이 막히며

혀가 뻣뻣하여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때 병은 장부에 있다.

땀이 나고 몸이 나른하면 살고 땀이 나지 않고 몸이 뻣뻣하면 7일 만에 죽는다[득효].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風之名各不同][중풍지명각부동]   (0) 2020.05.06
[風痺][풍비]  (0) 2020.05.06
[風痱][풍비]   (0) 2020.05.06
[偏枯][편고]  (0) 2020.05.06
[中風大法有四][중풍대법유사]  (0) 2020.05.06

[風痱][풍비]  
神智不亂 身體無痛 四肢不擧 一臂不遂 謂之風痱(直指).
풍비란 정신이 혼란하지 않고 몸도 아프지 않으면서

팔다리를 들지 못하거나 한쪽 팔을 쓰지 못하는 것이다[직지].  
痱之爲病 身無痛 四肢不收 志亂不甚 其言微知 可治 甚則不能言 不可治(仲景).
풍비 때 몸은 아프지 않고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며

정신은 혼란하지만 심하지 않고 말하는 것을 약간 알아들으면

치료할 수 있고 심하여 말도 하지 못하면 치료하기 어렵다[중경].
風痱者 緩者 四肢不擧 急則一身皆仰

或左癱右瘓 或一臂不遂 智亂不能言者 難治.
宜換骨丹方見下 風非大汗則不除 神仙飛步丹.

脾實者 膏梁之疾 宜踈風順氣元方見大便

脾虛者 十全大補湯方見虛勞 八寶回春湯(入門).
풍비가 완만한 것은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할 정도이고 급한 것은 온 몸이 다 뒤로 젖혀지거나

왼쪽이나 오른쪽을 쓰지 못하며 혹은 한쪽 팔을 쓰지 못하고 정신이 혼란되어 말을 하지 못한다. 이런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이때에는 환골단이나 신선비보단을 쓴다.

비(脾)가 실한 것은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어서 생긴 것이므로

소풍순기원( 風順氣元,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을 쓰고

비가 허한 데는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이나 팔보회춘탕을 쓴다[입문].
痱廢也 卽偏枯之邪氣深者 痱與偏枯 是二疾

其偏枯 身偏痛而言不變 志不亂 邪在分腠之間 卽東垣 所謂邪中府也.

痱病 身無痛 手足不遂 而言瘖 志亂者 邪入于裏 卽東垣所謂 邪中藏也(綱目).
비란 못 쓴다는 말인데 즉 편고(偏枯)가 심해졌다는 것이다.

비와 편고는 서로 다른 병이다.

편고란 몸 한쪽이 아프고 말을 제대로 하며 정신도 똑똑한 것이다.

이것은 병이 힘살[分肉]과 주리 사이에 있는 것이므로

동원이 말한 것처럼 사기가 부(府)에 침범한 것이다.

풍비란 몸은 아프지 않으나 팔다리를 쓰지 못하고 말도 하지 못하며 정신이 혼란된 것이다.

이것은 사기가 속에 있는 것인데

동원(東垣)이 말한 것처럼 사기가 장(臟)에 침범한 것이다[강목].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痺][풍비]  (0) 2020.05.06
[風懿][풍의]  (0) 2020.05.06
[偏枯][편고]  (0) 2020.05.06
[中風大法有四][중풍대법유사]  (0) 2020.05.06
[賊風虛邪中人][적풍허사중인]   (0) 2020.05.06

[偏枯][편고]
血氣偏虛 半身不遂 肌肉枯瘦 骨間疼痛 謂之偏枯(直指).
편고란 몸 한쪽에 혈기(血氣)가 허해져서 몸 한쪽을 쓰지 못하고[半身不隨]

힘살이 여위며 뼈사이가 아픈 것을 말한다[직지].
虛邪 偏客于身半 其入深 內居榮衛 榮衛稍衰 則眞氣去 邪氣獨留 發爲偏枯(仲景).
허사가 몸 한쪽에 침범하여 속으로 깊이 들어가 영위(榮衛)에 머물러 있어서

영위가 약간 쇠약해지면 진기(眞氣)가 없어지고 사기만 남아 있게 되므로 편고가 된다[중경].
偏枯者 半身不遂 肌肉偏不用 而痛 言不變 智不亂

病在分腠之間 宜溫臥 取汗且巨鍼取之(仲景).
편고 때에는 몸 한쪽을 쓰지 못하고 힘살도 한쪽만 여위면서 쓰지 못하게 되고

아프고 말은 제대로 하며 정신도 똑똑하다.

