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辨煩渴][변번갈]

 

外感邪氣傳經入裏則大渴

內傷邪在血怴中故不渴間有渴亦不甚

외감 때는 사기(邪氣)가 전경(傳經)되어 속으로 들어가면 몹시 갈증이 난다.

내상 때는 사기가 혈맥 가운데 있으므로 갈증이 없고 간혹 갈증이 나도 심하지 않다.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鼻息][변비식]  (0) 2020.06.30
[辨口味][변구미]  (0) 2020.06.30
[辨手心][변수심]  (0) 2020.06.30
[辨氣力][변기력]  (0) 2020.06.30
[辨頭痛][변두통]  (0) 2020.06.30

[辨手心][변수심]

 

外感手背熱而手心不熱

內傷手心熱而手背不熱

외감 때는 손등이 달고 손바닥은 달지 않는다.

내상(內傷) 때는 손바닥이 달고 손등은 달지 않는다.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口味][변구미]  (0) 2020.06.30
[辨煩渴][변번갈]  (0) 2020.06.30
[辨氣力][변기력]  (0) 2020.06.30
[辨頭痛][변두통]  (0) 2020.06.30
[辨寒熱][변한열]  (0) 2020.06.30

[辨氣力][변기력]

 

外感邪氣有餘壯崲有力

內傷神思昏怠氣弱困懶

외감(外感) 때는 사기(邪氣)가 실하므로 힘이 난다.

내상 때는 정신이 흐릿하고 나른하며 기력이 약하여 피곤해하고 게을러진다.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煩渴][변번갈]  (0) 2020.06.30
[辨手心][변수심]  (0) 2020.06.30
[辨頭痛][변두통]  (0) 2020.06.30
[辨寒熱][변한열]  (0) 2020.06.30
[辨身痛][변신통]  (0) 2020.06.30

[辨頭痛][변두통]

 

外感頭痛常常有之直待傳經入裏方罷

內傷頭痛有時而作有時而止

외감(外感)으로 머리가 아플 때에는 계속 아프다가

병이 전경(傳經)되거나 속으로 들어가면 멎는다.

내상(內傷)으로 머리가 아픈 것은 때로 아팠다 때로 멎었다 한다.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手心][변수심]  (0) 2020.06.30
[辨氣力][변기력]  (0) 2020.06.30
[辨寒熱][변한열]  (0) 2020.06.30
[辨身痛][변신통]  (0) 2020.06.30
[辨發熱][변발열]  (0) 2020.06.30

[辨寒熱][변한열]

 

外感寒熱齊作而無間以甚

內傷寒熱微而間作或不齊

외감 때에는 추워하는 것과 열이 나는 것이 같이 나면서 계속 심하게 나타난다.

내상 때에는 추워하는 것과 열이 나는 것이

약하게 나타나면서 간격을 두고 나타나며 꼭 같이 나타나지 않는다.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氣力][변기력]  (0) 2020.06.30
[辨頭痛][변두통]  (0) 2020.06.30
[辨身痛][변신통]  (0) 2020.06.30
[辨發熱][변발열]  (0) 2020.06.30
[辨惡風][변오풍]  (0) 2020.06.30

[辨身痛][변신통]

 

外感筋骨疼痛或百節皆痛

內傷但四肢不收無氣以動困怠嗜臥而已

외감 때에는 힘줄과 뼈가 아프고 혹 모든 뼈마디가 다 아프다.

내상(內傷) 때에는 단지 팔다리를 쓰지 못하고 맥없이 움직이며 나른하여 눕기를 좋아한다.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頭痛][변두통]  (0) 2020.06.30
[辨寒熱][변한열]  (0) 2020.06.30
[辨發熱][변발열]  (0) 2020.06.30
[辨惡風][변오풍]  (0) 2020.06.30
[辨惡寒][변오한]  (0) 2020.06.30

[辨發熱][변발열]

 

外感發熱無休歇日礍轉劇直待汗下方退

內傷發熱時作時止或自袒裸亦便淸凉矣

외감(外感)으로 열이 날 때에는 끊지 않고 계속 나다가 해질 무렵에 가서 더 세게 난다.

땀을 내거나 설사를 시키면 내린다.

내상으로 열이 나는 것은 때로 열이 났다 내렸다 하며

혹 스스로 옷을 벗으려 하고 또한 서늘한 것을 좋아한다.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寒熱][변한열]  (0) 2020.06.30
[辨身痛][변신통]  (0) 2020.06.30
[辨惡風][변오풍]  (0) 2020.06.30
[辨惡寒][변오한]  (0) 2020.06.30
[辨內外傷證][변내외상증]  (0) 2020.06.30

[辨惡風][변오풍]

 

傷寒惡風不耐一切風寒

內傷惡風偏惡些少賊風避居密室則不惡矣

상한 때의 오풍(惡風)은 온갖 풍한(風寒)을 견디지 못한다.

