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風有中血脈中腑中臟之異][풍유중혈맥중부중장지이]
中血脈 則口眼窩斜 中府 則肢節廢 中藏 則性命危 三者 治各不同(東垣).
중혈맥(中血脈)이 되면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중부(中腑)가 되면 팔다리를 쓰지 못하며 중장(中臟)이 되면 생명이 위태롭게 된다.
이 3가지는 치료법이 각각 다르다[동원].
中府者 面顯五色 有表證 而脈浮 惡風寒 拘急不仁
或中身之後 或中身之前 或中身之側 皆曰中府 其病多易治
중부(中腑) 때는 얼굴에 5가지 빛이 나타나고 표증(表證)이 있어서
맥이 부(浮)하고 바람과 찬 기운을 싫어하며 몸이 가드라들고[拘急] 감각이 없다.
몸의 뒷면이나 앞면, 측면에 풍을 맞은 것을 다 중부라고 하는데 치료하기는 쉽다.
中藏者 唇吻不收 舌不轉而失音 鼻不聞香臭
耳聾而眼瞀 大小便秘結 皆曰中藏 其病多難治
중장(中臟)이란 입술을 다물지 못하고 혀를 놀리지 못하며 목이 쉬고 냄새를 맡지 못하며
귀가 먹고 눈이 어두우며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말하는데 치료하기가 어렵다.
大抵 中府者 多着四肢, 中藏者 多滯九竅(易老).
중부는 흔히 팔다리에 생긴다.
중장 때에는 흔히 9규(九竅)가 막히게 된다[역로].
中血脈 而外有六經之形證 則從小續命湯加減 及踈風湯治之.
중혈맥이 되어 겉에 6경(六經)의 증상이 나타나면 소속명탕을 가감하여 쓰거나 소풍탕을 쓴다.
中府者 先以加減續命湯 隨證 發其表 如兼中藏 則內有便尿之阻隔
宜以三化湯 或局方麻仁丸方見大便 滋潤湯 外無六經之形證 內無便尿之阻隔
宜養血通氣 大秦芃湯 羗活愈風湯 養榮湯
중부 때에는 먼저 가감속명탕을 증상에 맞게 쓰면서 땀을 내야 한다.
만일 중장까지 겹쳐서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
삼화탕이나 국방마인환(局方麻仁丸,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 자윤탕을 써야 한다.
겉에는 6경의 증상이 없고 대소변이 제대로 나오면 혈(血)을 보(補)하고
기(氣)를 잘 통하게 해야 하는데 대진교탕, 강활유풍탕, 양영탕 등을 쓴다.
中藏者 痰塞昏冒 宜至寶丹之類 鎭墮 或活命金丹 牛黃定志丸 袪風至寶丹
중장으로 담(痰)이 막혀서 정신이 흐릿해지는 데는
지보단을 써서 진정시키거나 활명금단, 우황정지환, 거풍지보단 등을 쓴다.
風中五藏 舌瘖 眼瞀 宜排風湯 加減排風湯
중장으로 혀가 잘 돌지 않아서 말을 하지 못하고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는
배풍탕이나 가감배풍탕을 쓴다.
但手足不遂 言語蹇澀 當從愈風湯 以行中道 久服大風悉去
治病之法 不可失于通塞 或一氣之微汗加麻黃4g
或一旬之通利 加大黃8g 此爲常治之法 久則淸濁自分 榮衛自和矣(易老).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고 말이 잘 되지 않으면 유풍탕으로 치료하는데
오랫동안 쓰면 심한 풍증도 다 없어진다.
병을 치료할 때에는 막힌 것을 통하게 해야 하는데 이것을 잘못해서는 안 된다.
한참 동안 땀이 약간씩 나는 데는 마황 4g을 넣고
10일 정도씩 설사하는 데는 대황 8g을 넣는 것이 보통 치료하는 방법이다.
오랫동안 쓰면 맑은 것과 흐린 것이 저절로 갈라지고 영위(榮衛)가 저절로 조화된다[역로].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開噤法][개금법] (0) | 2020.05.07 |
---|---|
[卒中風救急][졸중풍구급] (0) | 2020.05.07 |
[脈法][맥법] (0) | 2020.05.07 |
[中風之名各不同][중풍지명각부동] (0) | 2020.05.06 |
[風痺][풍비] (0) | 2020.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