이것은 병이 분육(分肉)과 주리( 理)의 사이에 있는 것이므로

따뜻한 데 누워서 땀을 내게 하고 또 굵은 침을 놓아야 한다[중경].
偏枯者 手足爲邪氣阻塞 脈道而然 痿病則陽明虛

宗筋縱 帶脈不引 而然 痱病有言 變志亂之證 痿病則無之. 

盖痱病發 又擊仆之暴痿病 發于怠惰之漸 明是兩疾也(綱目).
편고란 팔다리에 사기가 있어서 혈맥이 잘 통하지 못하여 손발을 쓰지 못하는 것이다.

위증( 證)은 양명경(陽明經)이 허하여 종근(宗筋)이 늘어질 때

이것을 대맥(帶脈)이 잡아당기지 못하면 생긴다.
풍비병(風 病)은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정신이 혼란해지는 증상이 있으나

위증( 證) 때에는 없다.

대체로 풍비병은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면서 생기고

위증은 오랜 기간 나른하고 맥이 없다가 생기는 것이므로

서로 다른 2가지 병이라는 것이 명백하다[강목].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懿][풍의]  (0) 2020.05.06
[風痱][풍비]   (0) 2020.05.06
[中風大法有四][중풍대법유사]  (0) 2020.05.06
[賊風虛邪中人][적풍허사중인]   (0) 2020.05.06
[中風大證][중풍대증]  (0) 2020.05.06

[中風大法有四][중풍대법유사]
一曰偏枯 半身不遂, 二曰風痱 四肢不擧, 三曰風懿 奄忽不知人, 四曰風痺 諸痺 類風狀(千金).
첫째는 편고(偏枯)인데 한쪽 몸을 쓰지 못하는 것이고
둘째는 풍비(風 )인데 몸은 아프지 않으면서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이다.
셋째는 풍의(風懿)인데 갑자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게 되는 것이고
넷째는 풍비(風痺)인데 여러 가지 비증과 같은 풍증이다[천금].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風痱][풍비]   (0) 2020.05.06
[偏枯][편고]  (0) 2020.05.06
[賊風虛邪中人][적풍허사중인]   (0) 2020.05.06
[中風大證][중풍대증]  (0) 2020.05.06
[中風所因][중풍소인]   (0) 2020.05.06

[賊風虛邪中人][적풍허사중인]
黃帝問曰 余聞 四時八風之中人也

故有寒暑 寒則皮膚急 而腠理閑 暑則皮膚緩

而腠理開 賊風邪氣 因得 以入乎 將必須八正虛邪 乃能傷人乎.
황제(黃帝)는 “내가 들으니 4철 팔풍(八風)㈜이 사람에게 침범한다고 한다.

날씨는 차고 더운 때가 있는데 차면 피부가 조여들면서

주리( 理)가 당기고 더우면 피부가 늘어나서 주리가 열리게 된다.

적풍의 사기가 이 틈을 타서 들어오게 되는가 그렇지 않으면

팔정허사(八正虛邪)㈜가 사람을 상하게 하는가”고 물었다.
少師曰 不然賊風 邪氣之中人也

不得以時然 必因其開也其入深其內極 其病人也.

卒暴因其閉也.

其入淺 以留其病也 徐以遲.
소사(少師)는 “그렇지 않다. 적풍(賊風)의 사기가

사람에게 침범하게 되는 것이 아무 때나 생기는 것은 아니다.

만일 주리( 理)가 열린 때를 타서 들어오면 속으로 깊이 들어가 병이 갑자기 생겨 심해진다.

주리가 닫힌 때에 들어오면 옅게 들어가 머물러 있으므로 그 병이 천천히 진행된다”하였다.

황제는 “날씨가 차고 더운 것이 알맞고 주리가 열리지 않았는데

갑자기 병이 생기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고 물었다.
帝曰 有寒溫和 適腠理不開 然有卒病者 其故何也?
少師答曰 人如天地相叅也 與日月相應也

故月滿則海水西盛 人血旣積肌肉 充皮膚 緻毛髮 堅腠理 郄炯垢着 當是之時 雖遇賊風

其入淺不深至 其月郭空 則海水東盛 人氣血虛 其衛氣去 形獨居 肌肉減 皮膚 縱腠理開

毛髮殘膲理薄 炯垢落 當是之時 遇賊風 則其入深其病人也

卒暴(靈樞 歲露論 第七十九).
그러자 소사가 “사람은 천지와 서로 통하고 해와 달과도 상응한다.

