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勞倦傷][노권상]
黃帝曰 陰虛生內熱 奈何?
岐伯曰 有所勞倦 形氣衰少 穀氣不盛 上焦不行 下脘不通
而胃氣熱 熱氣熏胸中 故內熱(『內經』 調經論篇 第六十二).
황제가 묻기를 “음(陰)이 허(虛)하면 속에서 열(熱)이 생기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기백이 대답하기를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피로하면 몸의 원기(元氣)가 줄어들고
음식물의 기(氣)가 부족해져서 상초(上焦)가 잘 작용하지 못하며 하완(下脘)㈜이 통하지 못하므로
위기(胃氣)가 더워지면서 그 열기가 가슴을 훈증하기 때문에 속에서 열이 난다”고 하였다[내경].
此內傷之原也 此陰虛.
盖指身中之陰氣 與水穀之味耳(入門).
노권상도 내상(內傷)의 원인으로 된다.
노권상은 음허(陰虛)한 것인데 음허는 몸 가운데 있는 음기와 음식물의 맛이 부족한 것을 말한 것이다[입문].
喜怒不節 起居不時 有所勞倦 皆損其氣
氣衰則火旺 火旺則乘脾土 脾主四肢 故困熱無氣 以動 懶於言語
動作喘乏 表熱自汗 心煩不安 當安心靜坐 以養其氣
以甘寒 瀉其熱火 酸味 收其散氣 甘溫 調其中氣(東垣).
기뻐하거나 성내는 것이 지나치거나 일상생활을 알맞게 하지 못하여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피로하면 다 기를 상한다.
기(氣)가 약해지면 화(火)가 왕성하고 화가 왕성하면 비토(脾土)를 침범한다.
비는 팔다리를 주관하기 때문에 비토가 상하면
노곤(勞困)하고 열이 나며 힘없이 동작하고 말을 겨우 하게 된다.
또한 움직이면 숨이 차고 표열(表熱)이 있으며 저절로 땀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불안하다.
이런 데는 마땅히 마음을 안정하고 조용히 앉아 기운을 돋군 다음
달고 성질이 찬약으로 화열(火熱)을 내리고 신 맛으로 흩어진 기를 거둬들이며
달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중초의 기를 조절해야 한다[동원].
勞則氣散 氣短 喘且汗出 內外皆越 故氣耗矣(『內經』 擧痛論篇 第三十九).
지나치게 피로하면 기가 흩어져 숨이 가쁘고
또 땀이 나서 안팎으로 다 빠지므로 기가 소모된다[내경].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惡寒][변오한] (0) | 2020.06.30 |
---|---|
[辨內外傷證][변내외상증] (0) | 2020.06.30 |
[醒酒令不醉][성주영불취] (0) | 2020.06.29 |
[酒病治法][주병치법] (0) | 2020.06.29 |
[酒毒變爲諸病][주독변위제병]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