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賊風虛邪中人][적풍허사중인]
黃帝問曰 余聞 四時八風之中人也
故有寒暑 寒則皮膚急 而腠理閑 暑則皮膚緩
而腠理開 賊風邪氣 因得 以入乎 將必須八正虛邪 乃能傷人乎.
황제(黃帝)는 “내가 들으니 4철 팔풍(八風)㈜이 사람에게 침범한다고 한다.
날씨는 차고 더운 때가 있는데 차면 피부가 조여들면서
주리( 理)가 당기고 더우면 피부가 늘어나서 주리가 열리게 된다.
적풍의 사기가 이 틈을 타서 들어오게 되는가 그렇지 않으면
팔정허사(八正虛邪)㈜가 사람을 상하게 하는가”고 물었다.
少師曰 不然賊風 邪氣之中人也
不得以時然 必因其開也其入深其內極 其病人也.
卒暴因其閉也.
其入淺 以留其病也 徐以遲.
소사(少師)는 “그렇지 않다. 적풍(賊風)의 사기가
사람에게 침범하게 되는 것이 아무 때나 생기는 것은 아니다.
만일 주리( 理)가 열린 때를 타서 들어오면 속으로 깊이 들어가 병이 갑자기 생겨 심해진다.
주리가 닫힌 때에 들어오면 옅게 들어가 머물러 있으므로 그 병이 천천히 진행된다”하였다.
황제는 “날씨가 차고 더운 것이 알맞고 주리가 열리지 않았는데
갑자기 병이 생기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고 물었다.
帝曰 有寒溫和 適腠理不開 然有卒病者 其故何也?
少師答曰 人如天地相叅也 與日月相應也
故月滿則海水西盛 人血旣積肌肉 充皮膚 緻毛髮 堅腠理 郄炯垢着 當是之時 雖遇賊風
其入淺不深至 其月郭空 則海水東盛 人氣血虛 其衛氣去 形獨居 肌肉減 皮膚 縱腠理開
毛髮殘膲理薄 炯垢落 當是之時 遇賊風 則其入深其病人也
卒暴(靈樞 歲露論 第七十九).
그러자 소사가 “사람은 천지와 서로 통하고 해와 달과도 상응한다.
그러므로 달이 둥근 때는 바닷물이 서쪽에 많은 것과 같이 혈기가 많으면 힘살[肌肉]이
충실하고 피부가 치밀하면 머리털이 꼿꼿하고 주리 사이에 그을음같은 때가 낀다.
이런 때에는 비록 적풍(賊風)을 만난다 해도 깊이 들어오지 못한다.
달이 이즈러진 때는 바닷물이 동쪽에 많은 것과 같이 기혈이 허하면 위기(衛氣)가 없어지고
육체만 홀로 남아있게 되어 힘살이 내리며 피부가 늘어지고 주리가 열리며
머리털이 바스라지고 주리 사이에 생긴 얇은 그을음 같은 때가 없어진다.
이런 때에 적풍을 만나면 깊이 들어가서 병이 갑자기 생기고 심하여진다”하였다[영추].
邪風之至疾 如風雨 故善治者 治皮毛 其次治肌膚 其次治筋脈
其次治六府 其次治五藏 治五藏者半死半生也(內經 陰陽應象大論篇 第五).
허사적풍(虛邪賊風)이 침범한 때에는 병의 진전이 비바람과 같이 빠르다.
때문에 잘 치료하는 의사는 피모(皮毛)에 있을 때 치료하고
그 다음가는 의사는 기부(肌膚)㈜에 있을 때 치료한다.
그 다음가는 의사는 근맥(筋脈)에 있을 때 치료하고
그 다음가는 의사는 6부(六府)에 있을 때 치료하며
그 다음 가는 의사는 5장(五藏)에 들어갔을 때 치료한다.
5장에 들어간 다음에 치료하면 절반은 죽고 절반이 살게 된다[내경].
邪乘虛入 是謂虛邪(內經).
사기(邪氣)가 허한 틈을 타서 들어오는 것을 허사(虛邪)라고 한다[내경].
邪之所湊 其氣必虛 留而不去 其病則實(內經 評熱病論篇 第三十三).
사기가 침범하는 것은 기(氣)가 허하기 때문이다.
사기가 머물러 있으면서 나오지 않으면 그 병은 실증(實證)이 된다[내경].
팔풍(八風)과 팔정허사(八正虛邪)
8개의 방위 즉 동북쪽, 동쪽, 동남쪽, 남쪽, 서남쪽, 서쪽, 서북쪽,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팔풍이라 하고 팔풍의 허사를 팔정허사 또는 팔정사라고 한다.
허사란 몸이 허한 틈을 타서 침범하여 병을 일으키는 풍사(팔풍)를 말한다.
팔정허사에는 대약풍, 모풍, 강풍, 절풍, 대강풍, 흉풍, 영아풍, 약풍(비풍)이 있다.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偏枯][편고] (0) | 2020.05.06 |
---|---|
[中風大法有四][중풍대법유사] (0) | 2020.05.06 |
[中風大證][중풍대증] (0) | 2020.05.06 |
[中風所因][중풍소인] (0) | 2020.05.06 |
[肥人多中風][비인다중풍] (0) | 2020.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