그러므로 달이 둥근 때는 바닷물이 서쪽에 많은 것과 같이 혈기가 많으면 힘살[肌肉]이

충실하고 피부가 치밀하면 머리털이 꼿꼿하고 주리 사이에 그을음같은 때가 낀다.

이런 때에는 비록 적풍(賊風)을 만난다 해도 깊이 들어오지 못한다.

달이 이즈러진 때는 바닷물이 동쪽에 많은 것과 같이 기혈이 허하면 위기(衛氣)가 없어지고

육체만 홀로 남아있게 되어 힘살이 내리며 피부가 늘어지고 주리가 열리며

머리털이 바스라지고 주리 사이에 생긴 얇은 그을음 같은 때가 없어진다.

이런 때에 적풍을 만나면 깊이 들어가서 병이 갑자기 생기고 심하여진다”하였다[영추].
邪風之至疾 如風雨 故善治者 治皮毛 其次治肌膚 其次治筋脈

其次治六府 其次治五藏 治五藏者半死半生也(內經 陰陽應象大論篇 第五).
허사적풍(虛邪賊風)이 침범한 때에는 병의 진전이 비바람과 같이 빠르다.

때문에 잘 치료하는 의사는 피모(皮毛)에 있을 때 치료하고

다음가는 의사는 기부(肌膚)㈜에 있을 때 치료한다.

그 다음가는 의사는 근맥(筋脈)에 있을 때 치료하고

그 다음가는 의사는 6부(六府)에 있을 때 치료하며

그 다음 가는 의사는 5장(五藏)에 들어갔을 때 치료한다.

5장에 들어간 다음에 치료하면 절반은 죽고 절반이 살게 된다[내경].
邪乘虛入 是謂虛邪(內經).
사기(邪氣)가 허한 틈을 타서 들어오는 것을 허사(虛邪)라고 한다[내경].
邪之所湊 其氣必虛 留而不去 其病則實(內經 評熱病論篇 第三十三).
사기가 침범하는 것은 기(氣)가 허하기 때문이다.

사기가 머물러 있으면서 나오지 않으면 그 병은 실증(實證)이 된다[내경].


팔풍(八風)과 팔정허사(八正虛邪)

8개의 방위 즉 동북쪽, 동쪽, 동남쪽, 남쪽, 서남쪽, 서쪽, 서북쪽,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팔풍이라 하고 팔풍의 허사를 팔정허사 또는 팔정사라고 한다.

허사란 몸이 허한 틈을 타서 침범하여 병을 일으키는 풍사(팔풍)를 말한다.

팔정허사에는 대약풍, 모풍, 강풍, 절풍, 대강풍, 흉풍, 영아풍, 약풍(비풍)이 있다.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偏枯][편고]  (0) 2020.05.06
[中風大法有四][중풍대법유사]  (0) 2020.05.06
[中風大證][중풍대증]  (0) 2020.05.06
[中風所因][중풍소인]   (0) 2020.05.06
[肥人多中風][비인다중풍]   (0) 2020.05.06

[中風大證][중풍대증]
風中於人 曰卒中 曰暴仆 曰暴瘖 曰蒙昧 曰口眼窩噼

曰手足癱瘓 曰不省人事 曰語言蹇澀 曰痰涎壅盛(醫鑑). 
사람이 풍을 맞으면 졸중(卒中), 갑자기 넘어지는 것[暴 ], 갑자기 벙어리가 되는 것[暴 ],

정신이 혼미해지는 것[蒙昧], 입과 눈이 비뚤어지는 것[口眼 斜],

손발을 쓰지 못하는 것[手足 ],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不省人事],

말을 더듬는 것[言語蹇澁], 담연이 몹시 성하는[痰涎壅盛]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의감].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風大法有四][중풍대법유사]  (0) 2020.05.06
[賊風虛邪中人][적풍허사중인]   (0) 2020.05.06
[中風所因][중풍소인]   (0) 2020.05.06
[肥人多中風][비인다중풍]   (0) 2020.05.06
[熱生風][열생풍]  (0) 2020.05.06

[中風所因][중풍소인]
內經曰 風者 百病之長也

知其變化 乃爲他病(風論篇 第四十二).
故有偏風 腦風 目風 漏風 內風 首風 腸風 泄風.