내상(內傷) 때의 오풍은 문바람이라도 몹시 싫어하지만 바람이 들어오지 않는 방으로 옮기면 없어진다.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身痛][변신통]  (0) 2020.06.30
[辨發熱][변발열]  (0) 2020.06.30
[辨惡寒][변오한]  (0) 2020.06.30
[辨內外傷證][변내외상증]  (0) 2020.06.30
[勞倦傷][노권상]  (0) 2020.06.30

[辨惡寒][변오한]

 

傷寒惡寒雖近猛火不除

內傷惡寒稍就溫暖卽止但見風寒便惡之也

상한 때의 오한(惡寒)은 비록 아주 센 불을 가까이 하더라도 잘 없어지지 않는다.

내상 때의 오한은 좀 따뜻하게만 해주어도 곧 없어진다.

다만 풍한(風寒)을 싫어한다.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發熱][변발열]  (0) 2020.06.30
[辨惡風][변오풍]  (0) 2020.06.30
[辨內外傷證][변내외상증]  (0) 2020.06.30
[勞倦傷][노권상]  (0) 2020.06.30
[醒酒令不醉][성주영불취]  (0) 2020.06.29

[辨內外傷證][변내외상증]

 

外感 內傷 乃病之大關鍵 於此昧焉 何足云醫.

丹溪云 內傷證 皆以補元氣爲主 看所挾而兼用藥 但先生之言 引而不發.

予今補之

如內傷 挾外感者 則於補中益氣湯 內

春 加川芎 防風 柴胡 荊芥 紫蘇葉 薄荷.

夏 加乾葛石膏 麥門冬 薄荷 倍升柴.

秋加 羗活 防風 荊芥,

冬 加麻黃 桂枝 乾薑之類(方廣).

외감(外感)과 내상(內傷)을 감별하는 것은 모든 병에서 중요한 고리로 된다.

이것을 잘 모르면 의사로서의 자격이 없다.

단계는 내상병은 다 원기(元氣)를 보하는 것을 위주로 하면서 겸한 증을 보아 함께 치료할 것이다고 하였다.

단계는 이와 같이 대강 말하고 자세히 말하지 않았으므로 내가 보충하여 말한다면

가령 내상병에 외감(外感)을 겸했을 때에는 보중익기탕을 쓰되

봄에는 궁궁이(천궁), 방풍, 시호, 형개, 차조기잎(자소엽), 박하 등을 더 넣고

여름에는 칡뿌리(갈근), 석고, 맥문동, 박하를 더 넣고 승마와 시호는 본래의 양보다 곱절 넣으며

가을에는 강호리(강활), 방풍, 형개를 더 넣고

겨울에는 마황, 계지, 건강을 더 넣어 써야 한다[방광].

 

或外感挾內傷 內傷挾外感 或食積類傷寒 當明辨治之.

혹 외감에 내상을 겸했거나 내상에 외감을 겸했거나

식적(食積)이 상한(傷寒)과 비슷한 것들을 잘 감별하여 치료해야 한다.

 

若顯內證多者 則是內傷重 而外感輕 當以補養爲先

宜陶氏補中益氣湯 十味和解散 加味益氣湯三方並見寒門.

만일 내상증상이 더 많이 나타나면 이것은 내상이 중()하고 외감이 경()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반드시 원기를 보하는 것을 위주로 하되 먼저 도씨보중익기탕,

십미화해산, 가미익기탕(3가지 처방은 다 상한문에 있다) 등을 쓰는 것이 좋다.

 

若顯 外證多者 則是外感重 而內傷輕 宜以發散爲急

宜九味羗活湯 人參養胃湯 參蘇飮三方並見寒門.

만일 외상증상이 더 많으면 이것은 외감이 중하고 내상(內傷)이 경()한 것이므로 빨리 발산시켜야 한다.

이때는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삼소음(3가지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등이 좋다.

 

食積類傷寒 宜用陶氏平胃散(入門).

식적(食積)이 상한(傷寒)과 비슷한 데는 도씨평위산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惡風][변오풍]  (0) 2020.06.30
[辨惡寒][변오한]  (0) 2020.06.30
[勞倦傷][노권상]  (0) 2020.06.30
[醒酒令不醉][성주영불취]  (0) 2020.06.29
[酒病治法][주병치법]  (0) 2020.06.29

+ Recent posts