又有肺風 心風 肝風 脾風 腎風 胃風 勞風等證
내경에 “풍은 모든 병의 첫째 가는 원인이 된다”고 씌어 있다.

풍은 변화되어 다른 병이 생기게 하는데 편풍(偏風), 뇌풍(腦風), 목풍(目風),

누풍(漏風), 내풍(內風), 수풍(首風), 장풍(腸風), 설풍(泄風)을 생기게 하고

또한 폐풍(肺風), 심풍(心風), 간풍(肝風), 비풍(脾風), 신풍(腎風), 위풍(胃風),

노풍(勞風) 등을 생기게 한다(자세한 것은 해당한 부문에 있다).
河間曰 風病 多因熱盛.
하간(河間)이 “풍병은 흔히 열이 왕성해지면 생긴다”고 하였다(자세한 것은 위에 있다).
東垣曰 中風者 脾外來風邪 乃本氣病也.
동원(東垣)이 “중풍은 밖에서 들어오는 풍사(風邪)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 아니라

본래 있던 기에 의하여 생긴다”고 하였다(자세한 것은 위에 있다).
丹溪曰 風之爲病 西北氣寒爲風 所中者盛 有之

東南氣濕 而地多濕 有風者 非風也

濕生痰 痰生熱 熱生風也.

曰 亢則害 承乃制可.

問曰 土極似木 數千年得經 意者 河間一人耳.
단계(丹溪)는 “풍으로 병이 생긴다.

서북지방은 기후가 차서 풍을 맞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동남은 기후가 따뜻하고 땅에 습기가 많으므로 풍이 있지만

풍에 의해서 병이 생기지 않는다”고 하였다.

대체로 습(濕)이 담(痰)을 생기게 하고 담이 열(熱)을 생기게 하며 열이 풍을 생기게 한다.

내경에는 “이런 것이 지나치면 나쁘기 때문에 억제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하간은 “토(土)가 지나치면 목(木)과 비슷해진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천여년 사이에 내경의 뜻을 파악한 사람은 하간 한 사람뿐이다.
王安道曰 昔人主乎 風 河間主於火 東垣主乎氣 丹溪主乎濕

反以風爲虛象而大異於昔人 以予觀之

昔人三子之論 皆不可偏廢 殊不知 因于風者 眞中風也

因火 因氣人于濕者 類中風而非中風也.
왕안도(王安道)는 “중풍의 원인을 옛사람들은 풍이라고 주장하였는데

하간은 화(火)라고 하였고 동원은 기(氣)라고 하였으며

단계는 습(濕)이라고 주장하면서 도리어 중풍을 허한 증상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옛사람들의 말과 몹시 차이가 난다.

나는 옛사람들과 이 3사람이 말한 것은 어느 것이나 버릴 수 없는 것이라고 본다.

풍이 원인이 된 것은 진중풍(眞中風)이고 화가 원인이 된 것과 기가 원인이 된 것,

습이 원인이 된 것은 유중풍(類中風)이지 진중풍은 아니다”고 하였다.
王安道 有論 三子與昔人論 風之不同而立 眞中 類中之 目愚竊疑焉.
夫中風之證 盖因先傷於內 而後感於外之候也 但有標本 輕重之不同耳.

假如百病 皆有因有證 古人 論中風者 言其證也 三先生論中風者 言其因也.

知乎 此則中風之候 可得而相論矣(正傳).
왕안도가 “위의 3사람과 옛사람들이 풍에 대해서 말한 것이 같지 않다.

이것을 총괄하여 진중풍과 유중풍으로 나누는데 이에 대하여 나는 의문을 가진다”고 하였다.

대체로 중풍의 증상은 먼저 속이 상하고 후에 겉에 감촉되어 나타나는 증상인데

다만 표본(標本)과 경중(輕重)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모든 병에는 원인이 있고 증상이 있는데 옛사람들이 말한 것은

중풍의 증상을 말한 것이고 3사람이 말한 것은 중풍의 원인을 말한 것이다.

이것을 이해하면 중풍의 증상을 자세하게 말할 수 있다[정전].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賊風虛邪中人][적풍허사중인]   (0) 2020.05.06
[中風大證][중풍대증]  (0) 2020.05.06
[肥人多中風][비인다중풍]   (0) 2020.05.06
[熱生風][열생풍]  (0) 2020.05.06
[調治預防][조치예방]   (0) 2020.05.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